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논 토양의 토양유기탄소 변동 특성
Soil Organic Carbon Dynamics in Korean Paddy Soil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0 no.1, 2007년, pp.36 - 42  

정원교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토양관리과) ,  김선관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토양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및 온실가스 배출 및 저감기술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토양 내 유기탄소의 축적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억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며, 특별히 우리나라 농경지의 주요 이용형태인 논토양에 대해서는 유기탄소의 축적량 산정을 포함한 변동 등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국적인 논 토양 유기탄소의 연차별 모니터링을 통하여 토양에서 유기탄소의 연차간 변동을 평가하였으며 토양의 생성학적, 물리적 특성에 따라 토양유기탄소의 변화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토양 생성분류학적으로 우리나라의 주된 논토양인 Inceptisol 에서 토양유기탄소량이 1999년에 비하여 2003년에 증가하는 경향이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논의 이용형태별로는 염해답이나 미숙답에서 보다 보통답, 사질답, 배수불량답에서 토양유기탄소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토의 토성별로 양토에서 보다 미사 식양토 및 미사양토에서 유기탄소의 증가가 높게 나타났다. 지형적으로는 곡간지에서 보다 평탄지에서 토양유기탄소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1999년 이후 논토양에서 토양유기탄소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0.11g\;kg^{-1}yr^{-1}$) 이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논 토양의 유기탄소 축적기능을 통해, 토양 중에 저장함으로써 논토양이 온실가스 흡수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paddy soils have long been almost uniformly managed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with flooded, deep tillage, puddlling, transplanting, and uncovering after harvest. Management of soil organic carbon could be more important in the sources of green house gases. However, soil organic carbon dyn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3 gram) were used to digest with K2Cr2O7 by heating at 200℃ for 2 hours and were titrated using diphenylamine indicator. In this study, we assumed that surface paddy soils have insignificant level of inorganic carbon. Topographic characteristics, types of paddy soils, surface soil texture, and taxonomical properties are characterized from soil survey data (NIAST, 2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llen, L.H. Jr., S.L. Albrecht, K.J. Boote, J.M.G. Thomas, Y.C. Newman, and K.W. Skirvin. 2006. Soil Organic Carbon and Nitrogen Accumulation in Plots of Rhizoma Perennial Peanut and Bahiagrass Grown in Elevated Carbon Dioxide and Temperature. J. Environ. Qual. 2006;35:1405-1412 

  2. Cambardella, C.A. and H.W. Doran. 1996. Assessing soil quality by testing organic matter. p. 41-50. In Jerry M. Bogham et al. (ed.) Soil organic matte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SSA Special publication No. 46. SSSA, Madison, WI, USA 

  3. Esuola, A.G. and A. Weersink. 2006. Carbon Banks: An Efficient Means to Exchange Sequestered Carbon. J. Environ Qual. 35:1525-1532 

  4. Frenzluebbers, A.J. and J.L. Steiner. 2002. Climatic influences on soil organic carbon storage with no tillage. In Kimble et al. (ed.), Agricultural practices and policies for carbon sequestration in soil, Lewis Publ., Boca Raton, FL 

  5. Guo, Y., P. Gong, R. Amundson, and Q. Yu. 2006. Analysis of Factors Controlling Soil Carbon in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Soil Sci. Soc. Am. J. 70:601-612 

  6. Hooker, B. A., T.F. Morris, R.Peters, and Z.G. Cardon. 2005. Long term Effects of Tillage and Corn Stalk Return on Soil Carbon Dynamics. Soil Sci. Soc. Am. J. 69:188-196 

  7. Jung, W.K. and Y.H. Kim. 2006. Soil organic carbon determination for calcareous soils. Korean J. Soil Sci. Fert. 39:396-402 

  8. Lal, R. 2004. Soil carbon sequestration impacts on global climate change and food security. Science 304:1623-1626 

  9. Lal, R., J. Kimble, and R.F. Follett. 1997. Pedospheric processes and the carbon cycle. p. 1-8. In Rattan Lal et al. (ed.) Soil process and the carbon cycle. CRC Press. Boca Raton, FL, USA 

  10. Lal, R., M. Griffin, J. Apt, L. Lave, M.G. Gorgan. 2004. Managing soil carbon. Science 304:393 

  11. Machado, S., K. Rhinhart and S. Petrie. 2006. Long Term Cropping System Effects on Carbon Sequestration in Eastern Oregon. J Environ Qual. 35:1548-1553 

  12.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3. Olness, A., D. Lopez, J. Cordes, C. Sweeney, N. Mattson, and W.B. Voorhees. 2002. Agricultural practices and policies for carbon sequestration in soil, Lewis Publ., Boca Raton, FL 

  14. Parkin, T.B. and T.C. Kaspar. 2003. Temperature Controls on Diurnal Carbon Dioxide Flux: Implications for Estimating Soil Carbon Loss. Soil Sci. Soc. Am. J. 67:1763-1772 

  15. Sainju, U.M., A. Lenssen, T. Caesar Tonthat, and J. Waddell. 2006. Tillage and Crop Rotation Effects on Dryland Soil and Residue Carbon and Nitrogen. Soil Sci. Soc. Am. J. 70:668-678 

  16. Sherrod, L. A., G.A. Peterson, D.G. Westfall, and L.R. Ahuja. 2005. Soil Organic Carbon Pools After 12 Years in No-Till Dryland Agroecosystems. Soil Sci. Soc. Am. J. 69:1600-1608 

  17. VandenBygaart, A. J. and B.D. Kay. 2004. Persistence of Soil Organic Carbon after Plowing a Long-Term No-Till Field in Southern Ontario, Canada. Soil Sci. Soc. Am. J. 68:1394-1402 

  18. Wall, G.W., R.L. Garcia, B.A. Kimball, D.J. Hunsaker, P.J. Pinter Jr., S.P. Long, C.P. Osborne, D.L. Hendrix, F. Wechsung, G. Wechsung, S.W. Leavitt, R.L. LaMorte, and S.B. Idso. 2006. Interactive Effects of Elevated Carbon Dioxide and Drought on Wheat. Agron. J. 98:354-381 

  19. Weil, R.R. and F. Magdoff. 2004. Significance of soil organic matter to soil quality and health. In F. Magdoff and R.R. Weil (ed.). Soil organic matter in sustainable agriculture. CRC Press. Boca Raton, FL, USA 

  20. Zach, A., H. Tiessen, and E. Noellemeyer. 2006. Carbon Turnover and Carbon-13 Natural Abundance under Land Use Change in Semiarid Savanna Soils of La Pampa, Argentina Soil Sci. Soc. Am. J. 70:1541-1546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