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 내부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정신모형 탐색
Investig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ental Models about the Earth's Interior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8 no.6, 2007년, pp.645 - 654  

정구송 (양재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구 내부에 대한 학생들의 정신모형을 분석하고 대안개념을 조사한 것이다.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12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리기 과제와 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그리기 과제와 분류틀을 제작하였다. 면담과 그리기 과제의 결과물들 통하여 부호화 틀에 따라 네 단계의 인지적 모형으로 분류하였고, 대안 개념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정신모형의 관련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지구 내부에 대하여 많은 대안 개념을 보였다. 분류된 정신모형은 소박한 모형이 11%, 불안정 모형이 81%, 개념적 모형이 8%로 나타났으며, 정적 정신모형으로 분류된 학생은 69%로 나타났다. 정신모형의 성별 분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mental models and alternative conceptions about the Earth's interior. A total of 126 10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equested to draw Earth's interior tasks and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mental models. A coding fr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높였다. 그리고 최종 분류틀이 만들어진 후나머지 자료들은 통일성을 기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분류를 진행하였다.
  • 연구 목적은 지구 내부에 대한 학생들의 정신모형과 대안개념의 유형으로 알아보고 아울러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다.
  • 이 수준에서는 지구 내부 구조를 묘사하는데 있어 핵심적 특징들을 잘 표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물리 .화학적 특성, 그리고 지구 내부에 대한 면담 내용에서도 과학적으로 정확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핵으론부터 상승하는 에너지의 흐름(밀도차에 의한 맨틀百 대류)에 대한 타당한 설명을 보였다.

가설 설정

  • 그리고 교육 과정의 계획 단계에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올바른 개념 형성을 위한 학습 지도 자료로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Marques and Thompson, 1997). 본 연구에서는 정신모형이 제시된 과제의 지식 구조와 내용에 대한 표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학생들의 그리기 과제와 면담 결과물을 분석함으로써 유형에 따른 정신모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
  • 연구자: 지구의 겉 부분에서 중심부까지 그러한 물질들만 존재하고 있을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박지연, 이경호, 2004, 과학개념변화 연구에서 학생의 개념에 대한 이해: 오개념에서 정신모형까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21-637 

  2. 송진웅, 1993, 교사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존경하는 과학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48-55 

  3. 오준영, 김유신, 2006, 천문 현상들을 설명하는 예비 초등교사들의 정신모형의 연구: 계절과 달의 위상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68-87 

  4. 이기영, 2006, 상황에 따른 개념 유형의 국면 분석을 통한 중학교 과학 영재아들의 조석에 간한 정신모형 탐색.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7(1), 6-14 

  5. 정구송, 2006, 존재론적 범주와 정신모델에 근거한 지각과 지구 내부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대안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9 p 

  6. Beilfuss, M., 2004, Exploring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ground-water through student's interviews and drawings.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Annual Conference, Vancouver, British Columbia, 146 p 

  7. Chi, M.T., 1998, The nature of naive explanations of natural sel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 (10), 1231-1256 

  8. Chi, M.T., 2000, Cognitive understanding levels. Encyclopedia of psychology. Kazkin, A.E. (ed), 2: 146-151. APU and Oxford University Press 

  9. Dicker, R., Kafantaris, V., Coletti, D.J., Padula, G., Pleak, R.R., and Kane, J.M., 2004, Lithium treatment of acute mania in adolescents: A placebo-controlled discontinuation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3 (8), 984-993 

  10. diSessa, A.A., 1993, Toward an epistemology of physics. Cognition and Instruction, 10, 105-225 

  11. Dove, J., 2000, Exploring a hydrological concept through children's draw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 (5), 485-497 

  12. Edens, K. and Potter, E., 2003, Using descriptive drawings as a conceptual change strategy in elementary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3 (3), 135-144 

  13. Glynn, S., 2004, Guidelines for drawing mental models available on-line http://www.coe.uga.edu/edpshchlfaculty/glynn/guidelines/guidenlines.html 

  14. Greca, I.M. and Moreira, M.A., 2001, Mental, physical, and mathematical model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hysics. Science Education, 85 (6), 106-121 

  15. Gobet, J.D., 2005, The effects of different learning tasks on model-building in plate tectonics: Diagramming versus explain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4), 444-455 

  16. Hall-Wallace, M., 2002, Visualizing earth's inaccessible interior-what works for students? Proceedings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nnual Meeting, Denver, CO, USA 

  17. Johnson-Laird, P.N., 1983, Mental models: Towards a cognitive science of lanuage, inference, and consciousnes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USA 

  18. Katharyn, E. and Ketter, N., 1999, Using analogies to teach plate tectonics concept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7 (5), 449-454 

  19. Lakoff, G and Johnson, M., 1980, Metaphors we live b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USA, 276 p 

  20. Libarkin, J.C., Beilfuss, M., and Kurdziel, J., 2003, Research methodologies in science education: Mental models and cognition in education.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1 (1), 121-126 

  21. Lillo, J., 1994, An analysis of the annotated drawings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arth made by students aged 10-15 from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Spain. Teaching Earth Sciences, 19 (3), 83-89 

  22. Marques, L. and Thompson D., 1997, Misconceptions and conceptual changes concerning continental drift and plate tectonics among Portuguese students aged 16-17.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5 (2), 195 

  23. Paivio, A., 1990, Mental representations: A dual-coding approach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NY, USA, 322 p 

  24. Van der Veer, G, 2000, Mental models of incidental human-machine interaction www. Faculty of Sciences,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The Netherlands. Retrieved Jun, 10, 2002, http://www.cs.vu.n1/gerrit/mmi9910-reportl.doc 

  25. Vosniadou, S. and Brewer, W.F., 1992, Mental models of the earth: A study of conceptual in childhood. Cognitive Psychology, 24 (4), 535-585 

  26. Wittmann, M.C; 2002, The object coordination class applied to wave pulses: Analysing student reasoning in wave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1), 97-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