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백합과(科) 5종의 아미노산 조성 및 유연관계
Amino Acid Composition and Relationship of the Five Venerid Clams (Mollusca, Bivalvia) in Korea 원문보기

韓國養殖學會誌 = Journal of aquaculture, v.20 no.2, 2007년, pp.75 - 80  

윤호섭 (전남대학교 양식생물) ,  안윤근 (전남대학교 양식생물) ,  최상덕 (전남대학교 양식생물) ,  김정 (전남대학교 수산증양식연구센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합과(科)에 속하는 유용패류인 살조개, 바지락, 백합, 개조개 및 가무락조개 등 5종간의 아미노산 조성과 그에 따른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백합과(科) 5종의 주요아미노산 구성은 ureanine, taurine, proline, glycine, alanine, arginine 등으로 나타났다. 백합과(科) 5종간 아미노산 함량으로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살조개와 바지락간에는 0.89, 가무락조개와 백합간에는 0.94, 개조개는 살조개와 바지락간에 0.88을 보였으며, 가무락조개와 백합, 살조개, 바지락 및 개조개간에는 0.52의 유사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ino acid composition and relationship of the commercially valuable five Korean Veneridae, Protothaca jedoensis, Ruditapes philippinarum, Meretrix lusoria, Saxidomus purpuratus and Cyclina sinensis were compared. The major amino acids of five species in Veveridae clams were ureanine, taurine, pro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상업적으로 중요한 유용패류 중 백합科 5종에 대하여 식품영양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육질부와 내장 부위의 아미노산 조성을 조사하였고, 유연 종간의 이화학적 특성에 따른 유사도를 구하여 백합科 내의 종간 유연관계를 밝혀보고자 한다.
  • 백합科에 속흐]는 유용패류인 살 조개, 바지락, 백합, 개조개 및 가무락조개 등 5 종간의 아미노산 조성과 그에 따른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백합科 5종의 주요아미노산 구성은 ureanine, taurine, proline, glycine, alanine, arginine 등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에 서식하는 백합科 5종에 대하여 근육 및 내장의 화학적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백합科내 5종의 주요 구성아미노산을 기존의 연구 결과(국립수산진흥원, 1995) 와 비교하여 보면, 백합科 5종의 경우 lycine 및 glutamic acid 의 성분이 구성 아미노산에 주로 차지하고 있어 위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이를 제외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등은 총 구성 아미노산 함량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다소 차이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Ito, K., 1959.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muscle extracts of aquatic animals. The amount of free amino acids in the muscle of shell fishes and their variation during spoilage. Bull. Japan Soc. Sci. Fish., 25, 658-660 

  2. Kinsella, J.E., 1987. Potential sources of fish oil. In seafoods and fish oil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Marcel Dekker Inc., New York, pp. 239-255 

  3. Konosu, S. and Y. Maeda, 1961. Muscle extracts of aquatic animals IV. Distribution of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muscle extracts of an abalone. Bull. Japan Soc. Sci. Fish., 27, 251- 254 

  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996. Food Balance shee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pp. 186-198 

  5. Kwon, O.K., K.M. Pack, M.S. Yoo and Y.G. Hong, 1997. Coloured shell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371 pp 

  6. 국립수산진흥원, 1995. 주요 패류 성분분석. 위생가공연구실, 216 pp 

  7. 김귀식, 임정훈, 배태진, 박춘규, 김명희, 2002. 고막 및 새고 막의 부위별 식품성분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5(5), 512- 518 

  8. 김귀식, 하봉석, 배태진, 진주현, 김현주, 1993. 새조개 생육과 자숙육및 자숙액즘의 식품성분비교. 2. 함질소 엑스성분 및 무기성분의 비교. 한수지, 26, 111-119 

  9. 김홍진, 문숙임, 조용계, 1985. 피조개의 일건 중 유리아미노산 의 변화.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4, 339-344 

  10. 라재경, 2001. 개조개 근육 및 내장 중 식품성분의 계절적 변 화에 관한 연구. 여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pp 

  11. 류병호, 이응호, 1978. 배건담치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한수 지, 11, 65-84 

  12. 박춘규, 2002. 피조개, 새고막 및 고막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 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34(6), 954-961 

  13. 박춘규, 2002. 피조개, 새고막 및 고막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 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34(6), 954-961 

  14. 정형택, 김정, 신종암, 서호영, 최상덕, 2004. 한국산 백합과 5 종의 유전적 유연관계. 한국양식학회지, 17, 251-2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