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일비료장기연용 논에서 토양유기탄소의 변동
Long-term Impact of Single Rice Cropping System on SOC Dynamic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0 no.4, 2007년, pp.292 - 297  

정원교 (농업과학기술원) ,  김선관 (농업과학기술원) ,  연병열 (작물과학원) ,  노재승 (농업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농도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 에 따른 기후의 변화 및 환경적 영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토양내 유기탄소의 축적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등 온실 가스의 감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어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논의 경우에는 토양유기탄소의 토양 축적에 관한 연구가 매우 적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주요 경지 이용형태인 논에 대해서도 토양중 탄소를 축적할 수 있는 토양관리 방법의 연구가 매우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동일비료 및 개량제 처리 장기시험 포장에서 퇴비, NPK 비료, 석회, 및 규산등의 처리구별 토양유기탄소의 동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산, 칼리 및 석회의 시용은 장기간 시용한 이후에 처리한 구에서 미처리구에서 보다 토양유기탄소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퇴비 시용구의 경우 퇴비 미시용구에서 보다 퇴비 시용구에서 토양유기탄소의 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유기탄소축적비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단일 논 작부체계하에서 장기간 지속적인 퇴비의 시용 결과 토양 중 유기탄소의 효과적인 축적이 이루어 졌다. 따라서 우리나라 논에서 중 유기탄소의 축적을 위하여 퇴비의 지속적인 시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s have been major issues for decades andvarious researches have reported their impact on our environment. According to recent researches, increased carbon dioxide ($CO_2$)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is considered as a dominant contributor to global c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n this research, we presented results from this long-term experiment testing of temporal SOC dynamics under different treatment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ng-term single rice cropping practices on SOC dynamics in the paddy fiel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uer, A., and A.L. Black. 1994. Quantification of the effect of soil organic matter content on soil productivity. Soil Sci. Soc. Am. J. 58:185-193 

  2. Follett, R.F. 2001. Soil management concepts and carbon sequestration in cropland soils. Soil Tillage Res. 61:77 92 

  3. Franzluebbers, A, J., and M.A. Arshad. 1996. Soil organicmatter pools during early adoption of conservation tillage in northwestern Canada. Soil Sci. Soc. Am. J. 60:1422 1427 

  4.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1996. Climate change 1995. Cambridge Univ. Press, New York 

  5. IPCC. 2007. Climate change. Fourth Assessment Rep.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WMO, Geneva, Switzerland 

  6. Jung, Won Kyo. 2007. Storing carbon in paddy land. Korean J. Soil Sci. Fert. 40:83-84 

  7. Lal, R. 1997. Residue management, conservation tillage and soil restorationfor mitigating greenhouse effect by $CO_{2} $ -enrichment. Soil Tillage Res. 43:81107 

  8. Lal, R. 2007. Soil Science and the Carbon Civilization. Soil Sci. Soc. Am. J. 71:1425 14-37 

  9. Lal, R. J. Kimble, and R. Follett. 1997. Soil quality management for carbon sequestration. p. 18. In R. Lal et al. (ed.) Soil properties and their management for carbon sequestratio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s, National Soil Survey Center, Lincoln, NE 

  10. Lal, R., J. M. Kimble, R.F. Follett, and C.V. Cole. 1998. The potential of U.S. cropland to sequester carbon and mitigate the greenhouse effect. Sleeping Bear Press, Chelsea, MI 

  11. Mann, L., V. Tolbert, and J. Cushman. 2002. Potential environmental effects of com (Zea mays L.) stover removal with emphasis on soil organic matter and erosion. Agric. Ecosyst. Environ. 89:149 166 

  12. Marland, G., K. Fruit, and R. Sedjo. 2001. Accounting for sequestered carbon: The question of permanence. Environ. Sci. Policy 4:259 268 

  13. Paustian, K., J. Six, E.T. Elliott, and H.W. Hunt. 2000. Management options for reducing C02 emissions from agricultural soils. Biogeochemistry 48:147-163 

  14. Sa, Joa -o Carlos de M., Carlos C. Cerci, Warren A. Dick, Rattan Lal, Solismar P. Venske Filho, Marisa C. Piccolo, and Brigitte E. Feigl. 2001. Organic Matter Dynamics and Carbon Sequestration Rates for a Tillage Chronosequence in a Brazilian Oxisol. Soil Sci. Soc. Am. J. 65:1486 1499 

  15. Sampson, R.N., and R.J. Scholes. 2000. Additional human-induced activities Article 3.4. p. 181-281. In R.T. Watson et al. (ed.)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A special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6. Uri, N.D. 2001. Conservation practices in US agriculture and their impact on carbon sequestration. Environ. Monit. Assess. 70:323 344 

  17. West, T.O., and W.M. Post. 2002. Soil organic carbon sequestration rates by tillage and crop rotation: A global data analysis. Soil Sci. Soc. Am. J. 66:1930 19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