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영화와 TV드라마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 이미지와 상징성
Color Images and Symbolism of Traditional Dress in Korean Films and TV Dramas Set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2, 2008년, pp.34 - 47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전여선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popular interest in costumes in Korean films and TV dramas has increased, traditional dress in works has re-evaluated with modern perspective of the Western color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dress for women appeared in works aft...

주제어

참고문헌 (30)

  1. 김희정 (2000). 한국 영화의상의 변천과 기능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9 

  2. 전여선 (2007). 한국 영화와 TV드라마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의 변화와 이미지의 상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20 참조 

  3. 정시화 (2001). 한민족의 빛과 색中 '한국의 색채문화' 참고정시화, 한국인의 색채의식. 도서출판국제, 200 

  4. 하용득 (1989). 한국전통색과 색채 심리. 명지출판사, p. 31. 

  5. 이지현 (2005). 한국 복식색채의 특성과 문화 기호론적 해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9 

  6. 윤지영, 노주현 (2006). 20세기 전반 동?서양의 시대색에 관한 비교 연구: 시대 복식과 현대 영화의상에서의 재현 비교를 통해. 복식, 56(4), pp. 108-123 

  7. 구미래 (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p. 38. 

  8. 전여선 (2007). 한국 영화와 TV드라마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의 변화와 이미지의 상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26 참조(궁중복식, 사인복식, 기녀복식) 

  9. 전여선. (2007). 한국 영화와 TV드라마 전통복식에 나타난 색의 변화와 이미지의 상징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7-29 참조 

  10. 이재만 (2005). 한국의 색. 일진사 

  11. 백영자, 이순원 (2000). 한국복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pp. 186-187 

  12. 강병희, 조희래, 김영인 (1998). 한국적 복식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색동의 색채 분석. 의류, 22(3) 

  13. 김희정 (1999). 현대패션에 나타난 동양적 복식이미지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세리, 이경자 (2001). 한국복식에 나타난 고유배색연구-조선시대 후기 복식유물을 중심으로-. 색채, 단행본, pp. 127-133 

  15. 김지영, 김영인 (2006). 기층문화를 통한 한국복식의 색채특성연구, 복식, 56(5), pp. 29-43 

  16. 김양희, 소황옥 (1998). 조선시대 여자복식에 나타난 배색연구. 복식, 25(1), pp. 157-170 

  17. 김은경, 김영인 (2006). 한국인의 흰색상징, 색채, 20 (4), pp. 25-40 

  18. 김은경, 김영인 (2007). 한국인의 백의풍속〔白依風俗〕에 내재된 미의식. 복식, 56(7), pp. 1-18 

  19. 은지연 (2002). 영화 춘향전의 복식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영화전문저널 필름 2.0, 10년이 지나도 멋스러운 영화를 위한 프로덕션 디자이너 정구호의 비주얼 전략 엿듣기, 2003.10 발췌 

  21. 양지영, 김영인 (2005). 패션디자인에 있어서 보색배색의 색채 균형에 관한 연구. 색채, 19(2), pp. 49-58 

  22. 조주연, 김영인 (2006). 국내 여성복 패션이미지에 따른 배색연구. 복식, 56(4), pp. 160-171 

  23. http://movie.naver.com/movie/bi/mi/detail.nhn?code 43547&mbc 영화전문저널 필름 2.0 2001.01 발췌 

  24. http://www.kbs.co.kr/drama/hwangjiny/about/cast/index.htmlmbc,dramanet 10회차 대본 발췌 

  25. Davis. M. L. (1980). Visual Design Dress, Prentice Hall, Inc, Englewood Cliffs, New Jersey 

  26. 박영순, 이현주 (1998). 색채와 디자인. 교문사 

  27. 김은경, 김영인 (2004). 보문: 보라색 복식의 이미지 특성. 의류, 24(3), pp. 373-385 

  28. 나한태 (1992). 동, 서양의 영화를 통해 본 색채비교, 영화의 해 실적과 평가. 서울: 영화진흥공사, p. 45 

  29. 임원희 (2001). 

  30. 이지현 (2004). 한국 복식색채의 특성과 문화기호론적 해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