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PMC의 입도에 따른 염산벤라팍신 및 카바마제핀 서방성 정제의 용출 특성
Effect of Particle Size of HPMC on Dissolution Rate of Venlafaxine HCl and Carbamazepine Sustained Release Tablet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6 no.3, 2012년, pp.332 - 337  

차재욱 (삼성정밀화학(주)) ,  차자현 (삼성정밀화학(주)) ,  홍준기 (삼성정밀화학(주)) ,  이성완 (삼성정밀화학(주)) ,  고원화 (삼성정밀화학(주)) ,  백현호 (삼성정밀화학(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약물의 용해도에 따른 서방성 용출 거동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고분자의 입도에 따른 염산벤라팍신과 카바마제핀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사용된 고분자는 경구를 통한 서방성 약물전달 시스템 설계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이며, HPMC의 입도 분포에 따른 팽윤 속도의 차이는 중요한 특성으로 약물의 용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 HPMC 입도에 따른 정제 표면을 분석하기 위해 SEM을 사용하였으며, 결정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DS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용출 특성의 주요 메카니즘을 파악하기 위해 용출 모델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약물의 용해도 및 HPMC의 입도에 따라 약물의 용출 거동을 조절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find the properties of sustained release dissolution pattern depending on solubility of drugs, so venlafaxine HCl and carbamazepine tablets were made by using polymer wich various particle size.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HPMC) has been utilized in this...

주제어

참고문헌 (26)

  1. S. C. Jeong, S. K. Chon, Y. H. Jo, M. S. Kim, B L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29, 288 (2005). 

  2. J. L. Ford, M. H. Rubinstein, F. McCaul, J. E. Hogan, and P. J. Edgar, Inter. J. Pharm., 40, 223 (1987). 

  3. J. Siepmann, H. Kranz, R. Bodmeier, and N. A. Peppas, Pharmaceut. Res., 16, 1748 (1999). 

  4. I. Chiwele, B. E. Johes, and F. Podczeck, Chem. Pharm. Bull., 48, 951 (2000). 

  5. W. Kim, B. J. Song, D. S. Kim, S. J. Kim, S. K. Lee, H. L. Kim, D.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34, 269 (2010). 

  6. M. V. Velasco, J. L. Ford, P. Rowe, and A. R. Siahboomi, J. Control. Release, 57, 75 (1999). 

  7. L. X. Yu, G. L. Amidon, J. E. Polli, H. Zhao, M. U. Mehta, D. P. Conner, V. P. Shah, L. J. Lesko, M. L. Chen, V. H. L. Lee, and A. S. Hussain, Pharm. Res., 19, 921 (2002). 

  8. M. Lindenberg, S. Kopp, and J. B. Dressman, Eur. J. Pharm. Biopharm., 58, 265 (2004). 

  9. S. Jamzad and R. Fassihi, Inter. J. Pharm., 312, 24 (2006). 

  10. S. Turner, C. Federici, M. Hite, and R. Fassihi, Drug Dev. Ind. Pharm., 30, 797 (2004). 

  11. G. Tournel, N. Houdret, V. Hedouin, M. Deveaux, D. Gosset, and M. Lhermitte, J. Chromatography B, 761, 147 (2001). 

  12. S. N. Makhija and P. R. Vavia, J. Pharm. Biomed. Anal., 28, 1055 (2002). 

  13. M. Matoga, F. Pehourcq, K. Titier, F. Dumora, and C. Jarry, J. Chromatography B, 760, 213 (2001). 

  14. G. Singh, B. Ghosh, D. Kaushalkumar, and V. Somsekhar, AAPS Pharm. Sci. Tech., 9, 791 (2008). 

  15. L. Y. Jin, Y. Zhang, N. N. Ma, Y. H. Sun, C. M. Jiao, and S. M. Li, Chin. J. Pharm., 6, 116 (2008). 

  16. J. Y. Kim, H. T. Kim, and C. K. Kim, J. Kor. Pharm. Sci., 38, 335 (2008). 

  17. S. Mandal and S. D. Mandal, J. Pharm. Sci. Rev. Res., 3, 56 (2010). 

  18. J. M. Kratz, M. R. Teixeira, L. S. Koester, and C. M. O. Simoes, Brajilian J. Med. Biol. Res., 44, 531 (2011). 

  19. J. L. Ford, M. H. Rubinstein, and J. E. Hogan, Inter. J. Pharm., 24, 327 (1985). 

  20.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l Convention, U. S. Pharmacopeia National Formulary, 34, 4572 (2011). 

  21.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l Convention, U. S. Pharmacopeia National Formulary, 34, 2158 (2011). 

  22. A. K. L. Kabir, T. Jesmeen, R. Jahangir, M. Rahman, and A. S. S. Rouf, Stamford J. Pharm. Sci., 1, 51 (2008). 

  23. S. K. Singh, J. K. Pandit, and D. N. Mishra, Acta Pharm. Sinica, 48, 167 (2006). 

  24. P. Mura, M. T. Fauucci, A. Manderioli, G. Bramanti, and L. Ceccarelli, J. Pharm. Biomed., 18, 151 (1998). 

  25. A. A. Aboelwafa and E. B. Basalious, AAPS Pharm. Sci. Tech., 11, 1026 (2010). 

  26. M. Otsuka, H. Hasekawa, and Y. Matsuda, Chem. Pharm. Bull., 47, 852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