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udragit^{(R)}$ RL과 RS의 비에 따른 삼투정 펠렛의 약물방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rug Release from Osmotic Pellet Related to the Various Ratio of $Eudragit^{(R)}$ RL and R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1 no.4, 2007년, pp.329 - 334  

윤주용 (전북대학교 BK-21고분자BIN융합연구팀) ,  구정 (전북대학교 BK-21고분자BIN융합연구팀) ,  이수영 (한국화학연구원 융합바이오기술연구센터) ,  김병수 (한국화학연구원 융합바이오기술연구센터) ,  김문석 (한국화학연구원 융합바이오기술연구센터) ,  이봉 (부경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강길선 (전북대학교 BK-21고분자BIN융합연구팀) ,  이해방 (한국화학연구원 융합바이오기술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구를 통한 약물전달시스템 중 하나인 삼투압을 이용한 삼투정 펠렛의 제조는 타블렛 제형이 갖는 제조 공정상의 복잡함과, 생산비용 등의 문제들을 줄이고자 시도되었다. 삼투정 펠렛은 수팽윤성 시드층과 약물층 그리고 반투막층으로 구성되었으며, 이중에서 반투막층은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반투막층으로 사용되는 Eudragit RL과 RS의 비에 대한 영향과 코팅두께에 따른 약물방출 거동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모델약물인 니페디핀을 포함한 삼투정 펠렛의 제조는 유동층 코팅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비교적 높은 코팅 수율과 $1300{\sim}1500\;{\mu}m$ 크기의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의 Eudragit RL과 RS의 비에 따른 약물방출 거동을 보면, Eudragit RL의 비가 증가할수록 약물의 방출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Eudragit RL이 RS보다 친수성 4차 암모늄 그룹을 더 많이 갖기 때문이다. 또한 반투막의 코팅 두께가 증가할수록 약물의 방출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 반투막과 모델약물의 pH의 변화에 대한 약물방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H 1.2, 6.5, 6.8, 7.2의 서로 다른 pH에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pH의 변화에 관계없이 약물방출이 안정적으로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삼투정 펠렛의 약물방출은 펠렛의 반투막 조성과 코팅두께에 의존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smotic pellet system, which is one of the oral drug delivery systems,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manufacturing process, reduce product cost and other problems of osmotic tablet systems. Osmotic pellet is consisted of water swellable seed layer, drug layer, and membrane layer. Among them, the m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델약물의 약물방출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삼투정 펠렛이 위장관(GI tract) 내에서 pH의 변화에 관계없이 약물방출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델약물은 효율적인 칼슘채널 차단제로 고혈압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니페디핀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Azarmi, J. Farid, A. Nokhodchi, S. M. Bahari-Saravi, and H. Valizadeh, Int. J. Pharm., 246, 171 (2002) 

  2. A. Boza, I. Carabello, J. Alvarez-Fuents, and A. M. Rabasco, Ind. Pharm., 25, 229 (1999) 

  3. H. O. Ammar and R. M. Khalil, Ind. Pharm., 23, 1043 (1997) 

  4. T. Kristmundsdottir, O. S. Gudmundsson, and K. Ingvarsdottir, Int. J. Pharm., 137, 159 (1996) 

  5. D. M. Omari, A. Sallam, A. Abd-Elbary, and M. El-Samaligy, Int. J. Pharm., 274, 85 (2004) 

  6. H. B. Lee, D. H. Lee, B. K. Kang, S. Y. Jeung, and. G. Khang, J. Korean Pharm. Sci., 32, 241 (2002) 

  7. L. Liu,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Korea Polym. J., 7, 289 (1999) 

  8. L. Liu, J. Ku, B. Lee, J. M. Rhee, and H. B. Lee, J. Control. Release, 68, 145 (2000) 

  9. D. H. Lee, G. Khang, and H. B. Lee, Biometer. Res., 5, 1 (2001) 

  10. F. Theeuwes, Pharm. Int., 5, 293 (1981) 

  11. S. C. Jeong, S. K. Chon, Y. H. Jo, M. S. Kim, B. L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29, 288 (2005) 

  12. R. C. Rowe, Int. J. Pharm., 29, 37 (1986) 

  13. M. M. Meier, L. A. Kanis, and V. Soldi, Int. J. Pharm., 278, 99 (2004) 

  14. Y. Zhang, Z. Zhang, and F. Wu, J. Control. Release, 89, 47 (2003) 

  15. F. W. Goodhart, M. R. Harris, K. S. Murthy, and R. U. Nesbitt, Pharm. Technol., 8, 64 (1984) 

  16. I. Niopas and A. C. Daftsios, J. Pharm. Biomed. Anal., 32, 1213 (2003) 

  17. M. Takahashi, M. Mochizuki, T. Itoh, and M. Ohta, Chem. Pharm. Bull., 42, 333 (1994) 

  18. E. C. Feleder, M. Befumo, M. A. Ricci, Coppari, and J. Faour, Clin. Pharmacol. Therap., 75, PI-41 (2004) 

  19. L. Liu,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Bio-Med Mater. Eng., 9, 297 (1999) 

  20. S. C. Jeong, Y. H. Jo, M. S. Kim, B. Lee, G. Khang, J. M. Rhee, and H. B. Lee, Polymer(Korea), 30, 112 (2006) 

  21. A. Akhgari, H. Afrasiabi Garekani, F. Sadeghi, and M. Azimaie, Int. J. Pharm., 305, 22 (2005) 

  22. R. Pignatello, M. Ferro, G. D. Guidi, G. Salemi, M. A. Vandelli, S. Guccione, M. Geppi, C. Forte, and G. Puglisi, Int. J. Pharm., 218, 27 (2001) 

  23. R. Zelko, A. Orban, K. Suvegh, Z. Riedl, and I. Racz, Int. J. Pharm., 244, 81 (2002) 

  24. J. E. Hogan, Int. J. Pharm., 3, 17 (1982) 

  25. V. Androins, M. Yoshioka, and G, Zografi, J. Pharm. Sci., 86, 346 (1997) 

  26. M. R. Abbaspour, F. Sadeghi, and H. A. Garekani, Int. J. Pharm., 303, 88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