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생 효모의 분리.동정 및 이를 이용한 포도주 제조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 and Its Use for the Production of Grapewin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3 no.3, 2007년, pp.217 - 221  

김정인 (중앙대학교 생명공학과) ,  이남근 (중앙대학교 생명공학과) ,  함영태 (중앙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거봉 포도로부터 분리하여 동정한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IJ850을 이용, 국내산 캠벨얼리와 거봉포도를 발효시켜 적포도주를 제조하고, 이의 발효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포도주제조용 발효균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야생발효균주의 분리를 위하여 안성지역 거봉포도와 캠벨얼리 포도즙을 실온에서 6일 동안 스타터의 첨가없이 자연발효시켜 우세균주를 분리하였다. 거봉에서 분리된 효모의 발효능이 캠벨얼리에서 분리된 효모보다 1.8배정도 높았다. 거봉에서 분리한 발효균주를 분자 생물학적 인 방법 인 26S rDNA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동정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와 99.7%의 유사성을 나타내어 Saccharomyces cerevisiae IJ850으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를 이용한 포도주의 제조에서는 캠벨얼리와 거봉포도즙의 최종 당도를 $25^{\circ}Brix$로 포도당을 이용하여 보당하고, 이산화탄소를 발효조에 채우고, 실온에서 10일간 발효시켰다. 포도주의 수율은 캠벨얼리가 75%, 거봉이 85%였고 최종 알코올 도수는 캠벨얼리가 11.0%, 거봉이 13.0%이었다. 산업용발효균주인 S. cerevisiae EC-1118과 비교한 결과 총산도는 캠벨얼리와 거봉포도주 모두에서 산업용 발효균주인 EC-1118에 비하여 분리한 S. cerevisiae IJ850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포도주의 pH와 색도 분석에서는 S. cerevisiae IJ850과 S. cerevisiae EC-1118로 제조한 포도주모두에서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었으나, 페놀 성분분석에서는 S. cerevisiae EC-1118로 제조한 캠벨얼리 포도주에서 125 mg/L의 함량을, S. cerevisiae IJ850으로 제조한 거봉포도주에서 75 mg/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국내 거봉포도로부터 분리한 S. cerevesiae IJ850는 포도주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균주로써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omestic cultured Campbell's Early and Geubong grapes were fermented far the production of red wines with the isolated wild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IJ850. For the isolation of wild yeast, Geubong and Campbell's Early grapejuices were naturally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for 6 days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조 과정 면에 있어서도 국내에서 생산되는 포도를 이용한 포도주 제조시 산도가 높고, 말릭산의 함유량이 높아 자극적이고 신맛이 강한 단점이 있으나, 박 등(11)은 carbonic maceration (CM) 발효방법으로 포도주를 제조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성지역 거봉포도로부터 분리한 야생효모 IJ85O을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동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내산 캠벨얼리와 거봉포도를 발효하여 적포도주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분리동정한 야생효모의 발효 특성과 포도주 제조용 발효균주로서의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 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merican wine society. 1999. The complete handbook of winemaking, p. 87-93. Kent Inc., MI., USA 

  2. Baleiras Couto, M.M., R.G. Reizinho, and F.L. Duarte. 2005. Partial 26S rDNA restriction analysis as a tool to characterise nonSaccharomyces yeast present during red wine fermentations. Int. J. Food Microbiol. 102, 49-56 

  3. Cletus, P.K. and J.R. Christie. 1998. Identification and phylogeny of ascomycetous yeasts from analysis of nuclear large subunit (26S) ribosomal DNA partial sequences. Antonie Leeuwenhoke 73, 331-371 

  4. Iverson, J. 2000. Home wine making step by step. A guide to fermenting wine grapes, 3rd ed., p. 106-107. Stonemark Publishing Co., Medford., MA., USA 

  5. Jeong, S.T., N. Goto, and J.U. Choi. 200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ne yeast strains for white wine making.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326-330 

  6. Kim, J,S., J.Y. Sim, and C. Yuk. 2001. Characteristics of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and different sugars. J. Food Sci. Technol. 33, 319-326 

  7. Kishimoto, M., E. Soma, T. Shinohara, and S. Goto, 1998. Comparison of wine making properties between Saccharomyces bayan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J. Brew. Soc. Japan 93, 231-237 

  8. Moon, Y.J., M.S. Lee, and C.K. Sung. 2004. The fermentation properties of red wine using active dry yeast strains. Korean J. Food Nutr. 17,450-457 

  9. Ough, C.S. and M.A. Amerine. 1987.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s, p. 29-36. In C.S. Ough and M.A. Amerine, 2nd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USA 

  10. Park, K.L., S.S. Nah, Y.J. You, and S.C. Hong. 1969. Studies on the red wine production (in Korean). Technical Bulletin of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Quality. 19, 107 

  11. Park, W.M., H.G. Park, S.J. Rhee, K.I. Kang, C.H. Lee, and K.E. Yoon. 2004. Properties of wine from Domestic Grape, Vitis labrusca cultivar. Campbell's Early, femented by carbonic maceration vinification process. Korea J. Food Sci. Technol. 36, 773-778 

  12. Swaun, T. and W.E. Hillis.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