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큰비쑥(Artemisia fukudo)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The Cytotoxicity of Artemisia fukudo Extracts Against HL-60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7, 2007년, pp.819 - 824  

김길남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이정아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윤원종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김지영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송관필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박수영 ((재)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큰비쑥를 80% EtOH로 추출하고 극성에 따른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혈핵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분획별에 따른 암세포 증식억제(cytotoxicity) 효과와 이러한 혈액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가 세포자연사(apoptosis)에 의해 일어나는 것인지, 몇 가지 apoptosis 유도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HL-60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전반적으로 모든 처리구에서 농도의존적인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가장 강한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apoptosis 유도에 의한 세포사멸의 특징인 DNA 단편화 현상을 비롯하여 세포형태학적 변화 및 유동세포분석기를 통한 DNA content를 측정한 결과, 큰비쑥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는 apoptosis를 유도하여 세포자연사를 통해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cytotoxic effect of Artemisia fukudo extracts. The extract from A. fukudo by 80% ethanol was fractionated with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and butanol in serial. The cytotoxicity of A. fukudo extracts was examined for its effect on the growth of HL-60 c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용매별 큰 비쑥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의 apoptosis 유도에 의하여 sub-Gi hypodiploid 세포가 증가하는지 알아보았다. 즉 DNA에 결합하여 형광을 나타내는 물질인 propi dium iodide로 염색한 후 유동 세포 분석기(Flow Cytometry) 를 이용하여 세포 내 DNA 함량을 sub-Gi peak 구간을 환산하여 apoptotic c시1의 percentage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큰비쑥를 80% EtOH로 추출하고 극성 에 따른 용매 분획을 실시하여 혈핵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분 획별에 따른 암세포 증식 억 저】(cytotoxicity) 효과와 이러한 혈액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가 세포자연사(apoptosis) 에의 해 일어나는 것인지, 몇 가지 apoptosis 유도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HL-60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전반적으로 모든 처리 구에서 농도 의존적 인 세포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가장 강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쑥 속 식물 중 바닷가에 주로 서식하는 큰 비쑥(Artemisia fukudo; 갯 쑥)을 대상으로 그 유효성분이 항암제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지 탐색하고, 식품 산업에서 항암효과를 가진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을 밝히고자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하여 각 분획물의 일정량을 혈액암 세포주인 HL-60 세포에 첨가함으로써 암세포증식억제(cytotoxicity) 효과와 이러한 인체 암세포주에 미치는 각 용매 분 획별 쑥 성분들의 생리활성이 세포자연사 (apoptosis)에 의한 것인지 몇 가지 apoptosis 유도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 (25-28). 이에 apoptosis가 일어난 세포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특징적인 변화인 형태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 세포핵의 형태는 정상적인 둥근 형태이나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 처리된 세포에서는 세포의 크기가 축소되며, 핵의 모양이 불규칙하고 부분적인 핵의 응집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strow AB. 1994. Rethinking cancer. Lancet 343: 494-495 

  2. Chung YT, Park ST, Mun JY, Kim JM, Choi MK, Han DS, Kim B. 1987. Cytotoxic effects of actinomycin D, adriamycin and puromycin in the development stage of early mouse embryos. J Wonkwang Medical Sci 3: 13-34 

  3. Yamazaki M, Ueda H, Fukada K, Okamoto M, Yui S. 1992. Priming effects of vegetable juice on endogenous products of tumor necrosis factor. Biosci Biotech Biochem 56: 149 

  4. Tompson J, Biggers JD. 1966. Effects of inhibitors of protein synthesis on the development of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Exp Cell Res 41: 411-427 

  5. Ellem KO, Gwatkin RBL. 1968. Patterns of nucleic acid synthesis in the early embryos. Devel Biol 118: 311-330 

  6. Meyn RE, Stephens LC, Hunter NR, Milas L. 1995. Apoptosis in murine tumors treated with chemotherapy agents. Anticancer Drugs 6: 443-450 

  7. Ames BN. 1983. Dietary carcinogens and anticarcinogens: oxygen radicals and denerative diseases. Science 221: 1256-1264 

  8. Wattenberg LW. 1985. Chemoprevention of cancer. Cancer Res 45: 1-8 

  9. Okai Y, Higashi-Okai K, Yano Y, Otani S. 1996a. Identification of antimutagenicsubstances in an extract of edible red algae. Cancer Lett 100: 235-240 

  10. Okai Y, Higashi-Okai K, Yano Y, Otani S. 1996. Suppressive effects of chlorphyllin on mutagen-induced umu C gene expression in Salmonella typhimurium and tumorpromoter-dependent ornithine decarboxylase induction in BALB/c 3T3 fibroblast cells. Mutat Res 370: 11-17 

  11. Hwang WI. 1992. A study on the growth inhibition of human colon cancer cells by eucommial leaf extract. Korean J Food Nutr 5: 13-21 

  12. Park SY, Yang HC, Moon JY, Lee NH, Kim SJ, Kang JH, Lee YK, Park DB, Yoo ES, Kang HK. 2005. The cytotoxicity of eutigosides from Eurya emarginata against HL-60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Arch Pharm Res 28: 1047- 1052 

  13. Tan RX, Zheng WF, Tang HQ. 1998.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from the genus Artemisia. Planta Medica 64: 295-302 

  14. Kim JO, Kim YS, Lee JH, Kim MN, Rhee SH, Moon SH, Park KY.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mugwort (Artemisia asictic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1: 308-313 

  15. Lee H, Lin JY. 1988. Antimutagenic activity of extracts from anticancer drugs in Chinese medicine. Mutat Res 204: 229-234 

  16. Hwang YK, Kim DC, Hwang WI, Han YB. 1998. Inhibitory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extract on growth of cancer cell lines. Korean J Nutr 31: 799-808 

  17. Xu Q, Mori H, Sakamoto O, Uesugi Y, Koda A. 1989. Immunological mechanisms of antitumor activity of some kinds of crude drugs on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Int J Immunopharmacol 11: 607-614 

  18. Ryakhovskaya TV, Ushbaeva GG, Zhemaletdinov FG. 1989. The antitumor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some Artemisia spp L. Rastit Resur 25: 249-253 

  19. Lee TB. 197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757 

  20.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i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21. Lee MK, Choi GP, Ryu LH, Lee GY, Yu CY, Lee HY. 2004.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6-42 

  22. Hu YQ, Tan RX, Chu MY, Zhou J. 2000. Apoptosis in human hepatoma cell line SMMC-7721 induced by water-soluble macromolecular component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Jpn J Cancer Res 91: 113-117 

  23. Sherr CJ. 1993. Mammalian G1 cyclins. Cell 73: 1059-1065 

  24. Hartwell LH, Weinert TA. 1989. Cherckpoints: controls that ensure the order of cell cycle event. Science 246: 629-634 

  25. Wyllie AH. 1992. Apoptosis and the regulation of cell numbers in normal and neoplastic tissues: an overview. Cancer Metastasis Rev 11: 95-103 

  26. Fesus L, Davies PJA, Piacentini M. 1991. Apoptosis: molecular mechanisms in the programmed of cell death. Eur J Cell Biol 56: 170-177 

  27. Fesus L, Thomazy V, Autuori F, Ceru MP, Tarcsa E, Piacentini M. 1989. Apoptotic hepatocytes become insoluble in detergents and chaotropic agents as a result of transglutaminase action. FEBS Lett 245: 150-154 

  28. Piacentini M, Autuori F, Dini L, Farrace MG, Ghibelli L, Piredda L, Fesus L. 1991. Tissue transglutaminase is specifically expressed in neonatal rat liver cells undergoing apoptosis upon epidermal growth factor stimulation. Cell Tissue Res 263: 227-235 

  29. Lee HJ. 2000.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tunberg on liver lipid metabolism in rats and apoptosis in HeLa cells. Ph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Korea. p 46-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