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각과 지구 내부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대안 개념
Alternative Con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Crust and Interior of the Earth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8 no.3, 2007년, pp.266 - 276  

정구송 (양재고등학교) ,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암석, 지각, 판구조론 그리고 지구 내부에 대하여 학생들이 어떠한 대안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해 수준을 보이고 있는지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문과 드로잉 과제를 이용하였으며, 아울러 다양한 질문안을 통하여 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15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결과에서 학생들은 연구 영역에 대하여 많은 대안 개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대안 개념들은 암석의 정의와 생성 과정에 대한 이해, 대륙 지각해양 지각의 지형적 성분상의 구분, 해양 지각의 생성과 소멸과정에 대한 이해, 판과 대륙의 이동 여부와 원인, 화산 지진 활동의 발생 원인과 장소 등에 관련된 내용들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드로잉에서 분석된 대안 개념은 핵과 맨틀의 상태를 포함한 지구 내부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구분에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igh school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and understanding levels about rocks, crust, plate tectonics and interior of the Eart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drawing assignments, and interviews. A total of 158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면담 및 설문, 드로잉 결과물들은 연구에 동참한 3명의 지구과학 교사들에 의해 만들어진 틀에 따라분류되어졌으며, 이후 자료 분석은 일관된 통일성을 기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영역에 대하여 문헌에서 제안하는 다양한 질문안과 드로잉 과제 그리고 설문을 통하여 암석과 지각에서의 변화와 변동, 판구조론, 그리고 지구 내부 구조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수준과 대안 개념을 밝히는데 있다.

가설 설정

  • 학생 B: 지각은 지구 초기에 마그마가 굳어져 만들어진 단단한 것이니까. 지각이 없어진다는 것은 지구가 폭발한다거나 그런 것이 아니면 없어지지는 않겠죠.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국동식, 1991, 대기압, 조석, 계절변화에 대한 학생의 개념과 학년 간 이해의 차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3 p 

  2. 박진홍, 2001, 야외지질 학습장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암석과 지질구조 동정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8 p 

  3. 전인영, 국동식, 1998, 구름 생성 개념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오개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9(3), 269-275 

  4. 정진우, 1991, 중학교 학생들의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오개념의 형성 원인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2(4), 304-322 

  5. Beilfuss, M., 2004, A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of the earth's interior using drawing tasks. Ph. D.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USA, 146 p 

  6. Bezzi, A. and Happs, J., 1994, Belief systems as barriers to learning in geological education.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2 (2), 134-140 

  7. DeLaughter, J., Stein, S., Stein, C, and Bain, K., 1998, Preconceptions about earth science among students in an introductory course. Eros, 79, 429 

  8. Finley, P.N., Stewart, J., Yarroch, W.L., 1982,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t and difficult science content. Science Education, 66 (4), 531-538 

  9. Ford, DJ., 2003, Sixth grader' conception of rocks in their Local Environment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51, 373-377 

  10. Gosselin, D.C., 2002, Pre-/post-knowledge assessment of an earth science course for elementary/middle school education majo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0 (2), 169-175 

  11. Kusnick, J., 2002, Growing pebbles and conceptual prisms-Understanding the source of student misconceptions about rock formation.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0 (1), 31-39 

  12. Libarkin, J.C, Beilfuss, M. and Kurdziel, J., 2003, Research methodologies in science education: Mental models and cognition in education,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1 (1), 121-126 

  13. Libarkin, J.C, Anderson, S., Dahl, J., Beilfuss, M. and Boone, W., 2005, Qualitativ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ideas about the earth: interview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1), 17-26 

  14. Marques, L. and Thompson D., 1997, Misconceptions and conceptual changes concerning continental drift and plate tectonics among Portuguese students aged 16-17.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5 (2), 195 

  15. Muthkukrishna, N., Carnine, D., Grossen, B., and Miller, S., 1993, Children's Alternative frameworks: Should they be directly addressed in science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 (3), 233-248 

  16. Perkins, D.N. and Unger, C, 1999, Teaching and learning for understanding.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Mah-wah, New Jersey, USA, 2, 91-114 

  17. Raia, F, 2005, Students' understanding of complex dynamic system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2), 297-308 

  18. Ross, K. and Shuell, T. 1993, Children's beliefs about earthquakes. Science Education, 77 (2), 191-205 

  19. Schoon, K. and Boone, W., 1998, Self-efficacy and alternative conception of sci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553-568 

  20. Stead, B. and Osborne, R., 1980, Exploring science students' concepts of light. Th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26 (3), 84-90 

  21. Trend, R., 2000, Conceptions of geological time among primary teacher trainees, with reference to their engagement with geoscience, history, and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5), 539-555 

  22. Wandersee, J.H., Joel J.M. and Novak, J.D., 1994, Research on alternative conception in science.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177-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