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야생 효모 12 균주의 주류 제조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알코올 발효에 관여하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알코올 및 당 내성을 조사한 후, 당화액을 제조하여 pH, 고형분 함량, 적정산도, 아미노산도, 알코올, 유기산 및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였다. S. cerevisiae 효모의 알코올 내성은 10%에서 보였으나 non-Saccharomyces 효모는 P. kudriavzevii N77-4를 제외하고 내성이 낮았다. 당 내성은 H. opuntiae HP1-2, C. tropicalis Y447을 제외한 효모에서 모두 우수하였다. 야생 효모를 이용한 알코올 발효액의 pH는 3.01−3.61, 고형분 함량은 8.73−13.10°Brix로 S. cerevisiae보다 non-Saccharomyces가 높았다. 적정산도는 0.25−0.33%로, 아미노산도는 1.61−2.61 g/100 ml으로 non-Saccharomyces 효모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함량은 2.25−8.5%로 S. cerevisiae에 비해 non-Saccharomyces 효모가 매우 낮았다. 야생 효모로 알코올 발효시 유기산은 사과산, 초산, 호박산 등이 증가하였고, 그 중 P. kudriavzevii N77-4는 낮은 초산 함량과 높은 사과산 및 호박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당화액을 전자코로 분석한 결과, DF1의 오른쪽 범주에 속했으며, 효모 발효액은 DF1의 왼쪽 범주에 속하여 발효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non-Saccharomyces 효모에서 ethyl acetate가, S. cerevisiae 효모는 ethanol 화합물이 높은 향기성분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rice wine with wild type yeast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Herein the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 for the purposes of brewing Korean rice wine, was investigated. 12 y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보[1]에서 선발된 야생 효모 12 균주에 대한 알코올과 당 내성을 조사하였으며, 낱알누룩의 당화액을 야생 효모로 알코올 발효시켜 이들의 양조적성을 분석하여 우리 술의 품질 향상과 다양성 확보를 위한 야생 효모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k SY, Lee YJ, Kim JH, Yeo SH. 201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for improving liquor flavor and quality.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3: 56?64 

  2. Charoenchai C, Fleet GH, Henschke PA, Todd BEN. 1997. Screening of non-Saccharomyces wine yeasts for the present of extracellular hydrolytic enzymes. Australian J. Grape Wine Res. 3: 2?8. 

  3. Ciani M, Beco L, Comitini F. 2006. Fermentation behavior and metabolic interactions of multistarter wine yeast fermentations. Int. J. Food Microbiol. 108: 239?245. 

  4. Cordero-Bueso G, Esteve-Zarzoso B, Cabellos JM, Gil-Diaz M, Arroyo T. 2013. Biotechnological potential of non-Saccharomyces yeasts isolated during spontaneous fermentations of Malvar (Vitis vinifera cv.L.). Eur. Food Res. Technol. 236: 193?207. 

  5. Fleet GH. 1993. The microorganisms of winemaking-isolation, enumeration and identification. In: Fleet GH (ed) Wine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Harwood Academic Publishers, Switzerland. pp. 1?25. 

  6. Im SY, Baek CH, Baek SY, Park HY, Choi HS, Choi JH, et al.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according to different rice varieties and mixing ratio of Nuruk. Korean J. Food Preserv. 21: 892?902 

  7. In HY, Lee TS, Lee DS, Noh BS. 1995.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5?240. 

  8. Jeon HJ, Yu JC, Kim GW, Kong H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by yeast strain type. Korean J. Food Nutr. 27: 971?978. 

  9. Jin TY, Kim ES, Eun JB, Wang SJ, Wang MH.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ed yeast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09?314. 

  10. Jung HK, Park CD, Park HH, Lee GD, Lee IS, Hong JH. 2006.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Hahyangju prepar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HA3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59?667. 

  11. Kim HR, Baek SH, Seo MJ, Ahn BH. 2006. Feasibility of Cheongju Brewing with wild type yeast strains from Nuruk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4: 244?249 

  12. Kim HR, Kim JH, Bai DH, Ahn BH. 2012. Feasibility of brewing Makgeolli using Pichia anomala Y197-13, a Non-Saccharomyces cerevisia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2: 1749?1757. 

  13. Kim JI, Lee NK, Hahm YT. 200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 and its use for the production of grapewine. Korean J. Microbiol. 43: 217?221. 

  14. Kim KH, Dong HM, Han HJ, Lee YH, Moon JY, Bang KH, Noh BS. 2013. Analysis of geographical origin of red ginseng extract using mass spectrometer-based electronic n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652?656. 

  15. Kurtzman CP, Fell JW. 1998. The Yeasts, A Taxonomic Study (fourth edition).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s. pp. 358?371. 

  16. Lee HS, Lee TS, Noh BS. 200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93?599. 

  17. Lee SH, Park HK, Kim MH. 201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wild yeasts from Schizandra (Schizandra chinesis) for wine production and its characterization fo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60?1866. 

  18. Lee TS, Choi JY. 2005.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44?950. 

  19. Min YK, Lee MK, Jeong HS.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jube alcoholic beverage from different additional level of jujube fruit. J. Korean Agric. Chem. Soc. 40: 433?437. 

  20. Montville TJ, Matthews KR. 2005. Food microbiol. : an introduction. ASM Press, Washington, D.C., USA. pp. 223?239. 

  21. Nishiaya T. 1997. Composition of soju. J. Jpn. Soc. Brew. 72: 415-4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