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쇼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패션쇼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components of a fashion show on viewing satisfaction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2 no.1, 2008년, pp.45 - 62  

최현주 (경기대학교 이벤트국제회의학과) ,  신영옥 (부산예술대학 패션광고모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components of a fashion show can influence the perception of the spectators, and what the spectators most like in a fashion show. Through the analysis on the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organizing fashion shows we 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기존 패션쇼구성요인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점을 감안하여 패션쇼구성요인에 관한 이론연구를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패션쇼를 문화적 측면에서 접근한 이경 모26)는 지역 간 또는 민족 간의 다른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지역축제, 유적, 민속물, 풍습의 전시, 문화예술의 전시, 패션쇼 등을 공연이벤트의 범위로 설정한 후, 공연이벤트는 주 요소와 기타 요소로 구분하고, 주요 구성요소는 공연이벤트가 개최되는 장소, 참여자, 연출자, 프로그램으로서 본질적인 요소이며, 기타 구성요소는 공연이벤트의 한층 극적인 연출을 위한 무대장치, 조명, 음향, 소품 등 부수적인 요소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관람자측면에서 패션쇼의 관람행태특성을 파악하고, 패션쇼구성요인별 관람자의 관람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객관적인 연구대상의 접근을 위해 패션쇼 관람자를 연구의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대상의 표본은 국내·외 정상급 패션 디자이너들이 참가해 다음시즌의 패션트렌드를 선보이는 국내 패션계의 대표행사라 불리는 서울컬렉션(2007 S/S Seoul Collection)*을 선정하여 패션쇼 장에 직접 방문한 관람자를 표본대상으로 비확률 표본추출방법의 하나인 임의표본추출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패션쇼 관람자들을 대상으로 전반 적인 패션쇼의 관람행태 및 특성을 파악하고, 관람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패션쇼구성요인과 관람만족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서 효율적인 패션쇼 기획제작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정기컬렉션을 관람하러 온 관람자들을 대상으로 패션쇼 관람자의 관람행태특성을 파악하고, 패션쇼의 여러 구성요인 중 어떠한 구성요인이 패션쇼 관람자의 관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패션쇼 기획제작 시 관람자의 만족도 향상이 패션쇼 개최성공의 중점과제라는 전제 下에 패션쇼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패션쇼구성요인을 분석하여 패션쇼의 미래수요창출 및 관람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고객지향형의 패션쇼 설계를 논의해보고자 하며, 나아가 정보화시대에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패션쇼 관람자의 특성을 이해한 후 패션쇼 기획제작자에게 시대에 부응하는 전략적인 패션쇼 기획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정기컬렉션을 관람하러 온 관람자들을 대상으로 패션쇼 관람자의 관람행태특성을 파악하고, 패션쇼의 여러 구성요인 중 어떠한 구성요인이 패션쇼 관람자의 관람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패션쇼 기획제작 시 관람자의 만족도 향상이 패션쇼 개최성공의 중점과제라는 전제 下에 패션쇼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패션쇼구성요인을 분석하여 패션쇼의 미래수요창출 및 관람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고객지향형의 패션쇼 설계를 논의해보고자 하며, 나아가 정보화시대에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패션쇼 관람자의 특성을 이해한 후 패션쇼 기획제작자에게 시대에 부응하는 전략적인 패션쇼 기획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패션쇼 관람자의 관람행태특성을 파악하고 관람만족에 부응하는 패션쇼 구성요인 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연구를 통해 패션쇼구성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패션쇼 관람자들을 대상으로 패션쇼 관람 행태특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어떠한 패션쇼구성요인이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함으로서 패션쇼 관람자들의 관람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쇼구성요인에 관한 측정변수를 패션쇼 및 공연이벤트의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패션쇼 기획제작전문가(패션쇼 기획사 및 관련학계 연구자, 패션업체 디자이너)들의 의견을 수렴한 후, 여러 가지의 패션쇼 구성요인 중 관람자 측면에서 중요시되는 패션쇼 구성요인인 ‘연출’, ‘프로그램’, ‘모델’, ‘시설환경’ 4개의 주요한 요인을 도출하여 본 연구의 측정변수로 활용하고자 한다.
  • 패션쇼 관람자는 패션쇼 개최목적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이자 패션쇼를 존재하게 할 수 있는 관람 주체로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쇼를 관람하기 위해 방문한 사람들로 정하고자 한다. 패션쇼 관람자들은 다층적인 대중(public)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원적일 뿐만 아니라 시대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므로 단적으로 이들을 규명하는 것은 쉽지 않다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쇼 관람자의 관람만족에 관한 측정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고객만족은 제공된 상품이나 서비스의 성과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20)로서 마케팅 활동의 중요한 목표이며, 그 자체가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 품질과 관련이 있어 고객유지와 기업의 수익성에 기여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21), 궁극적으로 수익성의 향상과 경제적인 성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22). 이에 패션쇼 관람자의 관람만족에 관한 측정이 중요한 이유는 패션쇼 관람 후 재방문 및 추천의도, 충성도, 고객의 태도변화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패션쇼의 관람만족에 대한 측정은 주로 어떤 경향이 있는가? 이에 패션쇼의 관람만족은 관람자들의 패션쇼 관람에 따른 지각된 가치를 측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소비자 만족도측정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이론을 접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만족에 대한 측정은 주로 다항목척도가 아닌 단일항목으로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하는 경향이 있으며15~17), 고객만족을 태도로 간주하기도 하고18), 고객만족을 불일치와 관련된 비교적 단기적인 개념으로 특정 소비행위와 연관되지만, 태도는 경험대상에 관한 비교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기적인 선호감정18~19)이라할 수 있다. 이에 고객만족은 제공된 상품이나 서비스의 성과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20)로서 마케팅 활동의 중요한 목표이며, 그 자체가 매우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 품질과 관련이 있어 고객유지와 기업의 수익성에 기여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21), 궁극적으로 수익성의 향상과 경제적인 성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22).
패션쇼의 기능 및 역할은 무엇인가? 변화의 21세기는 문화활동에 관한 인식의 확산에 따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문화생활의 질적 추구가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으며, 패션디자이너와 패션업체들은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의 심미적 가치와 심미적 요소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제품촉진활동을 통해 경쟁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패션시장의 환경변화 속에서 패션제품의 홍보 및 판촉증진, 기존고객 유지 및 신규고객 창출 등을 위해 펼치는 다각적인 촉진활동중 ‘패션쇼’는 신제품을 소비자에게 홍보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판매촉진의 주요수단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 빠르게 변화되는 패션유행을 대중에게 알리는 중추적인 기능을 수행해내고 있기 때문에 현재에 이르기까지 계속 진행되어오고 있다. 특히, 패션쇼는 제품을 팔 수 있는 계기로 구매자에게는 좋은 시장을 제공함과 동시에 패션경향을 발표하는 기회로 창의적인 표현방법을 도입하여 새로운 경향을 창출하며,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데 영향을 줄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또한 고객이 받아들일 수있는 수용태도에 대한 결과1)를 알 수 있게 하는 역할에 기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노경하 (2003), "패션쇼 음악실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명영화 (1999), "패션쇼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Diehl, M. E. (1976), How to produce a fashion show,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pp.7-37 

  4. 장안화 (2002), "현대 패션쇼의 대중 문화적 특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패션 큰 사전, (교문사, 1999) 

  6. Troxell, M. D. & Stone, E. (1981), Fashion Merchandising, 3rd ed., McGraw-Hill Book Co., p.404 

  7. Winters, A., & Goodman, S. (1972), Fashion sales promotion, Kendall/Hunt Publishing, p.120 

  8. KBS 1 다큐멘터리 10부작 '문화의 질주', 밀라노발 패션특급 (7), 2006.10.12 

  9. 양지연 (2003), "미술관 관람객 연구의 성과와 과제: 20세기 이후 미국의 연구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3(6), pp. 68-97 

  10. 김은경 (2003), 패션쇼 제작가이드, 도서출판 책사랑 

  11. 김진숙 (2004), "패션쇼가 브랜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Oliver, R. L. (1997),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New York: McGraw-Hill 

  13. Aaker, D. A. (1996),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8), pp.347-356 

  14. Fornell, C., Johnson, D., Anderson, E., Cha, J., & Bryant, B. E. (1996), "The America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nature, purpose and findings", Journal of Marketing, 60(4), pp.7-18 

  15. Bloemer, J., & Ruyter, K. (1998),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image, store satisfaction and store loyalt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2(5/6), pp.499-513 

  16. Bolton, R. N., & Lemon, K. N. (1999), "A dynamic model of customer's usage of services: usage as an antecedent and consequence of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6(2), pp.171-186 

  17. LaTour, S. A., & Peat, N. C. (1979),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consumer satisfaction research, Ralph day, Bloomington Wilkie, W.L.(Eds.) IN: Indiana University Press 

  18. Czepiel, J. A., & Rosnberg, L. J. (1976), Consumer Satisfaction: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Proceedings of the Southed Marketing Association, pp.169-171 

  19. Johnson, M. D., & Fornell, C. (1991). "A Framework for comparing customer satisfaction across individuals and product categories",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2(2), pp.267-286 

  20. Zeithaml, V. A. (199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3(2), pp.2-22 

  21. Anderson, E. W., Fornell, C., & Lehmann, D. R. (1994), Customer satisfaction, market share, and profitability; Findings from Sweden. Journal of Marketing, 58(3), pp.53-66 

  22. 윤성림 (2001), "패션쇼에 있어서의 무대장치 사례분석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경모 (2003), 이벤트학원론, 백산출판사. p.495 

  24. 小坂善治郞 (1996), ィベント戰略の實際,, 日本經濟新聞社 

  25. 박석희 (1994), "秘苑의 관광자원 해설체계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18(8), pp.43-69 

  26. Frey, N. (1998), Mess Media & Runway Presentations, The style engine, New York: The Monacelli Press, 30 

  27. 이경모 (2003), 이벤트학원론, 백산출판사. p.302 

  28. Bucher, C. A., & Charles A. B. (1984), Recreation for Today's Society, 2nd ed, Prentice Hall, Inc. p.245 

  29. Joseph, W. B. (1981), "The Credibility of Physical Attractiveness Communicators: A Review", Journal of Advertising, 11(3), pp.15-24 

  30. Baker, M. J., & Churchill, G. A. (1997), "The Impact of Physically Attractive Models on Advertising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4, pp.535-555 

  31. 구문모.임상오.김재준 (2000), 문화산업의 발전방안, 을유문화사, p.147 

  32. Katz, K. L., Larson, B. M., & Larson, R. C. (1991), Prescription for the Waiting-in-line Blues: Entertain, Enlighten, and Engage, Sloan Management Review 

  33.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pp.86-255 

  34. McDonnell, I., Allen, J., & O'Toole, W. (1999), Festival and Special Event management, John Wiley & Sons; Milton. p.24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