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영양위험,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The Risk of Malnutrition, Depression,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6, 2007년, pp.941 - 948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서은영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of malnutri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Methods: A total number of 154 elderly over 60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ough a community elderly center. The risk of malnutrition was measured b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의 영양위험,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었다.
  • 본 연구는 대도시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154명을 대상으로 노인 건강상태의 중요한 결정자인 영양위험정도와우울정도를 확인하고 영양위험,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대상 노인의 83 명(5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건강상태의 중요한 결정자인 영양 위험 정도와 우울정도를 확인하고 영양위험,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영양상태 및 우울개선을 위한 간호학적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0). Position of the merican dietetic association: Nutrition, aging, and the continuum of care. J Am Diet Assoc, 100(5), 580-595 

  2. Beekman, A. T. F., Copeland, J. R. M., & Prince, M. J. (1999). Review of community prevalence of depression In later life. Br J Psychiatry, 174, 307-311 

  3. Brownie, S. (2006). Why are elderly individuals at risk of nutritional deficiency? Int J Nurs Pract, 12, 110-118 

  4. Chen, C. C., Schilling, L. S., & Lyder, C. H. (2001). A concept analysis of malnutrition in the elderly. JAN, 36, 131-142 

  5. Choi, Y., Park, Y., Kim, C., & Chang, Y. (2004).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Korean J Nutrition, 37(3), 223-235 

  6. Chung, K. H. (2005). The life styles and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Forum of Health and Welfare. 101. KIHASA. Unpublished manuscript 

  7. Deschamps, V., Astier, X., Ferry, M., Rainfray, M., Emeriau, J. P., & Barberger-Gateau, P. (2002). Nutritional status of healthy elderly persons living in Dordogne, France, and relation with mortality and cognitive or functional decline. Eur J Clin Nutr, 56(4), 305-312 

  8. Dinsdale, P. (2006). Malnutrition the real eating problem. Nursing Older People, 18(3), 8-11 

  9. Furman, E. F. (2006). Undernutrition in older adults across the continuum of care: nutritional assessment, barriers, and interventions. J Gerontol Nurs, 32(1), 22-27 

  10. Hepple, J., Pearce, J., & Wilkinson, P. (2002). Psychological therapies with older people. Hove, East Sussex and New York: Brunner-Routledge 

  11. Jun, G. G., & Lee, M. K. (1992).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Depression Inventory: I. J Korean Psychol Res: Clin, 11, 65-76 

  12. Jung, Y. M., & Kim, J. H. (2004).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J Korean Acad Nurs, 34(3), 495-503 

  13. Keogh, F., & Roche, A. (1996). Mental disorders in older Irish people: Incidence, prevalence and treatment. Chapter 9. National Council for the Elderly 

  14. KlHASA (2006, July). National survey for the nutrition In 2005. Retrieved April 7, 2007,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b site: http://www.mohw.go.kr 

  15. Kim, Y. Y., Lee, H. O., Chang, R., & Choue, R. (2002). A study on the food habits, nutrient intake and the disease distribution in the elderly(aged over 65 yea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4), 516-526 

  16.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Population projects for Korea 

  17. Lee, Y. S., & Kim, H. K. (2002).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status of the elderly using public health center in Ulsan. Korean J Nutrition, 35(10), 1070-1080 

  18. Minardi, H. A., & Blanchard, M. (2004). Older people with depression: Pilot study. JAN, 46(1), 23-32 

  19. Murphy, E. (1994). Editorial: the day hospital debat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9, 517-518 

  20. Neno, R., & Neno, M. (2006). Promoting a healthy diet for older people in the community. Nursing Standard, 20(29), 59-65 

  21. Park, J. K., & Son, S. M. (2003). The dietary behaviors, depression rates and nutritional intakes of the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5), 716-725 

  22. Posner, B. M., Jette, A. M., Smith, K. W., & Donald, R. (1993). Nutrition and health risks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Am J Public Health, 83(7), 972-978 

  23.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ure, 1(3), 365-411 

  24.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2005). Who cares wins. Improving the outcome for older people admitted to the general hospital: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liaison mental health services for older people. London,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25. Uh, S. B., Kim, H. S., Back, K., Kang, K. H., Yuk, J. Y., & Kim, B. S. (2005). A study on risk factors of nutrition in a rural aged people. Korea Sport Research, 16(6), 237-250 

  26. Waugh, A. (2006). Depression and older people. Nursing Older People, 18(8), 27-29 

  27. Yim, K. S., & Lee, T. Y. (2004).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 of elderly in Korea. Korean J Nutrition, 37(3), 210-222 

  28. Yu, H. H., & Kim, I. S. (2002). Health status, dietary patterns and living habits of the elderly in Jeon-ju. Nutritional Sciences, 5(2), 91-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