$\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 해안지역 모래의 압축 특성
Compression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Beach Sands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3 no.6, 2007년, pp.103 - 114  

남정만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토목환경공학부) ,  조성환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 토목환경공학부) ,  김태형 (한국해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모래는 화산암류가 풍화되어 형성된 모래와 조개 등의 어패류가 풍화되어 탄산염 $(CaCO_3)$ 함유량이 많은 모래, 그리고 이들 두 가지 특징이 혼재한 모래로 분류할 수 있었다. 분류된 모래들 중 삼양, 김녕, 제주외항 지역의 모래에 압축 특성을 알고자 압축시험을 수행한 결과, 삼양인 경우 초기압축이 다른 모래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녕, 제주외항 모래인 경우 초기압축외의 추가적인 압축도 상당히 발생하였으며, 이는 압축시험 전·후의 모래의 입도분포 분석 결과 입자의 파쇄와 재배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제주외항 항만시설 축조공사에 따른 지반의 침하특성을 분석한 결과 초기 압축 외에도 모래의 파쇄성과 재배열에 의해 상당시간동안 압축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으며, 파쇄성과 재배열이 고려되지 않은 기존 탄성침하량 산정법을 이용한 침하량과 기존의 침하시간 산정 시 과소평가 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nds distributed in Jeju island's coastal areas, Korea, can be classified as silicate sand derived from volcanic rock, carbonate sand derived from shells, and mixed sands containing both silicate and carbonate sands. These three types of sands typically exist in Jeju coastal areas. Samples of sili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다양한 형성 이력을 가진 이들 제주 해안지역 모래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주 해안지역 모래의 특징, 특히 압축 특성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주도 해안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모래를 26개 지역에서 채취하여 화학분석 및 물성시험 등을 실시하여 성인에 따라 이들 모래를 규산염, 탄산염, 혼재된 모래 등 3그룹으로 분류하고, 또한 이들 그룹의 대표성을 가진 3개 지역(삼양, 김녕, 제주외항)의 모래를 선택하여 압축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절에서는 제주외항 지역의 모래에 대하여 침하량 산정을 압축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이것은 기존의 침하량 산정법인 Schmertmann & Hartman식과 Buisman-DeBeer식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 본 절에서는 3절에서의 실내실험 결과 나타난 모래의 압축 특성을 좀 더 알아보기 위해 현재 공사가 진행 중에 있는 제주 외항 1단계 항만시설 축조공사 지역의 계측 결과를 활용하여 제주 외항 지역 모래층의 압축 특성을 검토하였다.
  •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 결과에서 압축시험에 의해 산정된 침하량, 기존의 탄성론에 입각한 경험식에 의해 산정된 침하량, 그리고 실제 계측된 침하량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여 제주 외항 지역의 적절한 침하량 산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제주 지역 해안에 분포되어 있는 모래의 압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이를 위해 성인에 따라 제주 지역 해안 모래를 3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대표 모래(삼양, 김녕, 제주외항)에 대한 기본 적인 물성 실험과 압축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제주 외항 1 단계 항만시설 축조공사 지역의 계측결과를 활용하여 해당 지역 모래층의 압축특성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압밀침하 시험은 상대밀도 75% 공시체에 대해 대형 고정 링 상자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대밀도 75% 공시 체를 선택한 이유는 원지반의 어느 정도 조밀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였고, 모래입자 자체의 변형 외 다른 영향은 배제하기 위해서이다. 침하량 산정은 아래 식 (3) 에 의해 계산되었다(표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국토연구원.제주발전연구원 (2006), 제주광역도시계획연구 중간보고서 

  2. 김 명 (2001), '낙동강 하구 유역의 사질토층에 대한 침하특성 및 분석',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5-60 

  3. 남정만 (2005), '제주도 화산쇄설물(송이)의 강도특성 및 다짐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할술발표회, 제주도 

  4. 박기화, 제주발전연구원 (2003), '제주도 지질 여행', pp.15-137 

  5. 원종관 (1975), '제주도의 형성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이학논총 제1집 

  6. 윤종수 (1985), '제주 연안의 해빈퇴적물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학회지 제18권 제1호, pp.55-63 

  7. 제주특별자치도 (2007), 21C 제주특별자치도 항만중장기개발 타당성 조사용역 초안 

  8. 지옥미, 우경식 (1955), '제주도 해빈퇴적물의 구성성분', 한국해양학회지, 제 30권 제5호, pp.480-492 

  9. 한국자원연구소(I998), '제주 애월도폭 지질보고서', 제주도.한국자원연구소, pp.21-23 

  10. Berardi, R., Jamiolkowski, M. and Lancellotta, R. (1991), 'Settlement of shallow foundations in sands selection of stiffness on the basis of penetration resistance', Proc. of the Congress Sponsored by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of the ASCE, McLean, Campbell, and Harris, Eds., Vol.1,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27, 185-200 

  11. Bowles, J. E. (1977), 'Foundation Analysis and Design', 2nd ed., Mcgraw-Hill, New York 

  12. Bowles, J. E. (1987), 'Elastic foundation settlements on sand deposits', ASCE, 113, No.8, pp.846-860 

  13. Burland, J. and Burdidge, M. (1985), 'Settlement of foundations on sand and gravel', Proceedings of Institute of Civil Engineers, Part I, Vol.78, 1325-381 

  14. DeBeer, E. E. (1965),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of shallow foundations on sand, Lecture No. 3,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of Foundations, Duke University, pp.15-33 

  15. Al-Sanad, H. A, Ismael, N. F. and Brenner, R. P. (1993), 'Settlement of circular and ring plates in very dense calcareous sand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119, No.4, April 1993, pp.622-638 

  16. Holtz, R. D. (1991), Foundation Engineering Handbook, Ch.5, Stress distribution and settlement of shallow foundation,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pp.166-223 

  17. Holtz, R. D. and Kovacs, W. D. (1981), An Introduction to Geotechnical Engineering, Prentice-Hall, Inc., New Jersey 

  18. Kraus, E. H. (1959), Mineralogy: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inerals and crystals, McGraw-Hill, New York 

  19. Lee, J. and Salgado, R. (2002). 'The estimation of the settlement of footings in sand.' International Journal of Geomechanics, 1(2), pp.175-192 

  20. Lee, K. L. and Seed, H. B. (1967), 'Draine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ands',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118-141 

  21. Leonards, G. A. and Frost, J. D. (1988), 'Settlement of shallow foundations on granular soil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SCE, Vol.117, No.7, pp.791-809 

  22. Meyerhof, G. G. (1974),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Footings on Sand Layer Overlying Clay',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11, No.2. pp.224-229 

  23. Oweis, I. S. (1979), 'Equivalent linear model for predicting settlement of sand bases', Journal of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ASCE, 105, No. GT12, pp.1525-1544 

  24. Schmertmann, J. H. (1970), 'Static Cone to Compute Settlement Over Sand',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96. No.SM3. pp.1011-1043 

  25. Schmertmann, J. H., Hartman, J. P. and Brown, P. R. (1978), 'Improved Strain Influence Factor Diagrams', Journal of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104. No.8. pp.1131-1135 

  26. Sinkankas, J. (1966), Mineralogy, Princeton, NJ 

  27. Webb, D. L. (1969), 'Settlement of Structure on Deep Alluvial Sandy Sediments in Durban', South Africa, Proc. Conf. In-Situ Behav. Soil Rock. Inst, Civil Eng., London, pp.181-18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