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프 기법에 의한 서울시 아파트 평면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Apartment House Plans in Seoul by Means of a New Graph-theoretic Method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8 no.2, 2007년, pp.121 - 128  

서경욱 (아키프라자 건축사사무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vestigation of the apartment housing as a dwelling type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and popular research subject to understand the housing culture in Korea. In their methods of typological analysis, it is found that most studies represent each unit plan as a simplified architectural draw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teadmane 건축 형태학에 관한 제 이론을 집대성한 Architectural Morphology( 1983)이라는 그의 저서에서 건축 평면을 분석하기 위한 5가지 위계의 가능성을 논하였다.<그림 1> 그림에서 가장 최상위에 있는 level 1에는 아직 규정되지 않은 단계의 방들이 존재한다.
  • 또한 이러한 방식은 평면이 커질수록 내부가 점차 복잡해져 한눈에 알아보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와 함께 데이터로서의 처리속도 또한 느릴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보다 빠르고 간편하며 최소한의 정보를 가지고 평면유형을 분석할 수 있는 위상학적 그래프 표현기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 기법을 활용하여 어떤 종류의 분석이 가능한지를 실제 강남구의 아파트 평면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제시된 그래프 표현기법을 통하여 우리나라 아파트의 계획방법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가장 보편적인 평면 형태 중 하나인 계단실형 3침실 아파트 평면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강남구에 지어진 평면을 수집하여 분석을 하였다.
  •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위상학적 그래프 기법이 최근에 저자에 의해 제시된 바 있으며(Seo, 게재 예정) 본 연구에서는 이 기법을 활용하여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의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 그래프 표현방식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쳐 만들어지게 된다.
  • 즉, 본 연구에서 제안한 그래프의 장점이 각 공간의 평면 안에서의 위치를 단순한 독립적 좌표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연결관계(access)와 인접관계(adjacency)에 의해 서로 연결된 위상학적 좌표로서 인식한다는 점에 있지만, 실제 실들의 배치는 그것과 상관없는 결정론적인 방식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정을 좀 더 정확히 검증하기 위하여 이번에는 다른 방식의 분석을 하고자 한다.
  • 가장 보편적인 평면 형태 중 하나인 계단실형 3침실 아파트 평면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강남구에 지어진 평면을 수집하여 분석을 하였다. 이제까지의 기존 연구에서는 분류학적으로 어떤 유형이 더 오래 또 많이 쓰였는가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유형 분류 방법에 대한 재고와 더불어 각 평면도 안의 어떤 특정한 계획적 요소가 특히 중요한 고려 대상이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 조사의 표본으로는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강남구에 지어진 자료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 모든 아파트 평면을 선택하였고, 그 중에서도 가장 비중이 높은 세 개의 침실을 가지고 있는 계단실형 아파트로 범위를 좁혔다. 편복도형 아파트와 2000년대 이후에 그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타워형 아파트에 대한 연구는 별도의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하지만 이 그래프 기법은 두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그래프의 표현이 너무 복잡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동서남북의 방위로 연결되는 그래프 형태가 장점이기는 하지만 선분과 점들을 더 많이 그려야 하기 때문에 그래프에 표현되는 정보의 양이 너무 늘어나게 되는 단점이 생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수암.박용환(1992), 집합주택 단위평면 유형의 고정화 현상에 관한 연구(III),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7) 

  2. 세진사(1990, 2002), 아파트 백과 

  3. 통계청(2001), 2000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4. Brown F. and Steadman, J.P. (1991), 'The morphology of British housing: an empirical basis for policy and research. Part I: Functional and dimensional characterstic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Vol.18 

  5. Cousin, J. (1970), 'Topological Organization of Architectural Space', Architectural Design 40, pp.491-493 

  6. Friedman, Y. (1975), Towards a Scientific Architecture, trans. by C Lang, MIT Press, Cambridge 

  7. Glassie, H. (1975), Folk Housing in Middle Virginia, Th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Knoxville 

  8. Habraken, N.J., Boekholt, J.T. and Dinjens, P.J.M (1976), Variations;the systematic design of supports, MIT Press, Cambridge 

  9. Levin, P.H. (1964), 'The Use of Graphs to Decide the Optimum Layout of Buildings', Architects' Journal 140, pp.809-815 

  10. March, L. and Steadman, J.P. (1971), The Geometry of Environment: An introduction to spatial organisation in design, MIT Press, Cambridge 

  11. Seo, Kyung Wook (게재예정), 'Space Puzzle in a Concrete Box: finding design competence that generates the modern apartment houses in Seoul',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12. Steadman, J.P. (1970), The Automatic Generation of Minimum-standard House Plans, Working paper 23, Center for Land Use and Built Form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13. Steadman, J.P.(1983), Architectural Morphology: An introduction to the geometry of building plans, Pion Limited, Londo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