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에 서식하는 연산호 일종, 큰수지맨드라미의 사망률과 성장 패턴
Mortality and Growth of the Soft Coral, Dendronephthya gigantea in Jejudo Island,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3 no.4, 2008년, pp.342 - 347  

최용우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정하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큰수지맨드라미의 사망률과 성장률에 관한 연구를 제주도 문섬에서 2003년 2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진행하였다. 수심 15 m에 서식하는 큰수지맨드라미 48개체를 형광 플래깅 테이프로 표시했으며, 이들을 1년 6개월 동안 약2개월 간격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연구기간동안 2개월 단위의 평균 사망률은 50.4%로 나타났으며, 여름 태풍 발생시점인 2003년 8-10월에는 84.6%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개체크기에 따른 사망률 양상에서는 등급 I(${\leq}$10 cm) 개체들의 사망률이 등급 II(10 cm-20 cm)와 등급 III(>20 cm)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계절에 따른 성장률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가을-겨울시기의 길이 성장률이 다른 시기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의 평균 길이성장률은 2개월 동안 3 cm씩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2003년 8-10월에는 6.4 cm로 최대치를 보였다. 한편 직경의 성장은 2개월 동안 평균 0.3 cm가 증가하였으며, 2004년 4-6월에 1.4 cm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제주도의 큰수지맨드라미 개체군은 매년 여름 태풍에 큰 영향을 받아 높은 사망률을 보이지만, 이후 어린개체들의 높은 가입률과 빠른 성장을 통하여 개체군을 유지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rtality and growth rate of the soft coral, Dendronephthya gigantea, from Jejudo Islan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February 2003 to October 2004 using SCUBA diving. 48 individuals with variable sizes of D. gigantea of the depth of 15m were tagged with flagging tapes and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체적으로 작은 개체에서 높은 사망률이 관찰 되었으며, 태풍과 같은 심각한 교란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개체 크기에 관계없이 대량사망이 일어났다. 또한 대량사망 이후 에너지를 성장과 회복에 집중하는 회복과정을 거치게 되며, 작은 개체들을 중심으로 크기 특이적 성장률 양상을 나타내는 것이 본 개체군연구를 통해 관찰되었다. 폭풍에 의한 대량사망과 함께 심각한 분열현상(fragmentation)이 발생한다는 van Veghel and Hoetjes(1995)와 Hall and Hughes(1996)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본 조사지역에서 태풍 ‘매미’ 직후인 2004년 10월 개체의 성장 및 회복과 더불어 생존한 개체들 주변으로 5 cm 미만의작은 개체들이 다른 시기에 비해 현저히 많이 가입된 것이 관찰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남부해역에 고루 분포하여 연산호 군락을 이루는 주요종이며 환경부 지정(1997) 보호야생종으로서 보호 및 연구 가치가 높은 해계두목(Alcyonacea)의 곤봉바다맨드라미과(Nephtheidae) 수지맨드라미속(Dendronephthya)의 큰수지맨드라미(Dendronephthya gigantea)를 연구 대상 종으로 선정하였으며, 생태학적 연구기법을 통해 개체군통계학적 데이터(demographic parameter)인 성장률(growth rate)과 사망률(mortality)을 조사하고, 계절에 따른 서식환경의 변화양상과 더불어 태풍 등으로 인한 주요 교란현상에 개체군이 어떠한 영향을 받고 어떻게 유지되는가를 이해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 문섬에서 2003년 2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큰수지맨드라미의 사망률과 성장률를 분석한 결과는? 수심 15 m에 서식하는 큰수지맨드라미 48개체를 형광 플래깅 테이프로 표시했으며, 이들을 1년 6개월 동안 약2개월 간격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연구기간동안 2개월 단위의 평균 사망률은 50.4%로 나타났으며, 여름 태풍 발생시점인 2003년 8-10월에는 84.6%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개체크기에 따른 사망률 양상에서는 등급 I(${\leq}$10 cm) 개체들의 사망률이 등급 II(10 cm-20 cm)와 등급 III(>20 cm)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계절에 따른 성장률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가을-겨울시기의 길이 성장률이 다른 시기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의 평균 길이성장률은 2개월 동안 3 cm씩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2003년 8-10월에는 6.4 cm로 최대치를 보였다. 한편 직경의 성장은 2개월 동안 평균 0.3 cm가 증가하였으며, 2004년 4-6월에 1.4 cm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제주도의 큰수지맨드라미 개체군은 매년 여름 태풍에 큰 영향을 받아 높은 사망률을 보이지만, 이후 어린개체들의 높은 가입률과 빠른 성장을 통하여 개체군을 유지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산호류에는 어떤 종류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자포동물문 산호충강(Cnidaria: Anthozoa)에 속하는 해양 무척 추동물인 산호류(corals)는 폴립 주위에 8개의 촉수들을 가진 팔방 산호류(Octocoral; soft corals), 흑갈색의 가시모양 돌기를 축에 가진 각산호류(Black corals), 그리고 석회 골격을 지니며 산호초(coral reefs)를 형성하는 경산호류(hard corals) 등이 있다(Williams, 1993).
문섬에 조성되어있는 생태계 특징은? 1). 문섬은 해조류 약 156종, 해양 무척추동물 약 223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다양한 산호군락과 감태와 모자반 등의 해조 숲이 잘 조성된 지역이다(이 등, 2001). 특히 문섬은 문화재청에서 2000년에 천연기념물 제 421호 및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어 높은 연구가치를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이인규, 송준임, 심정자, 최병래, 김원, 오윤식, 최한구, 2001. 제주 연안 천연보호구역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재청, 238pp 

  2. 정상철, 노홍길, 박길순, 전득산, 1983. 서귀포 연안해역의 기초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환경. 한국수산학회지, 16: 305-315 

  3. 국립수산과학원, 2004. 한국해양환경 조사연보 2003, 236pp 

  4. 국립수산과학원, 2005. 한국해양환경 조사연보 2004, 400pp 

  5. Connell, J.H., 1997. Disturbance and recovery of coral assemblages. Coral Reefs., 16, suppl.: S101-S113 

  6. Connell, J.H., T.P., Hughes and C.C. Wallace. 1997. A 30-year study of coral abundance, recruitment, and disturbance at several scales in space and time. Ecol. Monogr., 67: 461-488 

  7. Cordes, E.E., J.W. Nybakken and G. Van Dykhuizen, 2001. Reproduction and growth of Anthomastus ritteri (Octocorallia: Alcyonacea) from Monterey Bay, California, USA. Mar. Biol., 138: 491-501 

  8. Fabricius, K.E., Y. Benayahu and A. Genin, 1995a. Herbivory in asymbiotic soft corals. Science, 268: 90-92 

  9. Fabricius, K.E., A. Genin and Y. Benayahu, 1995b. Flow-dependent herbivory and growth in zooxanthellae-free soft corals. Limnol. Oceanogr., 40: 1290-1301 

  10. Fabricius, K.E., 1997. Soft coral abundance on the central Great Barrier Reef: effects of Acanthaster planci, space availability, and asp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Coral Reefs, 16: 159-167 

  11. Fabricius, K.E. and M. Dommisse, 2000. Deple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over coastal reef communities dominated by zooxanthellate soft corals. Mar. Ecol. Prog. Ser., 196: 157-167 

  12. Goreau, T.F., N.I. Greau and T.J. Groreau, 1979. Corals and coral reefs. Sci. Am., 241: 124-136 

  13. Glynn, P.W., 1988. El Nino Southern Oscillation 1982-83: nearshore population, community and ecosystem responses. Annu. Rev. Ecol. Syst., 19: 309-345 

  14. Hall, V.R. and T.P. Hughes, 1996. Reproductive strategies of modular organisms: comparative studies of reef-building corals. Ecology, 77: 950-96 

  15. Hardvell, D., K. Kim, C. Quirolo, J. Weir and G. Smith, 2001. Coral bleaching and disease: contributors to 1998 mass mortality in Briareum asbestinium (Octocorallia, Gorgonacea). Hydrobiologia, 460: 97-104 

  16. Hughes, T.P. and J.H. Connell, 1987. Population dynamics based on size or age: a coral reef analysis. Am. Nat., 129: 818-829 

  17. Lirman, D., 2000. Fragmentation in the branching coral Acoropora palmata (Lamarck): growth, survivorship, and reproduction of colonies and fragments. J. Exp. Mar. Biol., 251: 41-57 

  18. Lirman, D., 2003. A simulation model of the population dynamics of the branching coral Acropora palmata effect of storm intensity and frequensy. Ecol. model., 161: 169-182 

  19. Rho, B.J. and J.I. Song, 1976.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Anthozoa 1. Gorgonacea Pennatulacea, J. Kor. Res. Inst. Bet. Liv., Ewha Woman Univ., 17: 71-92 

  20. Ribes, M., R. Coma and J.M. Gili, 1998. Heterotrophic feeding by gorgonian corals with symbiotic zooxanthella. Limnol. Oceanogr., 43: 1170-1179 

  21. Song, J.I., 1995. A systematic study on the Korean Anthozoa 16. Order Stolonifera. Korean J. Zool., 38: 356-363 

  22. Van Veghel, M.L.J. and P.C. Hoetjes, 1995. Effects of Tropical Storm Bret on Curacao Reefs. Bull. Mar. Sci., 56: 692-694 

  23. Wielgus, J., D. Glassom and L. Fishelson, 2003. Long-term persistence of low coral cover abundance on a disturbed coral reef flat in the northern Red Sea. J. Exp. Mar. Biol. Ecol., 297: 31-41 

  24. Williams, G.C., 1993. Coral Reef Octocorals. An illustrated guide to the soft corals, sea fans and sea pens inhabiting the coral reefs of northern Natal. Natural Science Museum, Durban, 64 pp 

  25. Yoshioka, P.M., 1994. Size-specific life history pattern of a shallowwater gorgonian. J. Exp. Mar. Biol. Ecol., 184: 111-1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