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트 기반 Mobile IPv6에서 이동 단말은 서브넷간을 이동할 때마다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자신의 홈 에이전트와 시그널링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의 시그널링 처리 부하를 제거시킨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가 제안되었다. 즉, 네트워크에 위치한 프락시 이동성 에이전트가 시그널링과 이동성 관리를 대신 수행해줌으로써 이동 단말이 이동성 관리를 처리하지 않고도 세션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동 단말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서는 다양한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보안 메커니즘들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에 대한 보안 취약점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잠재적인 공격 목표는 합법적인 이동 단말의 네트워크 서비스 비용을 증가시키고, 이동 단말의 통신을 가로채 도청, 위변조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에 대해서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이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일반적인 IPv6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은 제외하고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에서만 존재하는 취약점으로 한정하였다.
호스트 기반 Mobile IPv6에서 이동 단말은 서브넷간을 이동할 때마다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자신의 홈 에이전트와 시그널링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의 시그널링 처리 부하를 제거시킨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가 제안되었다. 즉, 네트워크에 위치한 프락시 이동성 에이전트가 시그널링과 이동성 관리를 대신 수행해줌으로써 이동 단말이 이동성 관리를 처리하지 않고도 세션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동 단말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서는 다양한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보안 메커니즘들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에 대한 보안 취약점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잠재적인 공격 목표는 합법적인 이동 단말의 네트워크 서비스 비용을 증가시키고, 이동 단말의 통신을 가로채 도청, 위변조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에 대해서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이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일반적인 IPv6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은 제외하고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에서만 존재하는 취약점으로 한정하였다.
In the host-based Mobile IPv6, a mobile node is responsible for doing the signaling to its home agent to enable session continuity as it moves between subnets. To remove the mobile node's signalling processing load,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has been proposed recently. It allows session continui...
In the host-based Mobile IPv6, a mobile node is responsible for doing the signaling to its home agent to enable session continuity as it moves between subnets. To remove the mobile node's signalling processing load,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has been proposed recently. It allows session continuity for a mobile node without its involvement in mobility management. The proxy mobility agent in the network performs the signaling and does the mobility management on behalf of the mobile node. However, to make secure communications for a mobile node, security mechanisms against diverse attacks should be adopted. To do this, first of all security threats to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should be also identified and analyzed. Potential attack objectives may be to consume network services at the cost of a legitimate mobile node and, eavesdropping and fabrication of user traffic through interception of a mobile node's communications. This paper identifies and discusses security threats to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in details. The results of threats analysis are limited to threats that are peculiar to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except threats to IPv6 in general.
In the host-based Mobile IPv6, a mobile node is responsible for doing the signaling to its home agent to enable session continuity as it moves between subnets. To remove the mobile node's signalling processing load,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has been proposed recently. It allows session continuity for a mobile node without its involvement in mobility management. The proxy mobility agent in the network performs the signaling and does the mobility management on behalf of the mobile node. However, to make secure communications for a mobile node, security mechanisms against diverse attacks should be adopted. To do this, first of all security threats to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should be also identified and analyzed. Potential attack objectives may be to consume network services at the cost of a legitimate mobile node and, eavesdropping and fabrication of user traffic through interception of a mobile node's communications. This paper identifies and discusses security threats to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in details. The results of threats analysis are limited to threats that are peculiar to the network-based Mobile IPv6 except threats to IPv6 in genera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네트워크 기반 Mobile "에 대한 보안 취약점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의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이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보안 취약점 분석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가 3개의 인터페이스로 정의되므로 각 인터페이스별로 보안 취약성을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제안 방법
전자의 경우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후자의 경우는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 기술이 최근에 제안된 상태이므로 취약점 분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연구 초기에 있는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6의 보안 취약점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제 II장은 관련 연구로서 호스트 기반 Mobile "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고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市에 대한 동작 개요를 살펴본다. 제이 장에서는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의 보안 취 약점 을 분석하기 위해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PMIPv6(Proxy Mobile I* F尸를 선정하고, 인터페이스별 취 약점을 상세히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제
즉, MN과 액세스 라우터 역할을 수행하는 MAG간 인터페이스, MAG와 HA 역할을 수행하는 LMA간, 그리고 LMA와 理의 통신 상대인 CN(Correspondent Node; 이하 CN) 간 인터페이스이다. 보안 취약점은 크게 상기 3개의 인터페이스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취약점은 기존의 IPv6에 이미 존재하는 취약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 프로토콜 고유의 취약점이 새롭게 나타날 것이다[6TU.
수 있다. 또한 침해된 LM仏와 MAG간에 잘못된 경로를 만들고 이를 통해 리다이렉션된 MN의 트래픽을 침해된 LMA가 수신할 수 있도록 MAG를 속인다. 즉, MAG에 의해 포워딩되는 트래픽이 다른 LMA로 리 다이렉션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의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이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보안 취약점 분석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가 3개의 인터페이스로 정의되므로 각 인터페이스별로 보안 취약성을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보안 메커니즘을 적용하기 이전 상태에서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였으나 추후, 다양한 보안 메커니즘 적용에 따른 보안 취약점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대상 데이터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취약점은 기존의 IPv6에 이미 존재하는 취약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 프로토콜 고유의 취약점이 새롭게 나타날 것이다[6TU.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 프로토콜 고유의 취약점만을 분석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후속연구
보안 취약점 분석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반 Mobile IPv6가 3개의 인터페이스로 정의되므로 각 인터페이스별로 보안 취약성을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보안 메커니즘을 적용하기 이전 상태에서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였으나 추후, 다양한 보안 메커니즘 적용에 따른 보안 취약점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4)
D. Johnson, C. Perkins, and J.Arkko, 'Mobility Support in IPv6', RFC3755, July 2003
S. Gumdavelli, K. Leung, et al., 'Proxy Mobile IPv6', draft-ietf-netlmm-proxymipv6-01.txt, June 2007
Kempf, J., Leung, K., Roberts, P., Nishida, K., Giaretta, G., Liebsch, M., 'Goals for 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RFC4831, 2006.10
S. Glass, T. Hiller, S. Jacobs, C. Perkins, 'Mobile IP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Requirements', RFC2977, October 2000
김현곤 외 6명, 'AAA 정보보호 기술 표준화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0권 제1호, 2005년 2월
Kempf, J., Leung, K., Roberts, P., Nishida, K., Giaretta, G., Liebsch, M., 'Problem Statement for 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RFC4830, September 2006
C. Vogt, J. Kempf, 'Security Threats to Network-Based Localized Mobility Management (NETLMM)', RFC4832, April 2007
한국정보보호진흥원, 'IPv6 보안 기술 해설서', 2005년 10월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와이브로 보안기술 해설서', 2006년 8월
정보흥, 임재덕, 김영호, 김기영, 'IPv6 환경의 보안 위협 및 공격 분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 1호, pp.37-50, 2007년 2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