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종 돔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비교
Comparative Studies of the Cytotoxic Effect of Four Different Sea Bream Species (Pagrus major, Acanthopagus schlegeli, Oplegnathus fasciatus, and Girella punctat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9 = no.209, 2017년, pp.1064 - 1069  

황성연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는 감성돔(A. schlegeli), 참돔(P. major), 돌돔(O. fasciatus) 및 벵에돔(G. punctata)에 대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체 위암세포(AGS)와 인체 결장암세포(HT-29)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4종의 돔 A+M 및 MeOH 추출물들을 AGS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A+M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5 mg/ml에서 참돔(P. major)과 감성돔(A. schlegeli) 추출물은 80% 이상의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벵에돔(G. punctata)이 70%, 돌돔(O. fasciatus)이 53%의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MeOH 추출물의 경우 참돔(P. major)과 돌돔(O. fasciatus) 추출물이 약 80% 이상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났으며, 이어서 감성돔(A. schlegeli)과 벵에돔(G. punctata) 추출물이 약 70% 정도의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4종의 돔의 HT-29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는 AGS 암세포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세포독성 효과는 다소 낮았다. 참돔(P. major), 감성돔(A. schlegeli), 돌돔(O. fasciitis) 및 벵에돔(G. punctata)의 A+M 추출물의 $IC_{50}$ 값은 각각 3.35, 6.16, 6.17 및 4.47 mg/ml이었고 MeOH 추출물의 경우 $IC_{50}$ 값은 각각 3.61, 5.52, 2.07, 및 6.06 m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4종 돔 중에서 참돔(P. major) 추출물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아 참돔(P. major) 추출물을 용매 극성에 따라 분획하여 얻어진 n-hexane, 85% aq.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에 의한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 본 결과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AGS 및 HT-29암세포에 대한 $IC_{50}$ 값은 각각 0.33 및 1.58 mg/ml로 나타났다. 따라서 참돔(P. major)의 85% aq. MeOH 분획물은 AGS 및 HT-29 세포 모두에서 가장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보여 85% aq. MeOH 분획물에 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본 연구 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향후 참돔의 다양한 생리활성 규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cytotoxic effect of extracts from four different sea bream species (Pagrus major, Acanthopagus schlegeli, Oplegnathus fasciatus, and Girella punctata) in human cancer cell lines. Cytotoxic activity against the growth of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GS) and HT-29 human col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는 감성돔(A. schlegeli), 참돔(P. major), 돌돔(O. fasciatus) 및 벵에돔(G.  punctata)에 대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영양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용매 극성에 따라 추출하여 인체 위암세포(AGS)와 인체 결장암 세포(HT-29)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참돔은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 참돔(P. major)은 우리나라의 경우 남해, 서해 및 동해의 수심 10∼200 m 바닥의 기복이 심한 암초지역에 두루 분포하고 있다. 체색이 아름답고, 육조직의 맛이 좋아 횟감 및 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15].
감성돔은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 감성돔(Acanthopagurs schlegeli)은 농어목 도미과의 어류로, 일본의 서태평양 해역과 우리나라 서·남해, 동중국해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 감성돔은 양식뿐만 아니라 어업과 낚시의 주요 대상 종으로 수산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아 남해안을 중심으로 매년 수십만 마리가 방류되는 국내의 주요 방류 대상종이다[16].
참돔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major)은 우리나라의 경우 남해, 서해 및 동해의 수심 10∼200 m 바닥의 기복이 심한 암초지역에 두루 분포하고 있다. 체색이 아름답고, 육조직의 맛이 좋아 횟감 및 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15]. 돌돔(Oplegnathus fasciatus)은 농어목 돌돔과 어류로서 태평양 전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연안의 수심이 비교적 얕은 천해의 암초지역에서 서식하며 저서 동물을 주로 섭식하고 산란기는 4~7 월로 알려져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e, J. H. and Lim, S. Y. 2010. Metals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four sea bream species (Acanthopagrus schlegelii Bleeker, Pargrus major Temminck and Schlegel, Oplegnathus fasciatus Kroyer and Girella punctata Gray). Philipp. Agric. Scientist 95, 102-108. 

  2. Bae, J. H. and Lim, S. Y. 2011. Comparison between ordinary and dark muscle extracts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on chemical characteristics, antiproliferativeand antioxidant properties. J. Food Technol. 9, 99-105. 

  3. Bae, J. H. and Lim, S. Y. 2012. Chemical composition,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lipid classes in ordinary and dark muscles from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as). Food Chem. Toxicol. 50, 823-828. 

  4. Bae, J. S., Jung, J. M., An, C. M., Kim, J. W., Hwang, S. D., Kwon, M. G., Park, M. A., Kim, M. C. and Park, C. I. 2016. Piscidin: Antimicrobial peptide of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Fish Shellfish Immunol. 51, 136-142. 

  5. Denizot, F. and Lang, R.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 to the tet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lity. J. Immunol. Methods 89, 271-277. 

  6. Hwang, W. I., Baik, N. G., Hwang, Y. K. and Lee, S. D. 1992. Antitumor and immunological effects of tuna extract. J. Kor. Soc. Food Nutr. 21, 353-366. 

  7. Hwang, S. Y. and Lim, S. Y. 2015. Heavy meta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 effect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Comparative studies in domestic and imported red sea bream (Pagrus major). J. Life Sci. 25, 450-455. 

  8. Jang, J. R., Choi, H. J., Kim, K. K. and Lim, S. Y. 2008. Effect of extracts from dried mackerel on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J. Life Sci. 18, 680-685. 

  9. Jang, J. R., Kim, K. K., Mun, S. B. and Lim, S. Y. 2009. In vitro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tuna dried at low temperature vacuum. J. Life Sci. 19, 633-638. 

  10. Kim, S. S., Rahimnejad, S., Song, J. W. and Lee, K. J. 2012.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and whole-body amino acid composition in red seabream (Pagrus major) fed free or dipeptide form of phenylalanine. Asian-Aust J. Anim. Sci. 25, 1138-1144. 

  11. Kong, C. S., Bak, S. S., Jung, K. O., Kil, J. H., Lim, S. Y. and Park, K. Y. 2005.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salted mackerel with various kinds of salts. J. Kor. Fish. Soc. 38, 281-285. 

  12. Mahfouz, E. M., Sadek, R. R., Abdel-Latiel, W. M., Mosallem, F. A. H. and Hassan, E. E. 2014. The role of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colorectal cancer: case control study in Minia, Egypt. Cent. Eur. J. Public Health 22, 215-222. 

  13.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2. Agricultural and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pp. 302-317, MIFAFF Press, Seoul, Korea. 

  14. Na, N. 1997. The cardiac internuncial cell in Carassius auratus longsdorffi and other 19 teleost species: a fine-structural study. Arch. Histol. Cytol. 60, 405-419. 

  15. Venmathi Maran, B. A., Oh, S. Y., Soh, H. Y. and Choi, H. J. 2012. Caligus sclerotinosus (Copepoda: Caligidae), a serious pest of cultured red seabream Pagrus major (Sparidae) in Korea. Veter. Parasitol. 188, 355-361. 

  16. Yoo, M. H., Hwang, D. J., Yoon, Y. H., Jeong, G. S. and Go, H. J. 2003. Initial adaptation of related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in Gamak bay, southern coast in Korea. J. Jor. Fish. Soc. 36, 365-3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