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화 줄기 및 뿌리의 주성분 분리 및 항산화활성
Isolation of main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n the stem and root of Rosa rugos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1 no.5, 2008년, pp.402 - 407  

박병재 (키타미공업대학 SVBL)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 해당화의 총페놀화합물 함량은 줄기추출물이 평균 7.8(g/100g, D.W.)이고 뿌리추출물이 평균 10.5(g/100g, D.W.)이며, 모든 시료에서 뿌리추출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2. K-1의 줄기와 뿌리 추출물(0.5g)에서 주성분의 하나로 추정되는 S-4(84.1mg)과 R-2(70.0mg)의 화합물을 단리했고, 그 구조를 catechin으로 결정했다. 3. UPLC 분석에 의해 줄기추출물의 탄닌함량은 평균 752.5(mg/100g, D. W.)로, gallic acid 6.3, epicatechin 61.5, catechin 684.8이고, 뿌리추출물의 탄닌함량은 줄기의 약 2배 이상 높은 1676.0(mg/100g, D.W.)으로 gallic acid 6.8, epicatechin 160.3, catechin 1508.5로 나타났다. 4. 해당화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에서 추출물의 IC50는 뿌리가 $13.7{\mu}g/ml$, 줄기가 $14.5{\mu}g/ml$으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냈고, SOD 유사활성$50{\mu}g/ml$의 농도에서 뿌리추출물이 평균 75.1%, 줄기추출물이 71.9%로써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phenol content was obtained from the stem extract of 7.8 (g/100g, D.W.) and root extract of 10.5 (g/100g, D.W.) on Rosa rugosa. S-4 and R-2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stem and root of R. rugosa. The structure of S-4 and R-2 compounds was assigned as catechin by $^{1}H,\;^{13}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능성식품소재, 의약품원료로서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해당화의 폴리페놀에 주목해, 일본산과 한국산 해당화의 줄기와 뿌리의 항산화활성을 비교하고, 그 주성분으로 추정되는 성분을 단리, 정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kamatsuK. 1974. Herbmedicine in Japan, Ishiyaku Publisher Inc.(in Japan), p. 381 

  2. Choi Y.S., C. Ahn, J.W. Jhoo and S.Y. Lee. 1993. Lipotropic action of the extracts of Rosa rugosa roots on the induced fatty liver of rats. Korean J. Lipidology 3(1): 33-40 

  3. HashidokoY. 1996. Phytochemistry of Rosa rugosa, Phytochemistry, 43: 535-549 

  4. Hashidoko Y., S. Tahara and J. Mizitani. 1989. Antimicroboal sesquiterpene fromdamagedRosa rugosa leaves, Phytochemistry, 28: 425-430 

  5. Hatano T., N. Ogawa, T. Yasuhara and T. Okuda. 1990a. Tannins of Rosaceous plants. VIII. Hydrolysable tannin monomers having a valoneoyl group from flower petal of Rosa rugosa Thunb. Chem. Pharm. Bull., 38: 3308-3313 

  6. Hatano T., N. Ogawa, T. Shingu and T. Okuda. 1990b. Tannins of Rosaceous plants. IX. Rugosin D, E, F andG, dimeric and trimeric hydrolysable tannins with valoneoyl group(s), from flower petal of Rosa rugosa Thunb. Chem. Pharm. Bull., 38: 3341- 3346 

  7. Jung H.J., J.H. Nam, J. Coi, K.T. Lee and H.J. Park. 2005. $19{\alpha}-Hydroxyursane-typetriterpenoids : antinociceptiveantinflammatory principles of the roots of Rosa rugosa.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8: 101-104 

  8. Kaneta M., H. Hikichi, S. Endo and N. Sugiyama. 1979. Identification of flavones in nineteen Rosaceae species. Agric. Biol. Chem. 43: 657-658 

  9. Kim M.J., K.E. Kim, K.H. Shin, K. Heo, D.H. Cho, C.H. Park and C.Y. Yu. 2001.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different organs of Rosa rugosa Thunb., Korean J. Medicinal Crop Sci., 9(1): 40-44 

  10. Kimura S. 1978. China, Japan medical plant-natural medicine, Hirakawa Punlisher Inc. Tokyo(in Japan) 

  11. Krussmann G. 1982. Roses, B.T. Batsford Ltd., London, pp. 269-270 

  12. OkawaM. 2005.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the polyphenol contained some functional foods. Pharmaceutical Bul. Fukuoka Univ. 5: 1-12 

  13. Okuda T., T. Hatano, J. Yazajum and N. Ogawa. 1982a. Rugosin A, B, C and praecoxin A, Tannins having a valoneoyl group. Chem. Pharm. Bull., 30: 4230- 4233 

  14. Okuda T., T. Hatano and N. Ogawa. 1982b. Rugosin D, E, F and G, dimeric and trimeric hydrolysable tannins. Chem. Pharm. Bull., 30: 4234- 4237 

  15. Park H.J., J.H. Nam, H.J. Jung,M.S. Lee, K.T. Lee,M.H. Jung and J.W. Choi. 2005. Inhibitory effect of euscaphic acid and tormentic acid from the roots of Rosa rugosa o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in the rat. Kor. J. Pharmacogn. 36(4): 321-331 

  16. Park J.C. and K.D. Ok. 1993.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Rosa rugosa Thunb. in Korea. Yakhak Hoeji. 37: 365-369 

  17. Shanghai Science-technology Publication. 1985. Dictionary of Chinese Medicine, Vol. 4, Shogakukan, Tokyo(in Japan) 

  18. Shorthouse J.D. 1988. Occurrence of two gall wasps of the genus Diplolepis. (Hymenoptera: Cynipidae) on the domestic shrub rose, Rosa rugosa Thunb. (Rosaceae). Can. Ent., 120: 727-737 

  19. 육창주. 1981. 한국약품식물도감, 진명출판사, p. 18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