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휴지를 활용한 최적의 도시 녹지 공간 탐색 - 녹지연결성과 열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
Exploration of Optimal urban green space using unused land - To improve green connectivity and thermal environment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2 no.5, 2019년, pp.45 - 56  

김은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윤은주 (일본국립환경연구소 기후변화적응센터) ,  박채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green areas are generally composed of relatively small and fragmented patches, but it is a critical factor for the quality of an urban environment. They have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asing green connectivity, reducing runoff, and mitigating urban heat. But, there is a lack of urban green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환경문제 중 ‘도시 열 환경 개선’과 생물 서식지 확보를 위한 ‘녹지 연결성 증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가장 효율적인 도시녹지를 탐색하기 위해 유휴지를 대상으로 최저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공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개발로 인한 복합적인 환경문제가 예상되는 노원구 지역을 대상으로 두 가지 환경문제(도시 열 환경, 녹지연결성)와 비용을 고려한 최적의 녹지 공간 계획 모델을 제시하였다. 소규모 유휴지를 도시 녹지로 조성함에 따라 각 효과간에 trade-off효과가 나타났으며 계획안에 따라 환경 문제 해결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 녹지의 LST 저감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 유휴지의 평균 면적과 유사한 녹지의 효과를 평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Table 2). 선행연구 조사 결과, 녹지 규모에 따른 녹지의 LST(Land Surface Temperature)값, 주변 LST 저감량 및 저감 범위가 균일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의 연구 대상 유휴지 평균 면적이 6,000m2임을 고려하여 녹지가 갖게 되는 표면온도 저감효과를 1℃, 효과범위를 30m로 설정하였으며(Li et al.
  • 녹지 선정 위치에 따라 두 가지 효과 수준이 달라지는 것을 고려해 볼 때 녹지의 복합적인 효과와 비용을 고려한 공간 최적화 계획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녹지 조성의 공간을 기존의 유휴지로 설정하였으며 실제 공간적용을 위해 각 목표에서 정량적인 평가 도면을 구축하여 녹지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녹지의 연결성을 증진하기 위해 써킷스케이프를 활용하여 전류의 흐름이 높게 나타나는 지역에 녹지 조성이 필요한 곳으로 설정하였다. 써킷스케이프의 입력 자료로 활용되는 저항값 산출은 개별적인 서식지나 생물종을 목표로 하지 않고, 지역 전반적인 연결성 평가를 바탕으로 저항값을 설정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Pelletier et al.
  • 그러나 실제지역을 대상으로 녹지계획을 할 때는 대부분이해당사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무작위 변경(교차 및 변이)과 정량적 평가(적합성평가), 더 나은 계획의 선택을 위해 반복함으로써 녹지의 복합적이고 정량적인 효과가 반영된 계획과정을 만들고자 하였다.
  • 하지만 기존의 철거비, 용도변경시 소요되는 준비기간, 소유권의 이해관계, 관련 법・제도 등의 문제들이 수반하게 됨에 따라 유휴지를 적극 활용하기 위한 복잡한 운영절차를 밟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휴지 23개소(9931.27)를 대상으로 녹지 계획의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하여(비용, 간편한 절차) 도시 내 소규모 유휴지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녹지의 LST 저감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 유휴지의 평균 면적과 유사한 녹지의 효과를 평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다(Table 2). 선행연구 조사 결과, 녹지 규모에 따른 녹지의 LST(Land Surface Temperature)값, 주변 LST 저감량 및 저감 범위가 균일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의 연구 대상 유휴지 평균 면적이 6,000m2임을 고려하여 녹지가 갖게 되는 표면온도 저감효과를 1℃, 효과범위를 30m로 설정하였으며(Li et al. 2018), 2개 이상의 녹지의 효과범위가 겹치는 곳은 시너지 효과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1.5℃ 감소 효과를 설정하였다(Yoon etal 2019a; Zhang et al.,2017). 또한 도시녹지로 바뀐 유휴지에 대해서는, 기존의 노원구 지표면 온도자료(Landsat 8, 2018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내 유휴지는 무엇인가? 도시 내 유휴지는 지역 주민의 생활공간에 위치함에 따라 향후 활용 가능성을 잠재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철거비, 용도변경시 소요되는 준비기간, 소유권의 이해관계, 관련 법・제도 등의 문제들이 수반하게 됨에 따라 유휴지를 적극 활용하기 위한 복잡한 운영절차를 밟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 대상지로, 서울특별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노원구가 선정된 이유는? 도시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시녹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지역을 시가화 지역으로 제한하였다. 서울시의 행정구역간 환경적 문제를 비교하여 시가화지역의 1) 표면온도가 높고, 2) 생태축이 단절된 지역, 3) 유휴지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지역을 기준으로 노원구가 선정 되었다. 2018년07월28일 landsat8영상 자료를 통해 서울시 시가화 지역을 대상으로 지표면온도를 도출한 결과 노원구의 평균온도는 32.
노원구의 생태계 훼손과 파편화된 서식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은? 파편화된 서식처는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지 못하며, 생태계 회복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파편화된 도시 내 녹지 간 연결성을 평가하고 생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dreas, M..M. Helmut and I. Moses G. 1999. Applications of a universal thermal index: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43 : 76-84 

  2. C. Y. Park.D. K. Lee.H. G. Kim and J. H. Park. 2016. Urban Heat Mitigation Effect of Tree on Microscopic Scal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9(4) : 305-315. 

  3. Caparros-Midwood, D..S. Barr and R. Dawson. 2015. Optimised spatial planning to meet long term urban sustainability objective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54 : 154-164. Elsevier B.V. 

  4. Cheng, X..B. Wei.G. Chen.J. Li and C. Song. 2015. Influence of park size and its surrounding urban landscape patterns on the park cooling effect.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41(3) : 1-10. 

  5. Desrochers A, Belisle M, Morand-Ferron J, Bourque J. 2011. Integrating GIS and homing experiments to study avian movement costs. Landscape Ecology. 26: 47-58. 

  6. Du, H..W. Cai.Y. Xu.Z. Wang.Y. Wang and Y. Cai. 2017. Quantifying the cool island effects of urban green spaces using remote sensing Data.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 27(February) : 24-31. Elsevier. 

  7. Fintikakis, N..N. Gaitani.M. Santamouris.M. Assimakopoulos.D. N. Assimakopoulos.M. Fintikaki.G. Albanis.K. Papadimitriou.E. Chryssochoides.K. Katopodi and P. Doumas. 2011. Bioclimatic design of open public spaces in the historic centre of Tirana, Albania.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1(1) : 54-62. Elsevier B.V. 

  8. Garcia, G. A..E. P. Rosas.A. Garcia-Ferrer and P. M. Barrios. 2017. Multi-objective spatial optimization: Sustainable land use allocation at sub-regional scale. Sustainability (Switzerland) 9(6). 

  9. Gwak, J.H., Lee, B.K., Lee, W.K., Sohn, S.Y., 2017. Optimal location selection for the installation of urban green roofs considering honeybee habitats along with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effects. J. Environ. Manage. 189, 125-133 

  10. Jang. N-J and J. Kim. 2011. "A Study on the Urban Park Management System with Special Use Permits in Seoul". Seoul Dvelopment Institute 

  11. Jee, J.-B..B.-Y. Kim.I.-S. Zo.K.-T. Lee and Y.-J. Choi. 2016. Retrieval of Land SurfaceTemperature based on High Resolution Landsat 8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2) : 171-183. (In Korean) 

  12. Kim, D-H.T-S. Seo.M-Y. Lee.W-S.Han.J-Y. Im.H-A. Kim. 2015. "A Study on the Analysis of Vacant and Underutilized Land". (In Korean) 

  13. Kim, G..Y. Lee.J. H. Kim.H. Choi and B. Kim. 2018. Analysis of the Cooling Effects in Urban Green Areas using the Landsat 8 Satellite Data 34(2) : 167-178. (In Korean) 

  14. Kong, H..S. Kim.S. Park.S. Lee.Y. Shin.J. Kil.J. Lee.T. Choi.S. Park.H. Yun.K. Shim.J. Go and S. Park. 2016. Effect of Land Use on Urban Thermal ENvironment in Incheon, Korea 3(4) : 315-321. (In Korean) 

  15. Lee. J-M. M-K.Lee and S-H.Oh. 2016. "Tactical Utilization System of Vacant Urban Space". (In Korean) 

  16. Lee. W-S, S-G.Jung.K-H.Park and K-T. Kim. 2010.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Environment-Friendly Spatial Plan.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 : 142-154. (In Korean) 

  17. Li, H..Y. Zhou.X. Li.L. Men.X. Wang.S. Wu and S. Sodoudi. 2018. A new method to quantify surface urban heat island intensit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24 : 262-272. The Authors. 

  18. Lin, W..T. Yu.X. Chang.W. Wu and Y. Zhang. 2015. Calculating cooling extents of green parks using remote sensing: Method and tes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34 : 66-75. Elsevier B.V. 

  19. Lu, S..W. Wang.S. Wang and E. C. Hameen. 2019. Thermal comfort-based personalized models with non-intrusive sensing technique in office buildings. Applied Sciences (Switzerland) 9(9). 

  20. McRae BH..Dickson, BG..Keitt. TH and Shah. VB. 2008. Using circuit theory to model connectivity in ecology, evolution, and conservation. Ecology. 89(10): 2712-2724 

  21. Nor, A. N. M..R. Corstanje.J. A. Harris.D. R. Grafius and G. M. Siriwardena. 2017. Ecological connectivity networks in rapidly expanding cities. Heliyon 3(6) : e00325. Elsevier Ltd. 

  22. Pelletier D, Clark M, Anderson MG, Rayfield B, Wulder MA, Cardille JA. 2014. Applying circuit theory for corridor expansion and management at regional scales: Tiling, pinch points, and omnidirectional connectivity. PLos ONE. 9(1): E84135. 

  23. Yoon, E.-J..E.-J. Song.Y.-H. Jeung.E.-Y. Kim and D.-K. Lee. 2018.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Unexecuted Urban Park using ACO.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1(2) : 39-51. (In Korean) 

  24. Yoon, E..E. Kim.J. Kim and D. K. Lee. 2019b. Connectivity Assessment Based on Circuit Theory for Suggestion of Ecological Corridor. J. Environ. Impact Assess. 28(3): 275-286. (In Korean) 

  25. Yoon, E. J..B. Kim and D. K. Lee. 2019a. Multi-objective planning model for urban greening based on optimization algorithms.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 40 (February 2018) : 183-194. Elsevier. 

  26. Yu, Z..X. Guo.G. Jorgensen and H. Vejre. 2017. How can urban green spaces be planned for climate adaptation in subtropical cities? Ecological Indicators 82(July) : 152-162. Elsevier. 

  27. Zhang, Y..A. T. Murray and B. L. Turner. 2017. Optimizing green space locations to reduce daytime and nighttime urban heat island effects in Phoenix, Arizo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65(April) : 162-171. Elsevier Aboveground Biomass(AGB)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