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방법을 달리한 보리 잎의 생리활성
Physiology Activity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2, 2008년, pp.1627 - 1631  

박수진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순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허영회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한식세계화연구단) ,  문은영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명화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방법으로 건조한 보리 잎의 생리활성을 분석한 결과, 보리 잎의 추출수율은 건조방법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페놀함량은 건조방법별 함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처리 후 건조한 보리 잎에서 생잎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고, 음건, 진공 동결 건조, 전자레인지 후 건조한 보리 잎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SOD 유사활성은 생잎 $95.69{\pm}0.33%$, 열처리 후 건조한 보리 잎 $94.96{\pm}0.77%$, 음건 $92.04{\pm}1.35%$, 진공 동결건조 $91.53{\pm}0.40%$, 전자레인지 건조 $92.58{\pm}0.27%$로 9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대조군인 항산화제 sesamol $88.42{\pm}0.80%$, tocopherol $88.86{\pm}0.61%$, BHT $86.62{\pm}0.89%$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생잎과 전자레인지 건조한 보리 잎을 제외하고 80% 이상의 peroxyl radical 소거능 및 90% 이상의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건조방법별 보리 잎의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항산화 능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hysiology activity of barley leaf extract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Yield of RL (raw leaf) and barley leaves drie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y various drying metho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phenolic content by dry method. Howe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보리 잎을 건조하여 보리 잎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고, 활성성분 유지를 위해 적합한 건조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리 잎의 추출물이 함유하는 항산화제 성분은? 보리 잎의 추출물은 강력한 항산화제인 superoxide dismutase(SOD)와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염, 혈압강하 등의 생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또한, 보리 잎에는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A가 높은 수준으로 포함되어 있고, 단백질과 무기질, 효소 등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보리 잎의 추출물의 생리작용은? 보리 잎의 추출물은 강력한 항산화제인 superoxide dismutase(SOD)와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염, 혈압강하 등의 생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또한, 보리 잎에는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A가 높은 수준으로 포함되어 있고, 단백질과 무기질, 효소 등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보리 잎은 계절적인 제약이 있어 건조하여 보관하는 것이 좋은데 건조시 발생할수 있는 단점은? 건조는 재료의 간편성 및 이용증진을 위해 쓰이는 방법으로, 진공, 열풍, 냉동 등의 원리를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각각 복원성, 물성변화, 색, 맛, 조직감 등에 있어 장단점이 다르다(3-5). 식품은 건조됨으로써 품질 저하될 수 있으며, 수용성 비타민류의 손실이 크고, 유기산이 휘발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e YC, Son JY, Kim TJ, Kim SS. 1994.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isolated from barley leaf. Korean J Food and Nutr 7: 332-337 

  2. Ohkawa M. 1988. Three new anti-oxidative saponarin analogs from young green barley leaf. Chem Pharm Bull 46: 1887-1890 

  3. Cho SY, You BJ, Chang MH, Lee SJ, Sung NJ, Lee EH. 1994. Screening for antimicrobial compounds in unused marine resources by the paper disk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56-165 

  4. Jung IC, Park KS, Ha HC, Kim SH, Kwon YI, Lee JS. 1996. Antioxidative effects of fruit body and mycelial extracts of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464-469 

  5. Jang EH, Pyo YH, Ahn MS. 1997. Antioxidant effect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lon)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2: 372-376 

  6. Eheart MS, Gott C. 1965. Chlorophyll, ascorbic acid and pH change in green vegetables cooked by stir-fry microwave and conventional method. J Food Technol 19: 867-870 

  7. Park SJ, Joung YM, Choi MK, Kim YK, Kim JG, Kim KH, Kang MH. 2008. 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0-65 

  8. KFN. 2000.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oyil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85-286 

  9. Bevenuti S, Pellati F, Melegari M, Bertelli D. 2004. Polyphenols, anthocyanins, ascorbic acid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ubus, ribes and aronia. J Food Sci 69: FCT164-169 

  10. Tsuda T, Oshinori YF, Katsumi O, Yamamoto A, Kawakishi S, Osawa T. 1995. Antioxidative activity of tamarined extract prepared from the seed coat. Nippon Shokuhin Kaishi 42: 430-435 

  11. Darley-Usmar VM, Hersey A, Garlan LG. 1989. A method for the comparative assessment of antioxidants as peroxyl radical scavengers. Biochem Pharmacol 38: 1465-1469 

  12. Stirpe F, Corte ED.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3 

  13. Kim KT, Seog HM, Kim SS. 1994.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leaf during growth.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71-474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1. Foodstuffs ingredient table. The 4th. p 58-124 

  15. Kim MJ, Kim IJ, Nam SY, Lee CH, Yun T, Song BH. 2006.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content of active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color values of Saururus chinensis Bai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8-13 

  16. Hong JJ, Ahn TH. 2005. Changes in phytochemical compounds and hazardous factors of spinach by blanc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68-273 

  17. Garcia-Viguera C, Vallejo F, Tomas-Barberan FA. 2003.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edible parts of broccoli inflorescences after domestic cooking. J Sci Food Agric 83: 1511-1516 

  18. Donnelly JK, Mclellan KM, Walker JL, Robinson DS. 1989. Superoxide dismutases in food: a review. Food Chem 33: 243-270 

  19.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20. Jang JH, Choi HS, Cheong HS, Kang OJ. 2007. A comparison of antioxidant of barley leaf tea and green tea according to leaching conditions in distilled wat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65-172 

  21. Park JH, Kim JB, Kim KS. 1996.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eaves in domestic tea plant. J Korea Tea Soc 2: 119-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