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과학 교과서 시각 이미지의 사회-기호학적 분석: '날씨'와 '일기예보'를 중심으로
The Socio-semiotic Analysis of Visual Image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Weather and Forecast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8 no.3, 2007년, pp.277 - 288  

이정아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맹승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날씨'와 '일기예보'를 다루고 있는 시각적 이미지를 사회-기호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시각적 이미지는 실제 세상의 현상을 묘사하는 '실체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든 시기의 초등 과학 교과서의 시각적 이미지는 대부분 학생들에게 친숙하였음을 의미한다. 시각적 이미지와 학생 사이의 의사소통에 대한 주도권 양상은 복잡하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시각적 이미지들은 시기에 관계없이 대부분 기하학적 코드나 숫자 문자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시각적 이미지의 정보의 양과 형태, 구조 및 사회적 의미 등을 해석하는 새로운 분석도구를 제안해준다. 또한 차기 과학교과서의 이미지 선택에 사회-기호학적 관점을 도입하는 하나의 전기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visual images covering 'weather' and 'weather forecast'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socio-semiotic perspective.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visual images were 'realistic' which were descriptive of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념적 메타기능은 시각적 이미지가 무엇에 대하여 말하고 있는지, 즉 시각적 이미지가 담고 있는 내용을 분석한다. 상호적 메타기능은 시각적 이미지의 생산자와 해석자 사이의 사회적 관계 및 지위가 어떠한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구성적 메타기능은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서 시각적 이미지를 구성하는 기호들 이내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익균, 1993, 중학교 과학 일과 에너지 단원에 제시된 삽화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해. 물리교육, 11(2), 121-139 

  2. 박시현, 우종옥, 1994, 한.일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1), 58-69 

  3. 백남권, 서승조, 조태호, 김성규, 박강은, 이경화, 2002, 제 6차와 제7차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교과서의 내용과 삽화의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61-70 

  4. 송판섭, 김정덕, 문병찬, 김해경, 2003, 제6차와 제7차 교육 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교과서 삽화 비교 분석: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2(3), 251-259 

  5. 오원근, 강지영, 박은정, 2005, 열의 전도 및 상태 변화에 대한 중등학생들의 선개념이 교과서의 삽화 이해에 미치는 영향. 새물리, 56(6), 363-374 

  6. 우종욱, 정완호, 권재술, 최병순, 정진우, 허명, 1992, 초등학교 자연교과서 개발 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109-128 

  7. 유영미, 2004, 과학교과서에 내재된 성별 지배 이데올로기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4(1), 39-67 

  8. 이형철, 안정희, 2005, 한.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비교 연구. 초등과학교육, 24(2), 138-144 

  9. 최영란, 이형철, 1998,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의 삽화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2), 45-53 

  10. 한재영, 2006,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화살표의 의미. 초등과학교육, 25(3), 244-256 

  11. Ametller, J. and Pinto, R., 2002, Students' reading of innovative images of energy at secondary school leve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3), 285-312 

  12. Cobley, P., 2001, Introducing semiotics (2nd ed.). Totem Books, Cambridge, USA, 182 p 

  13. Colin, P., Chauvet, R, and Viennot, L., 2002, Reading images in optics: students' difficulties and teachers' 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3), 313-332 

  14. Dimopoulos, K., Koulaidis, V., and Sklaveniti, S., 2003, Towards an analysis of visual images in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press articles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 (2), 189-216 

  15. Halliday, M.A.K., 1978, Language as social semiotic: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language and meaning. Edward Arnold, London, 256 p 

  16. Halliday, M.A.K., 199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2nd ed.). Edward Arnold, London, 434 p 

  17. Jacobi, D., 1999, Le communication scientifique: Dis-cours, figures, modeles. Presses Universitaires de Grenoble, Grenoble, 277 p 

  18. Kress, G, Jewitt, C, Ogborn, J., and Tsatsarelis, C, 2001, Multimodal teaching and learning: the rhetorics of the science classroom. Continuum, New York, USA, 188 p 

  19. Kress, G and van Leewen, T, 2006, Reading Images: The grammar of visual design (2nd ed.). Routledge, New York, USA, 291 p 

  20. Lemke, J., 1998, Multiplying meaning: Visual and verbal semiotics in scientific text. In Martin, J. R. and Veel R. (eds.), Reading science: Critical and functional perspectives on discourse of science. Routledge, London, 87-113 

  21. Pinto, R., 2002, Introduction to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in an Information Society (STTIS)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3), 227-234 

  22. Pinto, R. and Ametller, J., 2002, Students' difficulties in reading images: Comparing results from four national research group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3), 333-341 

  23. Roth, W.M., Pozzer-Ardenghi, L., and Han, J.Y., 2005, Critical graphicacy: Understanding visual representation practices in school science. Springer, Dordrecht, 285 p 

  24. Storey, J., 1993, An introductory guide to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238 p 

  25. Stylianidou, F, 2002, Analysis of science textbook pictures about energy and pupils' readings of the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3), 257-283 

  26. Testa, I., Monroy, G, and Sassi, E., 2002, Students' reading images in kinematics: the case of real-time graph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3), 235-3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