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증류식 소주 제조를 위한 최적의 효모를 선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누룩에서 분리한 효모와 시판 소주효모의 발효 및 증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리한 4개의 균주(Y88-4, Y98-4, Y172-6, Y192-4)와 대조구로 사용한 시판 소주효모 2종(C1, C2)은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되었다. 발효액의 최종 알코올 함량은 $13.9{\pm}0.1-16.4{\pm}0.01%$로 C1효모가 가장 높은 알코올 함량을 나타냈고 6개의 실험구의 pH와 총산의 함량은 각각 pH 3.9-4.0, 0.40-0.52 g/100 mL로 정상적인 발효가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며 아미노산 함량은 초기 0.10-0.12 g/100 mL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여 0.26-0.30 g/10 0mL로 나타났다. 유기산의 변화는 옥살산의 경우 Y98-4와 C2에서 발효 말 각각 $0.27{\pm}0.02$, $0.28{\pm}0.03mg/mL$ 검출되었고 말산은 Y88-4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 및 대조군에서 최종 발효 시 $0.22{\pm}0.23-0.49{\pm}0.02mg/mL$로 나타났다. 젖산은 C2효모가 발효 말 $0.56{\pm}0.03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발효과정 중 주요 유기산으로 감칠맛과 관련 있는 석신산은 C2효모가 발효 말 $1.23{\pm}0.12mg/mL$로 가장 높았다. 발효액의 품질저하와 관련 있는 아세트산은 소주효모 C1과 C2에서 각각 $1.87{\pm}0.00$, $1.64{\pm}0.12mg/mL$로 다른 효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증류액의 휘발성 향기성분분석 결과 37개의 휘발 성분이 확인되었고 작용기별로 분류 하면 알코올류 7종, 에스터류 26종, 산류 1종, 기타 3종이었다. 높은 area%를 나타낸 것은 에틸알코올, 카프릴산에틸, 아밀알코올 등이다. 증류액의 향기호도 조사결과 Y88-4>C2>Y98-4>C1>Y172-6>Y192-4 순으로 나타났다. 효모의 특성조사를 통해 풍부한 휘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향기호도 조사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인 Y88-4가 증류식 소주 제조에 적합한 효모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select a yeast strain for optimizing the quality of distilled spirits. The brewing and distilling properties of 4 KFRI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yeasts (Y88-4, Y98-4, Y172-6, Y192-4) and 2 industry yeasts (C1, C2) were compared. For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증류식 소주 제조를 위한 최적의 효모를 선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누룩에서 분리한 효모와 시판 소주효모의 발효 및 증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리한 4개의 균주(Y88-4, Y98-4, Y172-6, Y192-4)와 대조구로 사용한 시판 소주효모 2종(C1, C2)은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되었다.
  • 현재 우리나라 증류식 소주에 대한 연구로는 감압과 상압으로 증류한 술의 특성을 비교한 연구(1), 증류 및 여과 방법을 달리한 증류식 소주의 품질특성연구(9), 구리증류기를 이용한 과실 증류주의 품질 특성연구(10), 증류식 소주의 급수변화에 따른 수율 및 향미에 관한 연구(11), 시판 증류식 소주의 관능적 분석에 관한 연구(12) 등 증류 방법과 기존제품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전통증류식 소주 제조를 위한 효모선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증류주의 제조에 적합한 증류식 소주 전용효모를 선발하고 선발된 효모와 시판 소주효모의 발효 및 증류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선발효모의 상품화 가치를 평가하고 더불어 고품질 증류주 제조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류액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작용기별로 몇 가지 종류가 확인되었는 가? 증류액의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결과는 Table 3과 같다. 37개의 휘발 성분이 확인되었고 작용기별로 분류하면 알코올류 7종, 에스터류 26종, 산(acid)류 1종, 기타 3종이었다. 높은 area %를 나타낸 것은 에틸앝코올(ethyl alcohol), 카프릴산에틸(ethyl caprylate), 아밀알코올(amyl alcohol) 등이다.
국내에서 주류의 품질이 획일화된 경향을 나타내는 이유는? 효모는 알코올 발효에 관여하는 주요 발효미생물로 효모가 생성하는 주된 향기성분 중 대부분의 증류식 소주에 함유되어 있는 에스터류는 소주발효 과정에서 알코올 외에 퓨젤유를 생성하여 소주의 풍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성분이 된다(1). 현재 국내 주류시장은 자체보유 효모를 사용하는 소수의 업체를 제외한 대부분이 효모생산 업체에서 생산하는 동일한 양조효모에 의존하고 있어(2) 주류의 품질이 획일화된 경향이 있다. 경쟁력 있는 주류생산을 위해서는 알코올 발효의 기본이 되는 유용한 미생물 자원의 확보 및 특성조사가 필수적이다.
우리나라 전통 증류식 소주는 어떤 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가? 우리나라 전통 증류식 소주는 고려 시대부터 전승되어 왔으며 쌀, 보리, 밀 등의 곡류 원료와 누룩 등의 발효제를 사용하여 발효한 후 소주고리를 이용하여 증류하였다. 주류를 포함하여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발효식품 제조는 원료자체에 있는 미생물에 의존한 형태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ee DH, Lee YS, Cho CH, Park IT, Kim JH, Ahn BH. The qualities of liquor distilled from ipguk (koii) or nuruk under reduced or atmospheric press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25-32 (2014) 

  2. Kim HR, Ahn BH. Screening and selection of yeasts for makgeolli. Food Sci. Ind. 44: 12-17 (2012) 

  3. Kang HR, Lee AR, Kwon YH, Kim JH, Kim HR, Ahn BH.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yeast and analysis of qualities of makgeolli brewed with the yeast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Kor. J. Mycol. 40: 204-209 (2012) 

  4. Jeon JM, Jang MK, Lee SJ, Park SH, Kim MH, Sohn JH, Lee HS, Lee DG, Lee SH. Variations of Properties and microbial community during fermentation of makgeollies by isolated yeasts from traditional makgeollies. J. Life Sci. 23: 796-803 (2013) 

  5. Min JH, Baek SY, Lee JS, Kim HK. Changes of yeasts and bacterial flora during the storage of Korean traditional makgeolli. Kor. J. Mycol. 39: 151-153 (2011) 

  6. Kim YH, Joo JI, Lee BC, Kim HH, Lee JS. Screen of a novel yeast for brewing of gugija leaf makgeolli and optimal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Kor. J. Mycol. 41: 167-171 (2013) 

  7. Kwon YH, Lee AR, Kim JH, Kim HR, Ahn BH.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during storage of commercial makgeolli. Kor. J. Mycol. 40: 210-214 (2012) 

  8. Kwon SJ, Ahn TY, Sohn JH.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in makgeolli fermentation using PCR-DGGE. J. Life Sci. 22: 232- 238 (2012) 

  9. Lee YH, Eom TK, Cheong C, Cho HC, Kim IY, Lee YS, Kim MS, Yu SR, Jeong YH.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irits by different distillation and fil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012-2018 (2013) 

  10. Cho HC, Kang SA, Choi SI, Cheong C.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uit spirits from a copper distillation appa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43-752 (2013) 

  11. Bae SM, Jung SY, Jung IS, Ko HJ, Kim TY. Effect of the amount of water on the yield and flavor of Korean distilled liquor based on rice and corn starc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439-446 (2003) 

  12. Lee SJ, Park CS, Kim HK. Sensory profiling of commercial Korean distilled so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48-652 (2012) 

  13. Choi SI, Kang SA, Cheong C. Yeast selection for quality optimization of distilled spirits. J. Korea Acad. Ind. Coop. Soc. 14: 3887-3896 (2013) 

  14. Lee YJ, Yi HC, Hwang KT, Kim DH, Kim HJ, Jung CM, Choi YH. The qualities of makgeolli (Korean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rice cultivars, milling degrees of rice, and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785-1791 (2012) 

  15. Park CW, Jang SY, Park EJ, Yeo SH, Kim OM, Jeong YJ.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884-890 (2011) 

  16. Kim JY, Yi YH.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27-732 (2010) 

  17. Woo SM, Shin JS, Seon JH, Yeo SH, Choi JH, Kim TY, Jeong YJ.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takju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01-307(2010) 

  18. Lee SJ, Kim JH, Jung YW, Park SY, Shin WC, Park CS, Hong SY, Kim GW.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06-212 (2011) 

  19. Kim DR, Seo BM, Noh MH, Kim YW. Comparison of temperature effects on brewing of makgeolli using uncooked germinated black rice. KSBB J. 27: 251-256 (2012) 

  20.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Determ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lavour Components in the Korean Folk Sojues Using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50-758 (1994) 

  21. Lee DH, Jung JW, Lee YS, Seo JS, Park IT, Kim TY, Kim JH, Ahn BH.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stilled liquor produced using ipguk (Koji) during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94-701 (2014) 

  22. Lee DH, Jung JW, Lee YS, Seo JS, Park I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for preparation of distilled liquor made of mixed g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446-455 (2014) 

  23. Choi HS, Kim EG, Kang JE, Yeo SH, Jeong ST, Kim CW. Effect of organic acids addition to fermentation on the brewing characteristics of soju distilled from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579-585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