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산만 해역 동-춘계 대증식기의 플랑크톤 변화
Variation in Planktonic Assemblages in Asan Bay During the Winter-Spring Bloom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3 no.4, 2008년, pp.308 - 319  

박철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이두별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이창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 ,  양성렬 (광주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정병관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산만 해역에서 2005년 2월부터 6월까지 환경 요인과 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수온은 전형적인 겨울철과 봄철의 수온양상을 보였고, 염분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식물플랑크톤은 2월에 만의 안쪽에서 첫 번째 peak를 보인 후 5월에 만 전체적으로 두 번째 peak를 보였다. 수온의 증가는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천이를 유발하여 2월의 식물플랑크톤 대증식기에는 규조류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5월에는 규조류와 은편모조류가 혼재하며 발생하였고, 6월에는 와편모조류가 우점하였다. 일반적으로 연안해의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은 봄철과 가을철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산만 해역에서는 이보다 약 한달 정도 빠르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시에 산염은 활발히 흡수되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이용되었고, 질산염은 제한 영양염으로 작용하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수온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이 발생한 $2{\sim}3$달 이후에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증가한 수온과 먹이로 인해 동물플랑크톤 군집이 성장한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mporal variations in plankton assemblag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san Bay and their relationships were examine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February till early June, 2005. Seawater temperatures showed typical pattern of temporal change observed in temperate waters. Salinity variation was 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 등(2007a)은 여름철 장마기에 대량 유입되는 담수로부터 다량의 영양염이 공급되면 봄철 대증식기와 같은 증식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2005년 2월부터 6월까지 4개월 동안 약 15일 간격의 집중적인 채집과 관측을 통해 봄철 대증식기 플랑크톤 계의 변화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 국내의 진해만에서는 동계에 대증식 현상이 발생하였고(유 등, 2007), 마산만에서도 동계에 적조가 발생하였고 그 이유로 과거에 비해 현재 수온이 약 4 ℃ 정도 증가한 것을 원인으로 보고하였다(이와 한, 2007). 이에 아산만 해역에서도 겨울철 식물플랑크톤 증식이 증가한 수온에 의한 영향인지 파악해 보았다. 아산만의 10년 전 겨울철 수온은 약 3 ℃ 내외(Park, 1997)로 본 연구 기간의 2월 평균 수온인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산만은 지형적 특징은? 서해 연안 중부에 위치한 아산만은 아산, 삽교, 남양, 석문 방조제 등의 인공호로 둘러싸여 있으며 수심은 10~30 m 내외의 하구역이다. 하구역의 해양환경은 일반적으로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아 염분의 변화가 심하고, 하루 주기로 변하는 조석의 영향으로 해수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며, 탁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정 등, 2000).
하구역의 해양환경의 특징은? 서해 연안 중부에 위치한 아산만은 아산, 삽교, 남양, 석문 방조제 등의 인공호로 둘러싸여 있으며 수심은 10~30 m 내외의 하구역이다. 하구역의 해양환경은 일반적으로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아 염분의 변화가 심하고, 하루 주기로 변하는 조석의 영향으로 해수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며, 탁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정 등, 2000). 하구역의 해양 생태계는 다양한 생물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생물생산의 기초가 되는 1차 생산자로서 해역의 수산자원은 물론 서식하는 모든 해양 동물의 생산 활동을 유지시키는 기본 요소이다.
아산만 해역에서 2005년 2월부터 6월까지 환경 요인과 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파악 시 중형동물플랑크톤이 수은과 식물플랑크톤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가? 또한,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시에 산염은 활발히 흡수되어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이용되었고, 질산염은 제한 영양염으로 작용하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수온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이 발생한 $2{\sim}3$달 이후에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권기영, 문창호, 이재성, 양성렬, 박미옥, 이필용, 2004. 섬진강 하구역에서 영양염의 하구내 거동과 플럭스. 한국해양학회지, 9: 153-163 

  2. 명철수, 유재명, 김웅서, 1994. 아산만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9: 366-375 

  3. 문창호, 권기영, 1994. 낙동강 하구역 입자성 유기 규소의 계절적변화, 한국해양학회지, 29: 5-16 

  4. 문창호, 박 철, 이승용, 1993. 아산만의 영양염 및 입자성 유기물. 한국수산학회지, 26: 173-181 

  5. 문창호, 최혜지, 1991. 낙동강 하구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6: 144-154 

  6. 박종규, 허성회, 정해진, 2001. 진해만의 식물플랑크톤: I. 광 환경에 따른 광합성 특성과 일차생산력. 한국조류학회지, 16: 189-196 

  7. 박 철, 이평강, 1995. 아산만 요각류 Calanus sinicus의 알생산. 한국수산학회지, 28: 105-113 

  8. 서호영, 서해립, 1993. 광양만의 부유성 요각류 출현량의 계절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0: 118-129 

  9. 심재형 외, 2003. 플랑크톤 생태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pp139-140 

  10.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1991. 만경강 하류의 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한국육수학회지, 24: 45-54 

  11. 여환구, 박미옥, 1997. 진해만 동부 해역내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질환경의 계절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6: 231-238 

  12. 유만호, 송태윤, 김은수, 최중기, 2007.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식물 플랑크톤의 시.공산적 분포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12: 305-314 

  13. 윤양호, 1999. 득량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 481-492 

  14. 윤양호, 고남표, 1995. 거금수도내 양식어장의 해양환경 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한국양식학회지, 8: 47-58 

  15. 윤석현, 최중기, 2003.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8: 243-250 

  16. 이두별, 박 철, 양성렬, 신용식, 2007a. 아산만 해역에서 장마기전후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2: 337-348 

  17. 이상현, 신용식, 양성렬, 박 철, 2005.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군집 분포 특성. Ocean and Polar Res., 27: 149-159 

  18. 이주연, 한명수, 2007. 마산만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 양상의 변화와 군집 동태. 한국해양학회지, 12: 147-158 

  19. 이진환, 윤수미, 2000. 여자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한국조류학회지, 15: 89-98 

  20. 이창래, 박 철, 양성렬, 신용식, 2006. 아산만 해역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11: 1-10 

  21. 이향화, 신용식, 양성렬, 박 철, 2007b. 아산만 연안하구 식물플랑크톤의 2006년 하계 종조성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2: 200-210 

  22. 정익교, 강영작, 권오섭, 서정관, 2000. 낙동강 하구 해역 식물플랑크톤의 군집동태. 한국조류학회지, 15: 99-110 

  23. 최양호, 노영재, 전호경, 2002. 서해 아산만 당진화력발전소 인근해역 수온 변동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7: 43-50 

  24. 현봉길, 신용식, 박 철, 양성렬, 이영준, 2006.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4: 7-18 

  25. Bautista, B. and R.P. Harris, 1992. Copepod gut contents, ingestion rates and grazing impact on phytoplankton in relation to size structure of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during a spring bloom. Mar. Ecol. Prog. Ser., 82: 41-50 

  26. Breitburg, D.L., J.G. Sanders, C.C. Gilmour, C.A. Hatfield, R.W. Osman, G.F. Riedel, S.P. Seitzinger and K.G. Sellner, 1999. Variability in responses to nutrients and trace elements, and transmission of stressor effects through an esturine food web. Limnol. Oceanogr., 44: 837-863 

  27. Carpenter, S.R., J.F. Kitchell and J.R. Hodgson. 1985. Cascading trophic interactions and lake productivity. BioScience, 35: 634-639 

  28. Carstensen, J., D.J. Conley and P. Henriksen, 2004. Frequency, composition and causes of summer phytoplankton blooms in a shallow coastal ecosystem, the Kattegat. Lomnol. Oceanogr., 49: 191-201 

  29. Choi, K.H. and C. Park, 1993.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J. Kor. Fish. Soc., 26: 424-437 

  30. Dagg, M.J., 1993. Grazing by the copepod community does not control phytoplankton in the subarctic Pacific Ocean. Prog. Oceanogr 32: 163-183 

  31. Dam, H.G., X. Zhang, M. Butler and M.R. Roman, 1995. Mesozooplankton grazing and metabolism at the equator in the central Pacific implications for carbon and nitrogen fluxes. Deep-Sea Res., 42: 735-756 

  32. D'Elia, C.F., D.M. Nelson and W.R. Boynton, 1983. Chesapeake Bay nutrient and plankton dynamics: III. The annual cycle of dissolved silicon. Geochim. Cosmochim. Acta., 46: 1945-1955 

  33. Goffart, A., J.H. Hecq and L. Legendre, 2002.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the winter-spring phytoplankton bloom in the bay of Calvi over the last two decades a response to changing climate. Mar. Ecol. Prog. Ser., 236: 45-60 

  34. Hansen, B.W., B.H. Hygum, M. Brozek, F. Jensen and C. Rey, 2000. Food web interaction in a Calanus finmarchicus dominated pelagic ecosystem-a mesocosm study. J. Plankton Res., 22: 569-588 

  35. Landry, M.R., C.J. Lorenzen, W.K., and Peterson, 1994. Mesozooplankton grazing in the Southern California Bight. II. Grazing impact and particulate flux. Mar. Ecol. Prog. Ser., 115: 73-85 

  36. Lee, C.R. and C. Park, 2002. Long-term variation of zooplankton composition and abundance in Asan Bay, Korea: in it influence of dyke construction?. The Yellow Sea, 8: 9-18 

  37. Marshall, H.G. and W.A. Raymond, 1990. A comparis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and environmental relationships in three estuarine river of the lower Chesapeak Bay. Estuaries, 13: 287-300 

  38. Menge, B.A., 1992. "Community Regulation: Under What conditions are bottom-up factors important on rocky shores?" Ecology, pp. 755-765 

  39. Nejstgaard, J.C., U. Bamstedt, E. Bageoien and P.T. Solberg, 1995. Algal constraints on copepod grazing. Growth states, toxicity, cell size, and season as regulating factors. ICES J. Mar. Sic., 52: 347-357 

  40. Park, C., 1997. Seasonal distribution, eggs production and feeding by Marine copepod Calanus sinicus in Asan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32: 85-92 

  41. Park, C., K.H. Choi and C.H. Moon, 1991.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Asan Bay, Korea with Comments on vertical migration. Bull. Korean Fish. Soc., 24: 472-482 

  42. Park, C., P.G. Lee and C.R. Lee, 1998. Seasonal variation on abundance, species occurrence and species diversity of zooplankton in Asan Bay, the Yellow Sea over the last eight years. The Yellow Sea, 4: 40-48 

  43. Parsons, T.R., M. Takahashi and B. Hargrave, 1984a. Biological Oceanographic Progress. 3rd ed., Pergamon Press, New York, 330pp 

  44.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b.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173pp 

  45. Raymont, J.E.G., 1980. Plankton and productivity in the oceans, Phytoplankton. Vol. 1. Pergamon Press, Oxford, 489pp 

  46. Redfield, A.C., 1985. The biological control of chemic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Am. Sci., 46: 205-255 

  47. Reynolds, C.S., S.W. Wiseman, B.M. Godfrey and C. Butterwick, 1983. Some effects of artificial mixing on the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populations in large liminetic enclosures. J. Plankton Res., 5: 203-234 

  48. Rollwagen Bollens G.C. and M.R. Landry, 2000. The biological response to iron fertilization in the eastern equatorial Pacific (IronEx II). II. Mesozooplankton abundance, biomass, depth distribution and grazing. Mar. Ecol. Prog. Ser., 201: 43-56 

  49. SAS Institute Inc., 1999. SAS/STAT Software. SAS Institute, Cary, NC, USA 

  50. Soh, H.Y. and H.G. Jeong, 2003.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genus Acartia (Copepoda: Calanoid)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1: 422-427 

  51. Sommer, U., Z.M. Gliwicz, W. Lampert and A. Duncan, 1986. The PEG-model of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events in fresh waters. Arch. Hydrobiol., 106: 433-471 

  52. Tilman, D., 1982. Resource compet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53. Uye, S., 1986. Impact of copepod grazing on the red-tide flagellate Chattonella antiqua. Mar. Biol., 92: 35-43 

  54. Yamada, S.S. and C.F. D'Elia, 1984. Silicic acid regeneration from estuatine sediment cores. Mar. Ecol. Prog. Ser., 18: 113-118 

  55. Yi, H., Y.S. Shin, C. Park and S.R. Yang, 2006.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position in the Asan Bay, 2006. Proceedings of the Autumn Meeting, 2006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May 15-16, 2006. Busan Bexco, Busan 

  56. Zingone, A., R. Casotti, M.R. Dalcala, M. Scardi and D. Marino, 1995. St-Martins summer: The case of an autumn phytoplankton bloom in the Gulf of Naples (Mediterranean Sea). J. Plankton Res., 17: 575-5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