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라산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 현황과 관리방안
The Current Number of Its Individuals and Management Plan of Roe Deer(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 Inhabiting Mt. Halla(Hallasan),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1 no.4, 2007년, pp.366 - 373  

김병수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오장근 (한라산연구소) ,  오홍식 (제주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육과학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및 주변 약 $270km^2$의 면적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1998년 11월(늦가을)에서 2001년 3월(이른 봄)사이에 이루어졌으며, 2006년 11월에서 2007년 1월사이에 추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1,444마리가 확인되어 $1km^2$당 5.33마리의 노루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돈내코 등산코스 주변에서 270마리로 가장 많았고 제 2횡단도로 주변이 12마리로 가장 적게 관찰되었다. 노루집단의 관찰빈도는 한라산국립공원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겨울철 한라산노루의 분포는 인위적인 간섭보다 먹이의 양과 질에 영향을 더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searched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Roe deer (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 which inhabit Mt. Halla (Hallasan) National Park and its neighboring areas ranging about $270km^2$ areas. The research was done from November(late fall), 1998 to March(early spring), 2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지대의 먹이의 양과 질이 떨어지는 늦가을과 이른 봄 및 활동에 제약을 주는 겨울철 적설 기간 동안 중산간 일대에 분포하는 노루의 소생활권인 오름과 목장주변에 정주하는 개체들과 등산로 주변 및 인근 오름에서 관찰되는 개체들을 조사하여 한라산에 서식하는 노루의 개체수를 추정하고, 노루의 개체군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문홍(1993) 제주도 관속식물의 연구와 문제점 - 식물상 및 특산식물의 기재와 식생태 구분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과학협회 생물과학 심포지엄,14: 109-131 

  2. 김지은,김문홍(2001) 노루(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가 선호하는 한라산의 자생식물 조사.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14(1): 63-71 

  3. 박행선(1996) 야생동물의 보호관리. 제주상공회의소 제주 지역경제연구센터,pp. 72-75 

  4. 오장근(2004a) 최근 3년 동안 한라산국립공원내 노루 분포 특성. 한라산연구소조사연구보고서 3: 35-49 

  5. 오장근(2004b) 한라산국립공원내 주요도로변에서 야생동물과 차량과의 충돌사고에 관한 연구. 한라산연구소조사 연구보고서 3: 51-70 

  6. 윤성일(2003) 제주도 지역 노루(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의 생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7. Albon, S. D., R. Langvatn(1992) Plant phenology and the benefits of migration in a temperate ungulate. Oikos 65: 502-513 

  8. Atzler, R. (1984) Nahrungsangebot und wanderverhalten von Rothirschen in den Ammgauer Bergen. Z. Jagdwiss 30: 73-81 

  9. Borg, K. (1970) on mortality and reproduction of roe deer in Sweden during the period 1948-1969, Viltrevy 7(2): 121-149 

  10. Brazda, A. R. (1953) Elk migration patterns, and some of the factors affecting movements in the Gallatin river drainage, Montana. J. Wildl. Manage. 17: 9-23 

  11. Cederlund, G. (1982) Mobility response of roe deer to snow depth in a boreal habitat. Viltrevy 12(2): 39-96 

  12. Danilkin, A. A. (1996) Behavioral ecology of Siberian and European Roe deer, London: Chapman & Hall 

  13. Fryxell, J. M., A. R. E. Sinclair(1998) Causes and consequences of migration by large herbivores. Trends. Ecol. 3: 237-241 

  14. Helle, P. (1980) Food composition and feeding habits of the Roe deer in central Finland. Acta Theriologica 25(3): 395-402 

  15. Howard, W. E. (1964) Introduced browsing mammals and habitat stability in New Zealand. J. Wildl. Manage. 28: 421-429 

  16. LeResche, R. E. (1974) Moose migrations in North America. Nat. Can. 101: 393-415 

  17. Loft, E. R., J. W. Menke, T. S. Burton(1984) Seasonal movements and summer habitats of female black-tailed deer, J. Wildl, Manage. 48: 1317-1325 

  18. Mysterud, A., B. H. Bjornsen, E. Ostbye(1997) Effects of snow depth on food and habitat selection by roe deer Capreolus capreolus in an altitudinal gradient in south-central Norway. Wildl. Biol. 3: 27-33 

  19. Mysterud, A. (1999) Seasonal migration pattern and home range of roe deer (Capreolus capreoJus) in an altitudinal gradient in southern Norway. J. Zool., Land. 247: 479-486 

  20. Pullainen, E.(1974) Seasonal movements of moose in Europe. Nat. Can. 101: 379-392 

  21. Robin, K. (1975) R umliche Verschiebungen von markierten Rehen (Capreolus caperolus L,) in einem voralpinen Gebiet der Ostschweiz. Z. Jagdwiss 21: 145-163 

  22. Schoen, J. W., M. D. Kirchhoff(1985) Seasonal distribution and home-range patterns of sitka black-tailed deer on Admirality island, southeast Alaska. J. Wildl. Manage. 49: 96-103 

  23. Strandgaard, H. (1972) The roe deer (Capreolus capreolus) population at Kala and the factors regulating its size. Danish Review of Game Biology 7: 1-2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