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무기록지 분석과 간호사 면담을 통한유치도뇨관 관리에 관한 간호활동 및 환자결과
Nursing Activities and Outcomes Related to Indwelling Urinary Catheterization from a Review of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5 no.4, 2008년, pp.438 - 448  

장금성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정경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최자윤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양진주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박순주 (광주보건대학 간호과) ,  류세앙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김남영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심재연 (전남대학교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ing activities and to analyze patient outcomes related to indwelling urinary catheterization. Method: A review was done of 628 medical records from five units for patients admitted between January 1 and June 30, 2006. Twelve nurses who work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유치도뇨관 관련 대상자 결과 지표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관련 결과 지표 중 요로감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 대상자의 삽입기간이 평균 5일이었고, 5일 이하 군이 74.
  • 먼저, 유치도뇨관 삽입 전 간호활동을 중심으로 논의해 나가고자 한다. 유치도뇨관 삽입이유에 대해서는 의무기록지 분석결과와 면담결과가 유사하였다.
  • 본 연구는 유치도뇨관과 관련된 삽입 전, 유지 중, 제거 후 간호활동과 유치도뇨관 관리 결과 지표를 분석하기 위해 유치도뇨관 관련 환자의 의무기록지와 간호사 면담자료를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의무기록지 분석과 간호사 면담을 통해 도뇨관 삽입부터 도뇨관 제거까지의 현행 유치도뇨관 관리에 관한 간호활동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상자 결과 지표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의무기록지 분석과 간호사 면담을 통해 유치도뇨관 관련 삽입 전, 유지 중, 제거 후 간호활동과 유치도뇨관 관리 대상자의 결과 지표를 분석하여 유치도뇨관 관리와 관련된 간호 기록지의 표준화와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최근 유치도뇨관 관리를 위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이 확립되고 있어 실무자는 이를 실무로 전환시키고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유치도뇨관 삽입부터 제거까지의 현행 유치도뇨관 관리에 관한 간호활동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상자 결과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의무기록지 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은 C 대학병원에서 2006년 1월 1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선정기준을 충족한 628명의 의무 기록지였으며, 면담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은 외과계 중환자실, 신경과, 비뇨기과 및 산부인과의 4개 간호단위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연한별로 표집하여 총 12명이었다.
  • 이어서 유치도뇨관 유지 중 간호활동을 중심으로 논의해 나가고자 한다. 의무기록 분석에서 카테터와 소변주머니 모두 교환한 경우와 소변주머니만 단독 교환한 경우를 합해 15.
  • 그러므로 유치도뇨관 관련 현행실무를 파악하여 근거중심실무와의 차이를 확인하는 기초 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근거로 유치도뇨관 관리에 관한 최상의 간호실무를 확립해 나갈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도뇨관 관리에 대한 근거중심실무 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한 사전조사로서 의무기록지 분석과 간호사 면담을 통해 도뇨관 삽입부터 도뇨관 제거까지의 현행 유치도뇨관 관리에 관한 간호활동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상자 결과 지표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치 도뇨관 관리에 대한 근거 중심 실무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한 사전 조사로서 의무기록지 분석결과는? ⦁ 유치도뇨관 삽입 전 간호활동 중 유치도뇨관 삽입이유는 수술 전 처치, 임상적 요구, 의식변화의 순이었으며 삽입시간은 8시-16시까지가 가장 많았다. 유치도뇨관 삽입 전 비침습적 중재에 대한 고려는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았다. ⦁ 유치도뇨관 유지 중 간호활동으로 도뇨관과 소변주머니의 교환, 방광세척을 한 경우가 20%정도로 나타났고, 요로감염 예방활동에 대한 기록은 없었다. ⦁ 유치도뇨관 제거 후 간호활동에서 유치도뇨관 제거기준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었다. 제거시각을 보면 3.3%에서 밤 10-12시에 제거하였고 80.3%가 유치도뇨관 제거 후 8시간 혹은 이내에 첫 배뇨를 하였으며, 15.3%는 제거 후 배뇨시간이 기록되지 않았다. 제거 후 첫 배뇨량에 대해 83.4%에서 기록되지 않았으며 기록된 경우에서 평균 260.6cc이었다. ⦁ 유치도뇨관 관련 환자결과를 살펴보면, 평균 유치도뇨관 삽입기간이 5일이었고, 유치도뇨관 삽입기간이 5일 이하인 경우가 74.0%이었다. 5일을 기준으로 삽입기간에 따른 재원일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8.735, p=.001). 유치도뇨관 재삽입율은 12.4%였으며, 이유는 배뇨곤란, 수술전 처치, 검사전 처치, 임상적 요구의 순이었다. 요로감염율은 0%이었다. 12.4%에서 제거 후 부작용이 나타났으며, 배뇨곤란, 출혈, 통증의 순으로 나타났다.
요로계 감염은 무엇이 중요한 독립변수인가? 요로계 감염은 도뇨관 삽입기간이 중요한 독립변수이며(Melekos & Naber, 2000; Tissot, Limat, Cornette, & Capellier, 2001), 도뇨관 삽입동안 매일 5~8%정도씩 세균뇨가 증가하기 때문에(Getliffe, 1995), 단기간의 도뇨관 사용이 강조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도뇨관 제거에 대한 최적의 시간이나 방법에 대한 합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도뇨관 제거 시기는 환자의 재원일수와 입원비용에 영향을 미치는데, 요로계 감염이 발생한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가 요로계 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에 비해 재원일수가 연장되었으며, 6일 이상 유치도뇨관을 삽입한 경우 요로계 감염 상대 위험도가 5.
최근 입원 환자의 약 15~25%가 유치도뇨관을 삽입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입원 환자의 약 15~25%가 급성기 혹은 수술 후에 소변 양의 모니터링, 소변정체의 치료, 검사 목적 등으로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게 된다(Goolsarran & Katz, 2002). 요로계 감염은 병원성 감염의 30~40%를 차지하며, 유치도뇨관을 삽입한 환자의 20%에서 무증상 세균뇨를 보였고 유치도뇨관을 가진 환자의 2~6%는 증상이 있는 세균뇨를 보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Garibaldi,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