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Nakai)의 조직배양을 통한 대량생산
Mass Propagation by In Vitro Culture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0 no.4, 2007년, pp.367 - 374  

조한직 ((주)파낙시아) ,  김이엽 ((주)파낙시아) ,  김무열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  박학봉 (전북대학교 원예학과) ,  김효진 (전북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엽, 엽병과 화뢰 등의 치상 절편체 부위 모두에서 캘러스가 형성되었으며 특히 화뢰에서 캘러스 형성률이 71.6%로 가장 높았다. 화뢰배양시 2.0mg ${\cdot}$ $L^{-1}$ 2,4-D와 1.0mg ${\cdot}$ $L^{-1}$ TDZ의 혼용처리구에서 캘러스 형성이 77.8%로 양호했으며 신초 재분화율 역시 42.6%를 보였다. 캘러스 형성과 신초 재분화를 동시에 시킬 때 1/2 MS배지가 효과적이었는데 1/2 MS배지에서 캘러스 형성률은 46.3%, 신초 재분화율은 13.0%,그리고 발근율은 13.0%를 보였다. 캘러스를 통한 신초의 재분화를 위해 1/2 MS배지에 2.0mg ${\cdot}$ $L^{-1}$ 2,4-D와 1.0mg ${\cdot}$ $L^{-1}$ BA를 첨가했을 때 신초 재분화율은 74.1%를 보였고 절편체당 신초수는 2.4개로 좋았다. 발근율은 대조구에서 57.8%로 낮았으나 1.5mg ${\cdot}$ $L^{-1}$ NAA 첨가된 배지에서 97.8%로 높았다. 재분화된 기내 식물체를 원예용 상토에 순화했을 때 생존률이 86.1%로 높았으며 초장, 근장, 생체중 역시 양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micropropagation system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that is a Korean native endangered species. Callus were induced from the leaf, petiole and floral bud and the percentage of callus formation was highest in the floral bud on the MS medium containing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멸종 위기에 처한 섬시호의 대량 증식을 위해 조직배양을 통한 번식체계를 확립하고자 적합한 배양 절편 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절편체로부터 캘러스 유도, 식물체 재분화, 발근에 효과적인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종류와 농도를 구명하며 재분화 식물체의 생존율을 향상시 킬 수 있는 순화용토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J.K. 2004. Taxonomic relationship of Bupleurum latissimum Nakai (Apiaceae), endemic to Ulleung island, Korea. MS Thesis. Chonbuk Nat'l Univ., Korea 

  2. Amano A., K. Fujimoto, K. Ohashi, K. Matrunaga and H. Mizukami. 1989. Chromosome number variation in Bupleurum falcatum plant regenerated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of callus cultures. Shoyakugaku Zasshi 43: 13-18 

  3. Choi, H.K., H.J. Kim, H.C. Shin and Y.D. Kim. 1996. Phylogeny and ribosomal DNA variations of Bupleurum (Umbelliferae). Kor. J. Plant Tax. 26: 219-233 

  4. Choi, S.U., S.H. Nam, G.J. Yang, M.J. Cho and M.S. Yang. 1994. Plant regeneration from the stem tissue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 J. Plant Tiss. Cult. 21: 65-68 

  5. Chung, J.D., C.K. Chun, Y.K. Sun and E.M. Rhee. 1983. In vitro propagation of Hyacinth orientalis L. III. Effect of auxin concentrations and light or dark incubation on organogenesis from stalk tissue and comparison of totipotency between bulbscale and flower stalk tissue. J. Kor. Soc. Hort. Sci. 24: 162-168 

  6. Hiraoka, N., T. Kodama, M. Oyangi, S. Nakano, Y. Tomita, N. Yamada, O. Iida and M. Satake. 1986. Characteristics of Bupleurum falcatum plants propagated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of callus cultures. Plant Cell Reports 5: 319-321 

  7. Homma, Y. and T. Asahira. 1985. New means of Phalaenopsis propagation with internode section of flower stalk. J. Japan. Hort. Soc. Sci. 54: 379-387 

  8. Jeong, J.J. 1999. Influence of the several factors on the rooting of Sedum rotundifolium stem and leaf cuttings. J. Kor. Soc. Hort. Sci. 40: 631- 634 

  9. Kim, J.H. and K.W. Park. 1988. Effects of NAA and BA on the organ differentiation of horseradish (Armoracia rusticana) cultured in vitro. J. Kor. Soc. Hort. Sci. 29: 272-282 

  10. Kim, K.W., J.D. Choi and M.S. Byun. 1999.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organogenesis in Gladiolus'Topaz'callus. Kor. J. Plant Tiss. Cult. 26: 223-227 

  11. Kim, Y.S. and C.Y. Yoon, 1990. A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Bupleurum in Korea. Kor. J. Plant Tax. 20: 209-242 

  12. Lee, H.S., J.D. Chung, C.B. Kim, J.T. Yoon and B.S. Choi. 1994a. In vitro propagation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through shoot tip culture. Kor. J. Plant Biotech. 21: 221-225 

  13. Lee, H.S., J.I. Lee, S.R. Ryu, S.D. Kim and S.M. Kim. 1994b. Effect of medium, growth regulators and activated charcoal on plant regeneration from in vitro culture of Dioscorea japonica Thunberg. Kor. J. Med. Crop Sci. 2: 51-59 

  14. Lee, H.S., S.N. Ryu, J.I. Lee and C.Y. Cho. 1993. Effect of medium and growth regulators on tuber propagation by in vitro culture of yam (Dioscorea japonica Thunberg). Kor. J. Med. Crop Sci. 1: 28-37 

  15. Lee, M.H., E.S. Yoon, S.J. Jung, K.H. Bae, J.W. Seo and Y.E. Choi. 2002. Plant regeneration and effect of auxin and cytokinin on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from seedling explant of Taraxacum platycarpum. Kor. J. Plant Biotech. 29: 111-115 

  16. Lee, S.Y., S.O. Yoo, J.H. Bae and J.H. Lee. 2002.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of Farfugium japonica. Kor. J. Plant Biotech. 29: 45-49 

  17. Lee, S.Y., T.S. Kim, H.S. Kim and Y.T. Lee. 1988. Somatic embryogenesis of Bupleurum falcatum L. I. Effects of growth regulator, glutamine and activated charcoal. Kor. J. Breed. 20: 191- 198 

  18. Li, C.H., J.D. Lim, Y.J. Kim, N.Y. Kim and C.Y. Yu. 2005. Acclimatiz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lantle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cultured by bioreactor. Kor. J. Med. Crop Sci. 13: 133-137 

  19. Murashige, T. and F. Skoog.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 473- 479 

  20. Neves, S.S. and M.F. Watson. 2004.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Bupleurum (Apiaceae) based on nuclear ribosomal DNA ITS sequence data. Ann. Bot. 93: 379-398 

  21. Park, C.H., C.Y. Yu, D.W. Kim J.S. Seo, S.D. Ahn and B.H. Chang. 1994a.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root suspension culture of Bupleurum falcatum L.. Kor. J. Breed. 26: 41-45 

  22. Park, C.H., C.Y. Yu, D.W. Kim, S.D. Ahn and B.H. Chang. 1994b. Plant regeneration of Bupleurum spp. through somatic tissue culture. Kor. J. Med. Crop Sci. 2: 60-66 

  23. Park, C.H., N.S. Seong, S.T. Lee, H.G. Chung and E.S. Park. 1995. Callus formation and plantlet regeneration for anther culture in Bupleurum falcatum L.. Kor. J. Breed. 27: 387-393 

  24. Park, S.U. and Y.A. Chae. 1994. Effect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 on somatic embryogenesis in suspension culture of Ligusticum chuanxiang. Hort. Kor. J. Med. Crop Sci. 2: 44-50 

  25. Ryu, J.H., H.S. Doo and T.H. Kwon. 1992. Induction of haploid plants by anther culture in sesame (Sesamum indicum L. I.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and difference between genotype on callus induction. Kor. J. Plant Tiss. Cult. 19: 171-177 

  26. Seong, R.S., P.H. Jo, K.H. Park, H.H. Bae, W.Y. Soh and D.Y. Cho. 1987. Rapid propagation of Pinellia ternata (Thunb.) Breit via tissue culture. Kor. J. Plant Tiss. Cult. 15: 75-80 

  27. Skoog, F. and C.O. Miller. 1957. Chemical regulation of growth and organ formation in plant tissues cultured in vitro. pp. 118-140. In: The Biological Action of Growth Substances. Symp. Soc. Exp. Biol. Academic Press, New York 

  28. Xia, G.M., Z. Li, G.Q. Guo and H.M. Chen. 1992.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protoplasts of Bupleurum scorzonerifolium Wild.. Plant Cell Reports 11: 155-158 

  29.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pp. 136 

  30.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 578 

  31. 정성현, 인동수, 방재욱. 1994. 시호의 원형질체 배양을 통한 식물체의 재분화. 한국약용작물학회 발표요지 pp. 42 

  32. 平岡昇, 鈺知子, 富田裕. 1983. 組織培養によるミシヌサイユの 繁殖. 生藥學雜誌37: 62-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