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전기 여성용 대금형(對襟形) 상의류에 관한 연구 -인천 석남동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Symmetric Collared Jackets in Early Joseon Dynasty -Based on the Excavated Costumes of Seok-nam-dong, Incheo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7 no.6 = no.115, 2007년, pp.135 - 144  

송미경 (경기도박물관 학예연구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the three pieces of jackets with a symmetric collar that was used to fill in the empty spaces in coffin excavated in 2004, from Seok-nam-dong, Nam-gu, Incheon. The similarities of these three jackets are that the collars are symmetric, there are seops(the outer bodies to overla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글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것은 대금형 상의 3 점으로 보고서 발간4)이후 문헌과 출토된 복식을 참고하여 연구결과를 보완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조선 시대 초기 복식 가운데 깃이 앞 중심에서 겹쳐지지 않고 맞닿는, 좌우동형의 여자 덧저고리로 착용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복식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연구결과를 보완하고자 한다. 연구에서 조선 시대 초기 복식 가운데 깃이 앞 중심에서 겹쳐지지 않고 맞닿는, 좌우동형의 여자 덧저고리로 착용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복식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5세기에 착용되었을 대금형 상의의 연구를 통하여 조선시대 전기 여성복식의 일면을 보완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우림 (2006). 서울. 경기지역의 조선시대 사대부 묘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7 

  2. 조효숙, 배순화 (2005). 출토복식의 직물고찰, 인천 석남동 회곽묘 출토복식 인천, 인천광역시립박물관, p.103 

  3. 中國美術全集-工藝美術編 7 印染織織(下) (1993). 北京: 文物出版社, p. 9 

  4. 인천광역시립박물관 (2005). 인천 석남동 회곽묘 출토. 복식. 인천: 인천광역시립박물관 

  5. 고부자 (2007). 大田 出土 江陳 金氏(女. 朝蘇 前期) 遺物 韓國服節, 第二十五號. pp. 46-49, p. 52 

  6. 황유선 (1999). 조선시대 저고리類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世祖實錄 世祖 6年 4月 乙卯: 박성실 (1992). 조선시대 저고리類 명칭에 관한 연구, p. 452 

  8. 박성실 (1992). 조선전기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52 

  9. 김향미 (2004). 마고자와 대금형 상의류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9-42 

  10. 이은주 (2000)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안동대학교박물관, p. 44 

  11. 하명은 (2004). 조선시대 문관 흉배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2 

  12. 경기도박물관 (2004) 명품선 경기도박물관, p. 108 

  13. 경기도박물관 (2005).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p. 19 

  14. 趙豊, 金琳 主編 (2005) 黃金. 絲網. 靑花盜. 香港: 藝秒堂/服節出版, pp. 76-84 

  15. 고부자 (2007). 大田 出土 江陳 金氏(女. 朝蘇 前期) 遺物 韓國服節, 第二十五號, p. 53 

  16. 黃能題, 陳姐姐(2002). 中國絲網科技藝術七千年. 北京: 中國防織出版社, pp. 166-171 

  17. 香港藝術館編(1995). 鎬藝緣衣巧天工. 香港: Hong Kong Museum of Art. pp. 202-203 

  18. 월정사 성보 박물관 (2004). 유물로 보는 오대산 문수신앙 월정사 성보 박물관, pp. 60-61 

  19. 黃能題, 陳姐娟 (2002). 中國絲網科技藝術七千年. 北京: 中國防織出版社, p. 161 

  20. 趙豊, 金琳 主編 (2005) 黃金. 絲網. 靑花盜. 香港: 藝秒堂/服節出版, pp. 76-84 

  21. 國立歷史博物館(1998). 邊域朋珠 苗族服節特典- 黔東南. 臺北: 國立歷史博物館 出版社, pp. 114-115 

  22. 黃能馥, 陳姐姐(1999) 中華歷代服節藝術. 北京: 中國旅遊出版社, p. 288 

  23. 河北省文物鼎究所(2001). 宣化遺馥, (下) 北京: 文物出版社. 彩板五 

  24. 홍나영 (1999). 後短方領半賢에 관한 고찰. 服飾, 44, pp. 117-129 

  25. 樓國大學校 石宙善紀念博物館 (1999). 韓國服節第十七號- 樓國大學校石宙善紀念博物館, p. 78 

  26. 樓國大學校 石宙善紀念博物館 (1997). 韓國服節第十 五號. 禮國大學校石富善紀念博物館, pp. 84-85 

  27. 박성설 (1992). 조선전기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53 

  28. 江西省文物考古硏究所 (2003, 2). 南昌明宇靖王夫人吳氏墓發握簡報. 文物, pp. 19-34 

  29. 北京文物精麗大系編委員會, 北京市文物局編織練卷. 北京: 文物出版社,, p. 68. p. 72 

  30. 아주문물학회 (2003). 위대한 얼굴 아주문물학회, p.2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