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막만 해역에 방류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의 초기 먹이섭취 패턴과 어체성분 변화
Initial Feeding Habits an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Released into the Gamak Bay 원문보기

韓國養殖學會誌 = Journal of aquaculture, v.20 no.2, 2007년, pp.90 - 95  

지승철 (긴키대학 수산연구소) ,  이시우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  유진형 (천하제일사료) ,  김양수 (긴키대학 수산연구소) ,  정관식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  명정구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자원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라남도 여수시 가막만에 방류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li 치어의 초기 먹이섭취 및 먹이조성 그리고 체성분 변화에 대해 1개월간 추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류 감성돔은 방류 후 1일째부터 먹이섭취가 이루어졌으며, 포식율은 조사기간 동안 80% 이상을 보였다. 먹이조성은 방류 후 15일째까지 낚시미끼와 가두리에서의 사료 유출물 등 인공먹이를 주로 섭취하였으나, 그 후 20일 이후부터 자연먹이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방류 후 5일 그리고 10일째의 A 정점(SA) 방류 감성돔의 전어체 조지방 함량이 방류전, B 정점(SB) 그리고 양식어(CUL)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방류 30일째의 전어체의 n-3 HUFA 조성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방류어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가막만에 방류된 감성돔은 빠른 먹이섭취가 이루어졌으며, 초기 먹이섭취 및 먹이조성은 어체성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tificially-produced juvenil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total length $10.4{\pm}1.1\;cm$, body weight $18.7{\pm}3.4\;g$) were released into the Gamak Bay in Korea. And their initial feeding habits and body composition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ultured fis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방류용 감성돔의 영양학적 측면에서의 생산관리기술 개발을 통한 우량종묘 생산과 초기 환경적응력 개선을 통해 방류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방류한 감성돔 치어의 초기 먹이섭취 및 먹이조성 그리고 체성분 변화에 대해 1 개월간 추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kiyama, T., T. Murai and T. Nose, 1983. Fluctuations in some body components of fingerling chum salmon after release. Bull. Natl. Res. Inst. Aquaculture, 4, 107-112 

  2.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sis Chemists. 15th ed. Arlington. Virginia, 1298 pp 

  3. AOCS, 1990. AOCS official method. (in) Official Method and Recommended Practice of the AOCS, 4th ed., Vol I, AOCS. Champaign, USA, 89 pp 

  4. Fushimi, H., 2001. Production of juvenile marine finfish for stock enhancement in Japan. Aquaculture, 200, 33-53 

  5. Huh, S. H. and S. N. Kwak, 1998. Feeding habits of juvenile Acanthopagrus schlegeli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 J. Ichthyol., 10, 168-175 

  6. Ji, S. C., J. H. Yoo, S. W. Lee, H. J. Go, G. S. Jeong and J. G. Myeong, 2004. Comparison of digestive organ and body composition among the cultured, wild and released fish, 1-year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J. Kor. Fish. Soc., 37, 462- 468 

  7. Lee, H. Y. M., M. W. Park and I. G. Jeon, 2000. Comparison of nutri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wild and cultured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J. Kor. Fish. Soc., 33, 137- 142 

  8. Matsumiya, Y. and K. Kiso, 1982. Movements and adaptation process in Shijiki Bay, Hirao Island. Bull. Seikai Reg. Fish. Res. Lab., 58, 89-98 

  9. Nakagawa, H., H. Imabayashi, H. Kurokura and S. Kasahara, 1991. Changes in body constituents of young red sea bream, Pagrus major in reference to survival during experimental stocking. Biochem. System. Ecol., 19, 105-110 

  10. Nakagawa, H., J. Karakawa and M. Yamamoto, 1994. Changes in body constituents of young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Bleeker) released into the Inland Sea of Japan. The 3rd Asian Fish. Forum, Asian Fish. Soc. Manila, Philippines, pp. 880-883 

  11. Nakagawa, H., T. Umino, M. Hayashi, T. Sasaki and K. Okada, 2000. Changes in biochemical composition of black sea bream released at 20 mm size in Daio bay, Hiroshima. Suisanzoshoku, 48, 643-648 

  12. Om, A. D., T. Umino, H. Nakagawa, T. Sakai, K. Okada, M. Asano and A. Nakagawa, 2001. The effects of dietary EPA and DHA fortification on lipolysis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in juvenil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Aquacult. Res., 32, 255-262 

  13. Umino, T., M. Hayashi, J. Miyatake, K. Nakagawa, T. Sasaki, K. Okada and H. Nakagawa, 1999. Significance of release of black sea bream at 20-mm size on stock enhancement in Daio Bay, Hiroshima. Suisanzoshoku, 47, 337-342 

  14. Villa-Navarro, J., H. Nakagawa and M. Takada, 1990. Changes in lipid accumulation of young red sea bream, Pagrus major released into the Inland Sea of Japan (Setonaikai). La Mer, 28, 286-291 

  15. Yamashita, H., T. Umino, S. Nakahara, K. Okada and H. Nakagawa, 1996. Comparison of bio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hatchery-produced and wild black sea bream. Nippon Suisan Gakkaishi, 62, 89-93 

  16. Yamashita, H., T. Umino, S. Nakahara, K. Okada and H. Nakagawa, 1997. Changes in some properties of black sea bream released into the Daio bay, Hiroshima. Fish. Sci., 63, 267-271 

  17. Yoo, J. H., D. J. Hwang, Y. H. Yoon, G. S. Jeong and H. J. Go, 2003. Initial adaptation of released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in Gamak Bay, southern coast in Korea. J. Kor. Fish. Soc., 36, 365-371 

  18. Yoo, J. H., G. S. Jeong, M. G. Ju, S. C. Ji and J. G. Myoung, 2004. Abstract, Joint Meeting Korean Society of Fisheries Science, pp. 341-34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