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출사고 이후 방제 종료에 대한 방침이나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유류 유출 이후 효과적인 복원방법의 선정 및 적용은 생태계의 빠른 회복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연안생태계의 복원을 위한 기존의 기술 현황들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생태복원기술 개발을 위한 복원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지역의 복원에 생태계의 민감도와 이후의 생태계의 회복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이유는? 1) 유류오염에 노출되게 되는 연안지역은 육상과는 달리 생태적으로 민감하기 때문에 기존의 오염지역의 치유 방법과는 다른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오염된 지역에 있어서 대부분의 토지는 치유 후에 원래의 토지이용과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화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생태계의 파괴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치유과정에 소요되는 비용과 소요기간 및 목표 정화수준의 달성 여부가 주요 관심사가 된다. 하지만 연안지역의 경우 치유 이후의 연안의 이용도는 거의 변하지 않고, 오염 이전의 용도와 동일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제거과정에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 치유 방법이 선정되어야 한다. 기존의 유류정화 과정과 같이 단순히 오염물질의 제거에만 중점을 둔다면 유류에 노출되어 이미 연약해진 연안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 정화 과정 중에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안지역의 복원에는 생태계의 민감도와 이후의 생태계의 회복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해양에서 기름이 유출이 유출되면 어떻게 되는가? 해양에서 기름이 유출되면 수 mm 두께의 유막을 형성하고 해수면 표면에 퍼져 나가면서 휘발성 성분들은 누출이후 빨리 대기 중으로 휘발하게 된다.3) Exxon Valdez 사건으로 누출된 유류 35,000톤 중 적어도 30% 이상이, 240,000톤이 유출된 Amoco Cadiz 사건의 40% 정도가 대기 중으로 휘발되었다고 추정되었다.
용해된 유류는 무엇에 의해 분해되는가?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낮은 물질들이 용해되는데 그 양은 전체 유출 양에 비하여 매우 적은 부분이다. 용해된 유류는 해수 중에서 빨리 희석되어지고 이후 해양 생물들에 의하여 분해되게 된다. 용해되지 않는 유류 중 일부는 파랑에 의해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목진용, 박용욱, 유류오염사고 대비 해안방제체제 구축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1) 

  2. National Oceanic & Atmospheric Administration, Shoreline countermeasures manual(1992) 

  3. Cormack, D., Response to marine oil pollution-review and assessment, Kluwer Academic Publishers(1999) 

  4. Kingston, P. F., "Long-term environmental impact of oil spills,"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7(1-2), 53-61(2002) 

  5. Spies, R. B., Long-term ecological change in the Northern gulf of Alaska, Elsevier(2007) 

  6. 고찰환, 한국의 갯벌, 서울대학교 출판부(2001) 

  7. 홍재상, 한국의 갯벌, 대원사(1998) 

  8. 성기준, 유류오염 생태복원기술 현황과 발전방향, 태안 해양오염실태분석 및 대책토론회,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연합회(2008) 

  9. Sergy, G. A., Guenette, C. C., Owens, E. H., Prince, R. C., Lee, K., "In-site treatment of oiled sediment shorelines,"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8(3), 237-244(2003) 

  10. Owens, E. H., Sergy, G. A., Guenette, C. C., Prince, R. C., Lee, K., "The reduction of stranded oil by in situ shoreline treatment options,"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8(3), 257-272(2003) 

  11. Ebuehi, O. A. T., Abibo, I. B., Shekwolo, P. D., Sigismund, K. I., Adoki, A., Okoro, I. C., "Remediation of crude oil contaminated soil by enhanced natural attenuation technique," J. Appl. Sci. Envrion. Mgt., 9(1), 103-106(2005) 

  12. Irvine, G. V., Mann, D. H., Short, J. W., "Persistence of 10-year old Exxon Valdez oil on gulf of Alaska beaches: the importance of boulder-armoring," Mar. Pollut Bull., 52, 1011-1022(2006) 

  13. Atlas, R. M., "Bioremediation of petroleum pollutant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317-327(1995) 

  14. Venosa, A. D. and Zhu, X., "Biodegradation of crude oil contamination marine shorelines and freshwater wetlands," Spill Science & Technology Bulletin, 8(2), 162-178(2003) 

  15. Maki, H., Hirayama, N. Hiwatari, T., Kohata, K. Uchiyama, H., Watanabe, M., Yamasaki, F., Furuki, M., "Crude oil bioremediation field experiment in the sea of Japan," Mar. Pollut. Bull., 47, 74-77(2003) 

  16. Venosa, A. D., Suidan, M. T., Wrenn, M. T., Strohmeier, K. L., Haines, J. R., Eberhart, B. L., King, D., Holder, E., "Bioremediation of an experimental oil spill on the shoreline of Delaware bay," Environ. Sci. Technol., 30, 1764-1775(1996) 

  17. Lindstrom, J. E., Prince, R. C., Clark, J. C., grossman, M. J., Yeager, Th. R., Braddock, J. F., Brown, E. J., "Microbial population and hydrocarbon biodegradation potentials in fertilized shoreline sediments affected by the T/V Exxon Valdez oil spill," Appl. Environ. Microbiol., 57(9), 2514-2522(1991) 

  18. Pritchard, P. H., and Costa, C. F., "EPA's Alaska oil spill bioremediation project," Environ. Sci. & Technol., 25(3), 372-379(1991) 

  19. Gallego, J. R., Fernandez, J. R., Diez-Sanz, F., Ordonez, S., Sastre, H., Gonzalez-Rojas, E., Pelaez, A. I., Canchez, J., "Bioremediation for shoreline cleanup: in site vs. on-site treatments," Environ. Eng. Sci., 24(4), 493-504 (2007) 

  20. Mendelssohnm I. and Lin, Q., Development of bioremediation for oil spill cleanup in coastal wetlands, U.S. Department of Interior. MMS 2002-048(2002) 

  21. National Oceanic & Atmospheric Administration, "How to clean a beach," Nature, 422(3), 464-466(2003) 

  22. Carls, M. G., Babcock, M. M., Harris, P. M., Irvine, G. V., Cusick, J. A., Rice, S. D., "Persistence of oiling in mussel beds after the Exxon Valdez oil spill," Mar. Environ. Res., 51, 167-190(2001) 

  23. Short, J. W., Lindeberg, M. R., Harris, P. M., Maselko, J. M., Pella J. J., Rice, S. D., "Estimate of oil persisting on the beaches of Prince William Sound 12 years after Exxon Valdez oil spill," Environ. Sci. Technol., 38, 19-25(2004) 

  24. Short, J. W., Irvine, G. A., Mann, D. H., Maselko J. M., Pella, J. J., Payne, J. R., driskell, W. B., Rice, S. D., "Slightly weathered Exxon Valdez oil persists in Gulf of Alaska beach sediments after 16 years," Environ. Sci. Technol., 41, 1245-1250(2007) 

  25. 이석모, 주민참여형 복원사업 추진방안, 태안 해양오염실태분석 및 대책토론회, 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연합회(2008) 

  26. 해양수산부, 통합 해양방재시스템 개발사업 기획연구, 11, pp. 57-74(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