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흉선절제술을 시행받은 중증근무력증 환자에서 흉선종이 증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ymoma on Remission for Patients Who Undergo Thymectomy for Myasthenia Gravis 원문보기

大韓胸部外科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40 no.11 = no.280, 2007년, pp.759 - 764  

김희중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박승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강성식 (을지의과대학교 흉부외과학교실) ,  이응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흉부외과) ,  김용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 ,  배지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김동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 중증근무력증 환자의 약 10% 정도에서 흉선종이 동반된다. 흉선과 흉선종은 중증근무력증의 병태생리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흉선 절제술 후 환자의 증상과 예후에 흉선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흉선종이 중증근무력증 환자의 증상 관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7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중증근무력증으로 확대 흉선절제술을 시행받은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흉선종군은 30명, 비흉선종군은 70명이었고, 두 군간의 수술 전후 Ossermann병기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비흉선종군은 평균 나이가 34.7 ($12.7{\sim}47.7$)세였다. 그리고, 수술 전 Ossermann 병기는 평균 3.06이었고, 수술 우 평균 1.41로 감소하였다 흉선종군은 평균 나이가 50.9 ($37.3{\sim}64.5$)세였다. 그리고, 수술 전 Ossermann 병기는 평균 3.00이었고, 수술 후 평균 1.47로 감소하였다. 남자의 비율은 흉선종군보다 비흉선종군에서 더 높았다(35% vs 30%). 흉선종의 Masaoka 병기는 1기가 27명, 2기가 3명이었다. 흉선종군과 비 흉선종군 간의 Ossermann 병기 변화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0.09). 결론: 흉선종의 유무는 흉선제거술을 시행받은 중증근무력증 증상의 관해나 호전에 영향이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ymoma occurs in approximately 10% of myasthnia gravis patients. The thymus or a thymoma plays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myasthenia gravis.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definitive position about the effect of thymectomy on patients' symptoms and prognosis. We retrospectively stu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아직까지흉선종이 중증근무력증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이 정립되지는 않았다. 이에 중증근무력증 환자에서 흉선절제술시 흉선종의 존재가 증상 관해와 호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Vincent A, Wilcox N, Hill M, Curnow J, MacLennan C, Beeson D. Determinant spreading and immune responses to acetylcholine receptors in myasthenia gravis. Immunol Rev 1998;164:157-68 

  2. Vincent A, Palace J, Hilton-Jones D. Myasthenia gravis. Lancet 2001;357:2122-8 

  3. Sanders DB, Scoppetta C.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yasthenia gravis. Neurol Clin North Am 1994;12:343-68 

  4. Weigert C. Pathologisch-anatomischer Beitrag zur Erbschen Krankheit (Myasthenia gravis). Neurol Zentralbl 1901;20:597-601 

  5. Blalock A, Mason MF, Morgan HJ, Riven SS. Myasthenia gravis and tumors of the thymic region: report of a case in which tumor was removed. Ann Surg 1939;110: 554-61 

  6. Bril V, Kojic C, Ilse WK, Cooper JD. Long-term Clinical outcome after transcervical thymectomy for myasthenia gravis. Ann Thorac Surg 1998;65:1520-2 

  7. Masaoka A, Yamakawa Y, Niwa H, et al. Extended thymectomy for myasthenia gravis patients: a 20-year review. Ann Thorac Surg 1996;62:853-9 

  8. Budde JM, Morris CD, Gal AA, Mansour KA, Miller JI Jr. Predictors of outcome in thymectomy for myasthenia gravis. Ann Thorac Surg 2001;72:197-202 

  9. Berrih-Akin S, Morel E, Raimond F. The role of the thymus in myasthenia gravis immunohistological and immunological studies in 115 case. Ann N Y Acad Sci 1987;505:51-70 

  10. Wakata N, Fujoka T, Nishina M, Kawamura Y, Kobayashi M, Kinoshia M. Myasthenia gravis and invasive thymoma. Eur Neurol 1993;33:115-20 

  11. Thomas CR, Wright CD, Loehrer PJ. Thymoma: state of the art. J Clin Oncol 1999;17:2280-9 

  12. Perrot M, Liu J, Bril V, McRae K, Bezjak A, Keshavjee, SH. Prognostic significance of thymomas in patiens with myasthenia gravis. Ann Thorac Surg 2002;74:1658-62 

  13. Monden Y, Nakahara K, Nanjo S, et al. Invasive thymoma with myasthenia gravis. Cancer 1984;54:2513-8 

  14. KIM DK, Kang SS, Chun MS, et al. Prognostic relevance of WHO classification and masaoka stage in thymoma.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2005;38:4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