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느타리버섯의 균학적인 특성과 더불어 자실체의 배양과 생육특성을 조사하여 우량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체배지를 이용한 균사생장길이는 MCM 배지가 PDA 배지보다 생장속도가 뛰어났고, KNR2501 계통이 $25^{\circ}C$, MCM상에서 가장 잘 자랐다. 균사체생성량은 PDB 배지가 MCM과 YMG 배지보다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양이 가장 빠른 계통은 KNR2515와 2516이 19일 이었다. 발이와 수학소요일수는 KNR2503이 6.5일, 15.3일로서 가장 우수하였다. 계통별 자실체 특징은 길이에 있어서 KNR2312와 2322가 122.7, 121.0 mm으로 가장 길었고, 대두께는 KNR2322가 39.8 mm로 우수하였다. KNR2513도 31.3 mm으로 야생버섯으로 육종소재로의 가치가 인정되었다. 수확량은 야생계통으로 KNR2504가 36.3으로 우수하였다. 품질에 있어서 KNR2503이 4.0이었고, 재배계통들은 보통 7.0 이상이었다. 갓의 색도에 있어서 KNR2512의 L값이 43.6으로 가장 짙은 색을 보였다. 밝은 계통은 L값이 80 이상으로 KNR2511, 2513, 2515로 대체적으로 느린 생육을 보였다. 형태적인 특징은 주름색이 흰색인 KNR2511, 2513, 2515이 편평형으로 같은 그룹에 속하고, KNR2516, 2518이 가까운 계통으로 추정된다. 농가에서 재배되는 계통의 특징은 평반구형이고, 깔대기형인 KNR2502, 2503, 2504, 2521, 2525를 제외하고 편평형으로 분류되었다. 육종학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는 생육속도에 있어서 KNR2503, 갓색은 KNR2512, 품질은 KNR2312, 2322, 2503, 2513이 있었다.
큰느타리버섯의 균학적인 특성과 더불어 자실체의 배양과 생육특성을 조사하여 우량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체배지를 이용한 균사생장길이는 MCM 배지가 PDA 배지보다 생장속도가 뛰어났고, KNR2501 계통이 $25^{\circ}C$, MCM상에서 가장 잘 자랐다. 균사체생성량은 PDB 배지가 MCM과 YMG 배지보다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양이 가장 빠른 계통은 KNR2515와 2516이 19일 이었다. 발이와 수학소요일수는 KNR2503이 6.5일, 15.3일로서 가장 우수하였다. 계통별 자실체 특징은 길이에 있어서 KNR2312와 2322가 122.7, 121.0 mm으로 가장 길었고, 대두께는 KNR2322가 39.8 mm로 우수하였다. KNR2513도 31.3 mm으로 야생버섯으로 육종소재로의 가치가 인정되었다. 수확량은 야생계통으로 KNR2504가 36.3으로 우수하였다. 품질에 있어서 KNR2503이 4.0이었고, 재배계통들은 보통 7.0 이상이었다. 갓의 색도에 있어서 KNR2512의 L값이 43.6으로 가장 짙은 색을 보였다. 밝은 계통은 L값이 80 이상으로 KNR2511, 2513, 2515로 대체적으로 느린 생육을 보였다. 형태적인 특징은 주름색이 흰색인 KNR2511, 2513, 2515이 편평형으로 같은 그룹에 속하고, KNR2516, 2518이 가까운 계통으로 추정된다. 농가에서 재배되는 계통의 특징은 평반구형이고, 깔대기형인 KNR2502, 2503, 2504, 2521, 2525를 제외하고 편평형으로 분류되었다. 육종학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는 생육속도에 있어서 KNR2503, 갓색은 KNR2512, 품질은 KNR2312, 2322, 2503, 2513이 있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incubation and growing of Pleurotus eryngii in addition to the mycological properties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breeding. The speed of mycelial growth on the MCM was faster than on the PDA. The biomass in the PDB broth culture was higher than in 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incubation and growing of Pleurotus eryngii in addition to the mycological properties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breeding. The speed of mycelial growth on the MCM was faster than on the PDA. The biomass in the PDB broth culture was higher than in the MCM and YMG broth culture. KNR2515 and KNR2516 required 19 days for growth of mycelia on commercial sawdust media. KNR2503 required 6.5 days and 15.3 days for pin-heading and harvesting, respectively. In morphological properties by the mushroom, the heights of KNR2312 and KNR2322 were 122.7 and 121.0 mm, respectively. The thickness of KNR2322 and KNR2513 were 39.8 mm and 31.3 mm, respectively. The weight of KNR2524's fruiting body was 36.3 g, which is good as wild strain. The quality of fruiting body of KNR2503 was 4.0 in comparison to the score 7 of commercially cultivated strains. KNR2512 had the darkest color of pileus with L value 43.6. The slow growing strains, KNR2511, KNR2513, and KNR2512 had the bright pileus with L value 80.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KNR2511, KNR2513, and KNR2515 had white lamellar and plane pileus. The three strains are supposed to be the same group and KNR2516 and KNR2518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group. The commercially cultivated strains had convex pileus, KNR2502, KNR2503, KNR2504, KNR2521, and KNR2525 had infundibuliform, and the other strains had plane pileus. Several strains were valuable for breeding, JNR2503 for growth rate, KNR2512 for pileus color, and KNR2312, KNR2322, KNR2503, and KNR2513 for the qual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incubation and growing of Pleurotus eryngii in addition to the mycological properties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breeding. The speed of mycelial growth on the MCM was faster than on the PDA. The biomass in the PDB broth culture was higher than in the MCM and YMG broth culture. KNR2515 and KNR2516 required 19 days for growth of mycelia on commercial sawdust media. KNR2503 required 6.5 days and 15.3 days for pin-heading and harvesting, respectively. In morphological properties by the mushroom, the heights of KNR2312 and KNR2322 were 122.7 and 121.0 mm, respectively. The thickness of KNR2322 and KNR2513 were 39.8 mm and 31.3 mm, respectively. The weight of KNR2524's fruiting body was 36.3 g, which is good as wild strain. The quality of fruiting body of KNR2503 was 4.0 in comparison to the score 7 of commercially cultivated strains. KNR2512 had the darkest color of pileus with L value 43.6. The slow growing strains, KNR2511, KNR2513, and KNR2512 had the bright pileus with L value 80.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KNR2511, KNR2513, and KNR2515 had white lamellar and plane pileus. The three strains are supposed to be the same group and KNR2516 and KNR2518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group. The commercially cultivated strains had convex pileus, KNR2502, KNR2503, KNR2504, KNR2521, and KNR2525 had infundibuliform, and the other strains had plane pileus. Several strains were valuable for breeding, JNR2503 for growth rate, KNR2512 for pileus color, and KNR2312, KNR2322, KNR2503, and KNR2513 for the qualit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과제에서는 큰느타리버섯의 종내 균학적, 배양적 그리고 생육적 특성을 조사하여 형태학적 다양성과 유사성을 분석하여 육종학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큰느타리버섯의 균학적인 특징과 더불어 자실체의 배양과 생육특성을 조사하여 우량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체배지를 이용한 균사생장길이는 MCM 배지가 PDA 배지보다 생장속도가 뛰어났고, KNR2501 계통이 25℃, MCM상에서 가장 잘 자랐다.
제안 방법
온도별 균사생장실험을 위해 각 계통들이 만연한 페트리디쉬의 가장자리 배지를 코르크보르 2호로 잘라내어 새로 제조한 PDA, MCM배지의 중앙에 치상하여 10, 15, 20, 25, 30℃ 온도조건에서 7일 배양한 후 생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액처배지(PDB, MCM, YMG)에 고체배지를 코르크 보러 3호를 이용하여 절편 3개 접종 후 120 rpm, 25℃에서 7일간 배양 후 건조시킨 Whatman 2번 여지 90mm로 걸러 105℃에서 3시간 건조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액처배지(PDB, MCM, YMG)에 고체배지를 코르크 보러 3호를 이용하여 절편 3개 접종 후 120 rpm, 25℃에서 7일간 배양 후 건조시킨 Whatman 2번 여지 90mm로 걸러 105℃에서 3시간 건조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살균된 배지에 균사를 만연시킨 MCM 배지조각 4개를 접종하여 키운 종균을 약 15 g 접종하여 온도 23℃, 상대습도 60%, CO2 2,000 ppm이하로 맞춘 배양실에서 35일간 배양시켰다. 35일 배양 후 발이를 유도하기 위하여 균 긁기를 하여 종균과 기존배지를 깊이 1 cm가량 제거하여 생육실에 엎어서 치상하였다.
배양시켰다. 35일 배양 후 발이를 유도하기 위하여 균 긁기를 하여 종균과 기존배지를 깊이 1 cm가량 제거하여 생육실에 엎어서 치상하였다. 생육실의 크기는 바닥면적 7.
3평 체적은 79.0 n?이고, 환기를 위하여 동력환기팬은 1/4마력 시로코팬을 균상열의 중앙에 각 1대 설치하였고, 흡입구는 복도쪽에 가로 50.5 cm X 세로 70.5 cm의 환기창을 균상별로 하나씩 설치하였다. 습도는 초음파가습기 (두루산업, 한국)로 발이기까지 90%, 솎기까지(자실체 크기 2.
3-3 cm까지 커졌을 때 가장 건실한 1대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살균된 칼로 제거하였다. 자실체의 갓이 충분히개산되기 전에 수확하여 밑둥치의 균괴를 제거한 후 무게, 높이, 대두께, 갓직경, 갓의 색도 등을 측정하였다. 길이는 갓을 포함한 전체 자실체를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대 두께는 대의 중간지점을 측정하였다.
자실체의 갓이 충분히개산되기 전에 수확하여 밑둥치의 균괴를 제거한 후 무게, 높이, 대두께, 갓직경, 갓의 색도 등을 측정하였다. 길이는 갓을 포함한 전체 자실체를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대 두께는 대의 중간지점을 측정하였다. 갓의 직경은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Mitutoyo,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갓의 색도는 Minolta spectrophotometer(CM3500d, 일본) 를 이용하여 3군데 지점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길이는 갓을 포함한 전체 자실체를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대 두께는 대의 중간지점을 측정하였다. 갓의 직경은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Mitutoyo,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갓의 색도는 Minolta spectrophotometer(CM3500d, 일본) 를 이용하여 3군데 지점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품질기준은 앞서의 자실체 특성을 본 연구실 자체 품질기준에 따른 9점측정법을 사용하여 9(좋음)~1(나쁨)의 순서로 평가하였다.
갓의 직경은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Mitutoyo,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갓의 색도는 Minolta spectrophotometer(CM3500d, 일본) 를 이용하여 3군데 지점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품질기준은 앞서의 자실체 특성을 본 연구실 자체 품질기준에 따른 9점측정법을 사용하여 9(좋음)~1(나쁨)의 순서로 평가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실험에 사용한 큰느타리 (FZeMroWs eryngii)^: Table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럽, 미국, 한국의 균주보관센터로부터 분양받은 것을 비롯하여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균주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품종등록된 큰느타리1호 (ASI 2301)를 비롯하여 농촌진흥청에서 분양받은 6 균주와 원산지인 유럽소재 미생물보존센터인 CBS(네덜란드), MUCL(벨기에), DSM(독일)에서 각각 2, 10, 2계통을 확보하였다.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품종등록된 큰느타리1호 (ASI 2301)를 비롯하여 농촌진흥청에서 분양받은 6 균주와 원산지인 유럽소재 미생물보존센터인 CBS(네덜란드), MUCL(벨기에), DSM(독일)에서 각각 2, 10, 2계통을 확보하였다. 미국소재 ATCC에서는 ATCC 90888을 비롯한 3개 계통을 분양받았다.
미국소재 ATCC에서는 ATCC 90888을 비롯한 3개 계통을 분양받았다. 기타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4계통을 수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MCM(Mushroom Complete Media)배지를 사용하여 25℃에서 계대 배양하며 사용하였고, 필요시 4℃에 저장하였다.
기타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4계통을 수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MCM(Mushroom Complete Media)배지를 사용하여 25℃에서 계대 배양하며 사용하였고, 필요시 4℃에 저장하였다.
재배실험에 사용한 배지는 미송톱밥 : 첨가제의 비율을 7.5 : 2.5(부피비)로 하였고, 첨가제는 미강 : 밀기울의 비율이 1 : 1로 섞인 것을 사용하였다. 배지의 수분은 63- 67%로 맞추고 850mZ PP(Polypropylene)병에 580 g의 배지를 충진하여 121℃에서 90분간 살균하여 사용하였다.
4에 나와 있다. 수집한 큰느타리버섯계통 중 가장배양이 빠른 계통은 KNR2515와 2516계통으로 19일인데, 두 계통은 공통적으로 이란의 savers mountain에서 채집되었다. 그러나 자실체가 발생하지 않거나(KNR2516), 어려워서(KNR2515) 자실체를 위한 유전자원의 가치는 상당히 떨어졌다.
성능/효과
고체배지를 이용한 균사생장길이는 MCM 배지가 PDA 배지보다 생장속도가 뛰어났고, KNR2501 계통이 25℃, MCM상에서 가장 잘 자랐다. 균사체생성량은 PDB 배지가 MCM과 YMG 배지보다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양이 가장 빠른 계통은 KNR2515와 2516이 19일 이었다.
3일로서 가장 우수하였다. 계통별 자실체 특징은 길이에 있어서 KNR2312와 2322가 122.7, 121.0 mm으로 가장 길었고, 대두께는 KNR2322가 39.8 mm로 우수하였다. KNR2513도 31.
최적의 생장온도는 25℃로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강 등, 2000). 온도별 평균적인 생장속도에 있어서 KNR2525가 43.3 mm, KNR2322가 43.2 mm로 가장 빠른 균사생장속도를 보였다. MCM상에서의 생장온도는 KNR2525와 KNR2501 이 각각 49.
KNR2525는 PDA나.MCM 배지에서 가장 균사생장이 빠른 것으로 조사되어, 빠른 자실체 생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온도별 생장온도에서 저온 조건인 10℃에서는 KNR2502, KNR2503, KNR2509가 PDA상에서 각각 18.
MCM 배지에서 가장 균사생장이 빠른 것으로 조사되어, 빠른 자실체 생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온도별 생장온도에서 저온 조건인 10℃에서는 KNR2502, KNR2503, KNR2509가 PDA상에서 각각 18.5 mm, 18.5 mm, 19.0 mm로 빨랐고, MCM상에서는 KNR2509, KNR2510, KNR2525가 각각 18.0, 18.0, 18.5 mm로 우수하였다. KNR2509는 PDA, MCM 양배지에서 우수한 성적을 기록하여 주목할 만한 계통으로 사료되었다.
균사생장이 빠른 계통이 병재배에서 배양완료일수가 단축되는 것으로 예상가능하기 때문에 상업적인 재배환경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고온인 30℃에서 PDA상에서의 생장길이는 KNR2322, KNR2505에서 각각 70.5 mm, 65.0 mm, MCM상에서는 KNR2519, KNR2505가 각각 75.5 mm, 75.0 mm로 우수하였다. 최적 온도로 인식되는 25℃ 조건에서의 균사 생장은 PDA상에서 KNR2540이 76.
균사체 생장량을 살펴보면, KNR25S 이 MCM, PDB, YMG 배지 에서 각각 112.0, 146.5, 112.5 mg으로 가장 많은 건물중을 생산하였고, 다음으로는 KNR2514 MCM, PDB, YMG 배지에서 각각 68.5, 117.5, 146.5 mg이, 평균 110.8 mg으로 다음으로 우수한 건물중 생산능력을 보여주었다. 배지별로는 PDB가 계통별 평균 건물중 형성능력이 102.
8 mg으로 다음으로 우수한 건물중 생산능력을 보여주었다. 배지별로는 PDB가 계통별 평균 건물중 형성능력이 102.1 mg으로서 YMG의 94.31mg, MCM의 74.6 mg 보다 우수하였다. KNR2501은 균사생장길이에 이어 건물 중 생산능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좋은 자실체 생산 후보로 사료된다(Table 3).
배양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것은 시간당 균사 축적율이 높아서 배 양기 간을 단축시 켜서 배 양공간의 사용효율을 높여주고, 우량한 자실체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를 가진다. 균긁기 후 첫버섯이 출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초발이 소요일수에 있어서 KNR2503이 6.5일로써 가장 빨리 발이가 되었고, 이어서 KNR2523이 8.3일로써 빨랐다. KNR2503은 균긁기 후 수확에 걸리는 기간에 있어서도 15.
3일로써 빨랐다. KNR2503은 균긁기 후 수확에 걸리는 기간에 있어서도 15.3일로써 가장 짧아서 생육시한을 단축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전자원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는 KNR2521과 2502가 각각 16.
3일이었다. KNR2503은 평균보다 3일 빠름으로 해서 16.4%의 개선효과가 있어서 육종 소재로 사용할 가치가 있었다. 수확소요일과 배양소요 일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형성되었고, 핀발이 소요일수와 수확소요일에는 0.
4%의 개선효과가 있어서 육종 소재로 사용할 가치가 있었다. 수확소요일과 배양소요 일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형성되었고, 핀발이 소요일수와 수확소요일에는 0.86의 상관계수를 보여 높은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양소요일과 마찬가지로 MCM, PDA상에서의 균사생장길이 또한 생육 소요 일과 부의 상관관계가 형성되어 , 페트리디쉬상에서의 균사 생육 길이는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4).
86의 상관계수를 보여 높은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양소요일과 마찬가지로 MCM, PDA상에서의 균사생장길이 또한 생육 소요 일과 부의 상관관계가 형성되어 , 페트리디쉬상에서의 균사 생육 길이는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4).
무게는 농업인의 수익과 직결된 품질구성요소이고 많은 육종에 있어서 가장 오래되고 존중되고 있는 가치이다. 재배되는 계통은 75~80 g이었고, 야생종에서는 KNR254가 36.3 g으로 가장 수확량이 많았고, KNR2503이 27.6 g으로 우수하였다. 품질은 KNR2322, 2312, 2540, 2539가 각각 8.
6 g으로 우수하였다. 품질은 KNR2322, 2312, 2540, 2539가 각각 8.1, 7.3, 5.9, 7.4로 우수하였고, KNR2503이 4.0, KNR2517, 2524가 3.0으로 비교적 유수하여 육종소재로 사용할 가치가 있었다. 자실체의 갓 색은 검을수록 시장에서 고급품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KNR2512 의 L값이 43.
농장에서 재배되는 계통의 갓형은 모두 평반구형으로 분류되었고, 나머지 대부분은편평 형으로 분류되었다. 시장에서 요구하는 큰 느타리버섯의 품질적 특징은 갓모양이 복록반구형이나 평 반구형으로 송이에 가까운 것이어서 KNR2526, 2539, 2540, 2312, 2322 등이 육종소재로 사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주름살의 색깔은 KNR2505, 2514, 2522는 연한 갈색을 보이고, KNR2511, 2513, 2515은 흰색을 띈다.
, 2001). 본 연구결과의 형태적인 특징에 의한 분류는 KNR2511, 2513, 2515가 같은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KNR2526, 2539, 2540, 2312, 2322가 한 그룹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KNR2502, 2503이 비슷하고, 이 그룹과 KNR2504, 2521, 2525가 가까운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Fig.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체배지를 이용한 균사생장길이는 MCM 배지가 PDA 배지보다 생장속도가 뛰어났고, KNR2501 계통이 25℃, MCM상에서 가장 잘 자랐다. 균사체생성량은 PDB 배지가 MCM과 YMG 배지보다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집된 유전자원의 평균 생장길이는 PDA에서 33.24 mm, MCM에서 37.17 mm로 MCM에서 더 우수하였다. PDA 배지상에서 수집계통의 온도별 평균 생장길이는 10, 15, 20, 25, 30℃에서 각각 13.
9%의 차이를 보였다. 재배되는 계통중에는 KNR2322가 39.8 mm로 우수하였고, 야생균주 중에서는 KNR2515가 25.8 mm로 가장 두꺼운 계통이었다. 갓직경도 품질구성요소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참고문헌 (12)
강미선, 강태수, 강안석, 손형락, 성재모. 2000.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gii)의 균사배양 및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한국균학회지 28: 73-80
이현욱. 1999. 큰느타리(새송이)버섯 신 재배작형 및 병해진단. 버섯 3: 193-215
澤章三. 2001. 신특산에린기. 농운협. Pp 74-106
Rajarathnam, R. and Bano, Z. 1987. Pleurotus mushrooms. Part 1A. Morphology, life cycle, taxonomy, breeding and cultivation. Crit. Rev. Food Sci. Nutr. 26: 157-222
Zadrazil, F. 1974. The ecology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Pleurotus ostreatus, Pleurotus florida, Pleurotus cornucopiae, and Pleurotus eryngii. Mushroom Sci. 9: 621-655
Zervakis, G., Venturella, G. and Papadopoulou, K. 2001. Genetic polymorphism and taxonomic infrastructure of the Pleurotus eryngii species-complex as determined by RAPD analysis, isozyme profiles and ecomorphological characters. Mycrobiology 147: 3183-3194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