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멧토끼 ZFX와 ZFY 유전자의 성별 이형성과 분자 성판별
Molecular Sex Determination Using Sexual Dimorphisms between ZFX and ZFY Genes in Korean Hares(Lepus coreanus Thoma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7 no.3 = no.83, 2007년, pp.402 - 406  

한상현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  조인철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  이성수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  오문유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오홍식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멧토끼 (Lepus coreanus)의 성판별을 위한 분자 표지자를 개발하기 위하여, X, Y 염색체간 상동인 ZFX와 ZFY 유전자들의 성별 이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ZFX와 ZFY 유전자의 인트론 7 영역은 멧토끼의 암수가 구분되는 증폭 양상을 나타내었다. 인트론 7의 길이는 각각 ZFX에서 538, ZFY에서 233-bp로 확인되었다. 특히, ZFX의 인트론 7에서는 RNA-매개성 전위인자 중 한 종이며 토끼의 유전체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CSINE2와 유사한 반복서열이 발견되었다. 반면, 반복서열은 ZFY의 인트론 7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ZFX와 ZFY 유전자의 인트론 7에서 확인된 길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 기법을 이용한 유전자 성판별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모든 DNA시료들은 ZFX에서 증폭된 공통의 밴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반해, 멧토끼 수컷 DNA들은 각각 ZFX와 ZFY에서 증폭된 두 개의 구분되는 밴드들을 나타내었다. ZFX-ZFY 유전자·성판별 결과는 표현형 성별 정보뿐만 아니라 수컷-특이적인 SRY 유전자의 증폭양상과도 일치한 결과와도 정확히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멧토끼에서 ZFX와 ZFY의 인트론 7 영역간의 성별 이형성은 유전자 성판별을 위한 유용한 유전자 표지자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molecular marker for sex determination of hare (Lepus coreanus) distributed in Korea which focused on sexual dimorphism between X and Y chromosomal homologous genes, zinc finger-X (ZFX) and -Y (ZFY). The intron 7 regions of ZFX and ZFY genes exhibited differ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야생에서의 자연사나 사고에 의해 죽은 개체 역시 포식동물이나 세균에 의한 생식기관이 손상될 가능성은 다분하다. 본 연구는 야생상태의 어떤 원인에 의해 죽었거나, 인위적으로 포획된 멧토끼의 사체에 대한유전자 성판별 기법을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멧토끼의 X, Y 염색체에 상동으로 존재하는 ZFX, ZFY 유전자 절편에 대한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상호간의 염기서열의 특성을 비교하여 두 유전자간 성별 이형성을 탐색하고, 발견된 성별 이형성에 근거한 유전자 성판별 기법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algirns 종에서만 빈번하고 집토끼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고 보고되었으나[9], 현재까지 유전자 성판별 기법은 멧토끼뿐만 아니라 집토끼에 대한 보고마저도 없다. 연구에서는 X, Y 성염색체 상동인 ZFX-ZFY 유전자 서열 사이에서 성별 이형성을 발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멧토끼 사체에 대한 유전자 성판별을 수행하여 멧토끼의 사체에 대한 유전자성판별에 따른 성별 자료를 얻어낼 수 있었다. PCR에 의한 유전자 성판별은 미량의 DNA라도 확보 가능하다면, PCR 증폭과 전기영동으로 이어지는 간단한 분석을 통해 거의 정확한 성판별 자료를 얻어낼 수 있어 밀렵이나 불법 포획된 멧토끼의 암수 판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야생상태의 어떤 원인에 의해 죽었거나, 인위적으로 포획된 멧토끼의 사체에 대한유전자 성판별 기법을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멧토끼의 X, Y 염색체에 상동으로 존재하는 ZFX, ZFY 유전자 절편에 대한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상호간의 염기서열의 특성을 비교하여 두 유전자간 성별 이형성을 탐색하고, 발견된 성별 이형성에 근거한 유전자 성판별 기법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1, nucleotide sequences are displayed from 5' to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derson, G. B. 1987. Identification of embryonic sex detection of H-Y antigen. Theriogenology 27, 81-97 

  2. Barr, M. L. 1960. Sexual dimorphism interphase nuclei. Am. J. Hum. Genet. 12, 118-127 

  3. Bello, N. and A. Sanchez. 1999. The identification of a sex-specific DNA marker in the ostrich using a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ssay. Mol. Ecol. 8, 667-669 

  4. Birren, B., E. D. Green, S. Klapholz, R. M. Myers and J. Roskams. 1997. Genome analysi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USA 

  5. Cho, I. C., S. Y. Kang, S. S. Lee, Y. L. Choi, M. S. Ko, M. Y. Oh and S. H. Han. 2005. Molecular sexing using SRY and ZF genes in pigs. Korean J. Anim. Sci. Technol. 47, 317-324 

  6. Gardner, R. L. and R. G. Edwards. 1968. Control of the sex ratio at full term in rabbit by transferring sexed blastocysts. Nature 218, 346-349 

  7. Gentles, A. J., O. Kohany and J. Jurka. 2005. Evolutionary diversity and potential recombinogenic role of integration targets of Non-LTR retrotransposons. Mol. Biol. Evol. 22, 1983-1991 

  8. Geraldes, A., C. Rogel-Gaillard and N. Ferrand. 2005. High levels of nucleotide diversity in the European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SRY gene. Anim. Genet. 36, 349-351 

  9. Geraldes, A. and N. Ferrand. 2006. A 7-bp insertion in the 3' untranslated region suggests the duplication and concerted evolution of the rabbit SRY gene. Genet. Sel. Evol. 38, 313-320 

  10. Horng, Y. M. and M. C. Huang. 2003. Male-specific DNA sequences in pigs. Theriogenology 59, 841-848 

  11. Jurka. J. 2006. CSINE2: A large family of SINE elements from rabbit. Repbase Reports 6, 208 

  12. Kim Y. K. 1994. A comparison of nutrient digestibility by wild Korean mountain hares (Lepus sinensis coreanus) and rabbits (Oryctolagus cuniculus). Korean J. Acnim. Sci. Technol. 36, 397-402 

  13. King, W. A., T. Linares, I. Gustavesson and A. A. Bane. 1979. A method for preparation of chromosome from bovine zygotes and blastocytes. Vet. Sci. Commun. 3, 51-56 

  14. Koh, H. S., T. Y. Chun, H. S. Yoo, Y. Zhang, J. Wang, M. Zhang and C. Wu. 2001.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 diversity in the Korean hare, Lepus coreanus Thomas (Mammalia, Lagomorpha). Biochem. Genet. 39, 417-429 

  15. Lander, E. S., L. M. Linton and B. Birren. 2001. Initial sequencing and analysis of the human genome. Nature 409, 860-921 

  16. McCarty, A. S., G. Kleiger, D. Eisenberg and S. T. Smale. 2003. Selective dimerization of a C2H2 zinc finger subfamily. Mol. Cell 11, 459-470 

  17. Medstrand, P., L. N. van de Lagemaat and D. L. Mager. 2002. Retroelement distributions in the human genome: variations associated with age and proximity to genes. Genome Res. 12, 1483-1495 

  18. Melniczek, J. R., D. Dambach, U. Prociuk, P. F. Jezyk, P. S. Henthorn, D. F. Patterson and U. Giger. 1999. Sry-negative XX sex reversal in a family of Norwegian Elkhounds. J. Vet. Intern. Med. 13, 564-569 

  19. Nagai, K. 2001. Molecular evolution of Sry and Sox gene. Gene 270, 161-169 

  20. Poloumienko, A. 2004. Cloning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ovine, porcine, and equine sex chromosome genes ZFX and ZFY. Genome 47, 74-83 

  21. Pomp, D., B. A. Good, R. D. Geisert, C. J. Corbin and A. J. Conley. 1995. Sex identification in mammals with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ts use to examine sex effects on diameter of day-10 or -11 pig embryos. J. Anim. Sci. 73, 1408-1415 

  22. Quilter, C. R., S. C. Blott, A. J. Mileham, N. A. Affara, C. A. Sargent and D. K. Griffin, 2002. A mapping and evolutionary study of porcine sex chromosome genes. Mamm. Genome 13, 588-594 

  23. Sinclair, A. H., P. Berta, M. S. Palmer, J. R. Hawkins, B. L. Griffiths, M. J. Smith, J. W. Foster, A. -M. Frischauf, R. Lovell-Badge and P. N. Goodfellow. 1990. A gene from the human sex-determining region Y encodes a protein with a homology to a conserved DNA-binding motif. Nature 346, 240-244 

  24. Smit, A. F. 1996. The origin of interspersed repeats in the human genome. Curr. Opin. Genet. Dev. 9, 657-663 

  25. Staessen, C., E. van Assche, H. Joris, M. Bonduelle, M. Vandervorst, I. Liebaers and A. van Steirteghem. 1999. Clinical experience of sex determination by fluorescent in-situ hybridization for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Mol. Hum. Reprod. 5, 382-389 

  26. Thompson,J. D., D. G. Higgins and T. J. Gibson.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 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 Acids Res. 22, 4673-4680 

  27. Tomomasa, H., Y. Adachi, M. Iwabuchi, Y. Tohyama, M. Yotsukura, S. Oshio, T. Yazaki, T. Umeda, T. Takano, Y. Yamanouchi and Y. Nakahori. 1999. XX-male syndrome bearing the sex-determining region Y. Arch. Androl. 42, 89-96 

  28. Zenteno, J. C., S. Carranza-Lira, A. L. Jimenez and S. Kofrnan, 2003. A de novo phe67leu mutation in the SRY gene in a patient with complete 46,XY gonadal dysgenesis. J. Endocrinol. Invest. 26, 1117-11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