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마참나물(Tilingia tsusimensis (Yabe) Kitagawa)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토양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he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1 no.4, 2007년, pp.303 - 310  

김무열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생물다양성연구소) ,  송호경 (충남대학교 환경임산자원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금오산과 가야산 지역에 분포하는 대마참나물 개체군이 발견되었으며, 이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토양을 분석하였다. 대마참나물 개체군은 대마참나물 전형 우점개체군과 자주꿩의다리 우점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대마참나물 개체군 분포 지역의 유기물 함량은 $25.0{\sim}32.3%$, 전질소 함량은 $0.83{\sim}1.04%$, 유효인산 함량은 $5.58{\sim}20.76ppm$, 양이온치환용량(CEC)은 $46.3{\sim}62.9$이고, 토양 PH는 $4.5{\sim}5.1$로 나타났다. 대마참나물 개체군과 환경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전형 우점개체군은 양료 중 치환성 K, Ca, Mg와 양이온치환용량이 다소 많고 해발고가 비교적 낮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자주꿩의다리 우점개체군은 전형우점개체군보다 해발고가 다소 높고, 양료 중 치환성 K, Ca, Mg와 양이온치환용량이 다소 적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found to be distributed in Mt. Gaya and Mt. Keumo. The Tilingia tsusimensis population was classified as Tilingia tsusimensis-typical dominant population and Tilingia tsusimensis-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Typical dominant population. O= Thalictrum uchiyamai dominant popul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무열, 소순구,박혜림,서은경,권혜진, 송호경(2006) 섬시호 개체군의 생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6): 78-85 

  2. 농촌진흥청(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202쪽 

  3. 박만규(197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정음사. 306쪽 

  4. 소순구,김무열,박혜림,서은경,권혜진,송호경(2006) 등대시호 개체군의 생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6): 86-94 

  5. 송호경(1990a) DCCA에 의한 계룡산과 덕유산의 삼림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79(2): 216-221 

  6. 송호경(1990b) DCCA에 의한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8: 1-5 

  7. 송호경,권기원,이돈구,장규관,우인식(1992) TWINSPAN 과 DCCA에 의한 중왕산의 삼림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83(3): 247-254 

  8. 송호경,장규관,권기원(1994) TWINSPAN과 DCCA ordination에 의한 오대산 삼림군집의 분석. 충남대학교 환경 연구보고 12: 47-54 

  9. 송호경,장규관,오동훈(1998) 설악산국립공원 지역의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환경생태학회지 11(4): 462-468 

  10. 유재은,송호경 (1989) Classification과 Ordination에 의한 속리산삼림 군집의 분석.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7: 1-8 

  11. 이영노(2002)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1237쪽 

  12. 이우철(1996) 한국식물명고(I). 아카데미서적, 811쪽 

  13. 이중효,조현제,허태철(2006)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J.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6): 521-529 

  14.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5.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6. 정진현,구교상,이충화,김춘식(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694-700 

  17. 정태현(1957) 한국식물도감(초본편). 신지사 

  18.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 Auflage. Wien, New York, 865p 

  19. Dierssen, K. (1990) Einf 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241pp 

  20. Hill, M, O, (1979)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21. Hill, M. O. and H. G. Jr. Gauch(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etatio 42:47-58 

  22. Miller. H.G. and R.L. Donahue(1990) Soils.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N.J. 768pp 

  23. Ohwi. Jisaburo(1965)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 Washington, D. C., 678pp 

  24. Peet, R. K. (1978) Latitudinal variation in southern Rocky Mountain forests. Journal of Biogeography 5: 275-289 

  25. Ter Braak, C.J.F. (1987) CANOCO - 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ordination by [partial]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tversion 2.1). TNO Institute of Applied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n. The Netherlands 

  26. Whittaker. R.H.(1967)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Biological Review. 42: 207-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