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물생육에 유용한 미생물을 선발하여 생물비료로 이용하고자 고추, 토마토, 상추, 오이, 목초, 잔디, 콩의 근권토양 및 뿌리표면에서 세균을 373균주 분리하였다. 각각의 균주를 작물에 접종후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중 작물생육을 촉진시키는 균주를 대상으로 작물생육량과 식물병원성 진균 억제능을 평가한 후 우수한 1균주를 선발하였다. 그리고 선발한 균주의 배양적 특성 및 식물호르몬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16S rRNA 염기서열분석, 생화학적특성 등의 분석으로 속 종명을 동정하였다. 식물생육촉진 및 식물병원성 진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Bacillus subtilis S37-2 균주를 선발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식물병원성 진균은 Fusarium oxysporum (KACC 40037), Rhizoctonia solani (KACC 40140), Sclerotinia sclerotiorum (KACC 40457)의 3 균주였으며, 이들 균주에 대하여 모두 효과적이었다. 토양이 충진된 폿트에 상추를 재배하여 B. subtilis S37-2 균주의 희석현탁액을 $10^5{\sim}10^8cell\;ml^{-1}$ 범위의 접종 농도별로 근권에 처리후 상추의 생육량을 조사하였다. 접종균수가 많을수록 상추 생육량은 증가하였다. $8.7{\times}10^8cell\;ml^{-1}$를 주당 50 ml씩 1~2회 접종시 대조구에 비해 상추의 엽 생체중이 48.7%, 뿌리의 건물중이 42.3% 씩 각각 생육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추 유묘에 식물병원성 진균인 S. sclerotiorum (KACC 40457)처리후 B. subtilis S37-2 균주를 접종한 구와 접종하지 않은 대조구를 비교한 결과 접종후 9일에 접종구는 16.7%, 대조구는 100% 이병되어 고사되었다. 배지 종류별로 B. subtilis S37-2 균주의 균체증식량을 비교한 결과 TSB배지가 양호하였으며, 질소원을 첨가할 경우 peptone, tryptone보다 yeast extract를 첨가한 구가 균체생성량이 양호하였다. 그리고 배양 온도별로는 $30^{\circ}C$에 비해 $37^{\circ}C$가 약 2~4배이상 균체생성량이 많았다. L-tryptophan을 $20mg\;L^{-1}$ 첨가한 TSB 배지에 B. subtilis S37-2 균주를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후 IAA(indole 3-acetic acid) 생성량은 $0.1{\mu}g\;ml^{-1}$ 이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a broad obj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microbial based fertilizers, a total of 373 strains were isolated from rhizoplane and rhizosphere of pepper, tomato, lettuce, pasture, and grass. The efficacy of the isolates to augument overall plant growth was evaluated. After screening for their pl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리균주는 종자발아, 뿌리발근, 생육상태 등 식물생장촉진기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식물생장촉진기능을 가진 균주를 대상으로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억제 효과도 동시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작물생육에 유용한 10균주 중에서 작물생육이 양호하고 식물병원성 진균 억제효과가 탁월한 B.
  • 즉, 화학비료 또는 유기물을 과다 사용한 토양으로 내염성이 요구되는 염류집적 토양, 내열성이 요구되는 하우스재배 토양, 연작장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불량한 토양환경에도 생존능력이 뛰어난 미생물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토양환경에서도 생존능력이 우수한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여 생물비료로 개발하여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작에 의한 병해충 다발생은 무엇으로 이어지기 쉬운가? 시설재배지는 경제작물의 연중재배로 비료성분이 과다 집적된 경우가 많으며, 그에 따른 토양용액의 염류 농도 상승은 작물생육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연작에 의한 병해충 다발생은 농약사용의 증가로 이어지기 쉽다. 즉, 농업자재의 과다투입은 또 다른 토양환경 오염을 유발시키고 그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도 뒤따른다.
식물생장촉진 미생물로 알려진 것은 무엇이 있는가? 식물생장촉진 미생물로서 콩과에 공생하는 근류균을 비롯하여 VA 균근균이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슈도모나스 속(Dey et al., 2004; Klopper et al., 1980), 아조토박터 속(Abbass and Okon, 1993), 바실러스 속 (Provanza et al., 2002; Park et al., 2001), 아조스피릴럼(Fallik and Okon, 1995)등이 식물의 생장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양한 미생물의 존재에 비하면 아직도 일부 미생물만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자들이 미생물비료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토양 양분의 집적이 많은 토양이나 연작재배지에서는 비료 및 농약의 사용을 줄이고 비료와 농약을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미생물비료에 대한 관심과 그 필요성이 한층 더 고조되고 있다. 특히 미생물비료는 염류집적 등의 토양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농업환경의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생태계 안전성 유지와 작물생산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미생물비료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bbass, Z. and Y. Okon. 1993. Plant growth promotion by azotobacter paspali in the rhizosphere. Soil Biology & Biochemistry, 1993, 25(8):1075-1083) 

  2. Claus, D. & R. C. W. Berkeley. 1986.Genus Bacillus Cohn 1872.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2, pp. 1105 1140. Edited by P. H. A Sneath, N. S. Mair, M. E. Sharpe & J. G. Holt. Baltimore: Williams& Wilkins 

  3. Dey, R., K. K. Pal, D. M. Bhatt and S.M. Chauhan. 2004. Growth promotion and yield enhancement of peanut(Arachis hypogaea L.) by application of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Microbiological Research. 159: 371-394 

  4. Fallik, E., and Y. Okon. 1996. Inoculants of Azospirillum brasilense: Biomass production, survival and growth promotion of Setaria italica and Zea may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28(1):123-126 

  5. Farag, M.A.., C.M. Ryu, L.W. Sumner, P.W. Pare. 2006. GC-MS SPME profiling of rhizobacterial volatiles reveals prospective inducers of growth promotionand induced systemicresistance in plants. Phytochemistry, 67:2262-2268 

  6. Frankenberger, W. T., Jr. and M. Arshad. 1995. Phytohormones in soils. Microbial production and function, USA 

  7. Kloepper, J. W., J. Leong, M. Teintze, and M. N. Schroth. 1980. Enhancement of plant growth by siderophore produced by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Nature. 286 : 885-886 

  8. Kumar, S., K. Tamura, and M. Nei. 2004. MEGA3: Integrated software for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and sequence alignment. Briefings in Bioinformatics. 5:150-163 

  9. Park, K. S., I. P. Ahn, and C. H. Kim. 2001. Systemic resistance and expression of the pathgenesis-related genes mediated by the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amyloliquefaciens EXTN-1 against anthracnose disease in cucumber. Mycobiology. 29: 48-53 

  10. Probanza, A., J. A. Lucas Garcia, M. Ruiz Palomino, B. Ramos, and F. J. Gutierrez Manero. 2002. Pinus pinea L. seedling growth and bacterial rhizosphere structure after inoculation with PGPR Bacillus (B. licheniformis CECT 5106 and B. pumilus CECT 5105). Applied Soil Ecology. 20(2):75-84 

  11. Reva, O. N., I. B. Sorokulova, and V. V. Smirnov. 2001. Simplified technique for identification of the aerobic spore-forming bacteria by phenotype. Int J SystEvol Microbiol. 51:1361 1371 

  12. Smibert, R. M. & N. R. Krieg. 1994. Phenotypic characterization. In Methods for General and Molecular Bacteriology, pp. 607 654. Edited by P. Gerhardt, R. G. E. Murray, W. A. Wood & N. R. Krieg. Washington, DC: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13. Thompson, J. D., D. G. Higgins, and T. J. Gibson.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4673 4680 

  14. 日本生物工學會偏, 1993. 生物工學實驗書. 6, 細胞工學實驗. p379-386 

  15. 權章軾, 徐壯善, 元恒淵. 1998. 鹽類의 스트레스가 主要 土壤微生物의 變動 및 根圈定着性에 미치는 影響.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1(3):291-3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