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감염관리 수행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of Nurses in Hospital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5 no.3, 2019년, pp.303 - 313  

최은영 (동군산병원 감염관리전문) ,  송민선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es'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performance regarding the infection control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TI)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the CAUTI. Methods: The subjects were 1...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AUTI 감염관리에 대한 중소병원 간호사의 지식, 건강신념 및 수행을 파악하고, CAUTI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CAUTI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수행을 확인하고 CAUTI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CAUTI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수행을 파악하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요로감염 감염관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현재 중소병원의 요로감염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은 이론 위주의 교육으로 요로감염에 대한 별도의 교육이 아니라 감염관리 교육에 일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침 수행에 대한 모니터링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질병관리본부의 의료 관련 감염 표준예방지침[1]에 근거하여 중소병원 간호사의 요로감염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수행을 조사함으로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요로감염 감염관리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CAUTI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수행을 파악하여 CAUTI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습적 카테터 중 유치도뇨관은 어느때 사용하는가? 침습적 카테터 중 유치도뇨관은 모든 연령에서 일시적인 요폐색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쓰이며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 유치도뇨관을 장기적으로 사용한다[4]. 유치도뇨관은 급성 요폐색을 일시적으로 해소할 뿐 아니라, 무반사성 방광의 요배출, 요도 협착의 방지, 병세가 불안정적인 중환자의 소변 배출량 확인 등 다양한 이유로 사용하고 있다.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전체 의료 관련 감염의 어느정도를 차지하는가? 특히 유치도뇨관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침습적 카테터 사용은 방어기전의 손상을 야기하여 의료 관련 감염을 증가시킨다[2].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Catheter-Associated Urinary ract Infection, CAUTI)은 전체 의료 관련 감염의 40.0%에 해당하며 입원 환자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3].
침습적 카테터 중 유치도뇨관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침습적 카테터 중 유치도뇨관은 모든 연령에서 일시적인 요폐색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쓰이며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 유치도뇨관을 장기적으로 사용한다[4]. 유치도뇨관은 급성 요폐색을 일시적으로 해소할 뿐 아니라, 무반사성 방광의 요배출, 요도 협착의 방지, 병세가 불안정적인 중환자의 소변 배출량 확인 등 다양한 이유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사지의 운동 장애, 간헐적 자가 도뇨의 불편함, 장기간 침상 안정 환자에서 욕창 치료 등을 위해 장기간 또는 영구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감염의 위험 또한 증가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Society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Seoul: Hanmi Medical; 2017. 

  2. Dixon JM, Carver RL. Daily chlorohexidine gluconate bathing with impregnated cloths results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0;38(10):817-821. https://doi.org/10.1016/J.ajic.2010.06.005 

  3. Ricardo CM, Fugulin FM, Souza TM. Dimensioning nursing staff: Analysis of the nurse's work at the pediatric ICU of HU-USP. Revista Gaucha de Enfermagem. 2004;25(3):357-366. 

  4. Yoo JY, Shim BS, Yoon H. Preliminary study on protective effect of $urovaxom^{(R)}$ in the longterm urinary catheterized patients. Korean Journal of Urogenital Tract Infection Inflammation. 2008;3(1):95-98. 

  5. Lo E, Nicolle LE, Coffin SE, Gould C, Maragakis LL, Meddings J, et al. Strategies to prevent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 acute care hospitals: 2014 update.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14;35(5):464-479. https://doi.org/10.1086/675718 

  6. Scott RD Jr. The direct medical cost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U.S. hospitals and the benefits of prevention [Internet]. Atlant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cited 2019 Jul 4]. Available from: http://www.cdc.gov/HAI/pdfs/hai/Scott_CostPaper.pdf. 

  7. Infection control: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ternet]. Atlant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cited 2019 Jul 4].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infectioncontrol/guidelines/cauti/. 

  8. Hartley S, Valley S, Kuhn L, Washer LL, Gandhi T, Meddings J, et al. Inappropriate testing for urinary tract infection in hospitalized patients: An opportunity for improvement.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13;34(11):1204-1207. https://doi.org/10.1086/673449 

  9. Fakih MG, Krein SL, Edson B, Watson SR, Battles JB, Saint S. Engaging health care workers to prevent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 and avert patient harm.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4;42(10 Suppl):S223-S229. https://doi.org/10.1016/j.ajic.2014.03.355 

  10. Jung HY, Jung YK. Recognition and performance level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3;7(4):131-141. https://doi.org/10.12811/kshsm.2013.7.4.131 

  11. Lee E, Woo Y, Lee H.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hospital settings, South Korea, 2006-2016.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17;10(34):914-919. 

  12. Jeong SY, Kim OS, Lee JY. The statu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mong healthcare facilitie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21(5):353-366. https://doi.org/10.14400/JDC.2014.12.5.353 

  13. Slimings C, Riley TV. Antibiotics and hospital-acquired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Update of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2014;69(4):881-891. https://doi.org/10.1093/jac/dkt477 

  14. Park MJ. Recognition and practice level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among medium and small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Incheon: Inha University; 2008. p. 1-66. 

  15. Ryu J, Ko YK.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infection control in nurses of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23(2):149-160. https://doi.org/10.7739/jkafn.2016.23.2.149 

  16. Kim S, Cha C. Factor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5;22(3):268-276. https://doi.org/10.7739/jkafn.2015.22.3.268 

  17. Park JY, Woo CH, Lee SY, Oh JE. Factors influencing the infection control practice of clinical nurse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8;9(3):121-129. https://doi.org/10.15207/JKCS.2018.9.3.121 

  18. Park SW. Knowledge, beliefs and behaviors on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CRE)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master's thesis]. Daejeon: Konyang University; 2018. p. 1-94. 

  19.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 Erlbaum Associates; 1988. 

  20. Erkin O, Ozsoy 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health belief model applied to influenza. Academic Research International. 2012;3(2):31-40. 

  21. Acute care hospital accreditation manual(Ver 2.1)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6 Jul [cited 2019 Mar 10]. Available from: https://www.koiha.or.kr/member/kr/board/establish/establish_BoardView.do. 

  22. Farley JE, Doughman D, Jeeva R, Jeffries P, Stanley JM.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eleases new immersive simulation experience to improve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nd practices among health care workers and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2;40 (3):258-259. https://doi.org/10.1016/j.ajic.2011.03.024 

  23. Cho SS, Kim KM, Lee BY, Park SA.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infection control training on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s' perception, clinical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of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3):381-390. https://doi.org/10.22650/JKCNR.2012.18.3.381 

  24. Kim HS. A study of knowledge and practice on urinary track infection managemen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ersity; 2009. p. 1-48. 

  25. Ahn SH, Jung SH, You JH, Lee MA. Nursing tasks and practice environment for nursing work perceived by nurses working on comprehensive wards versus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24(1):10-20.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1.10 

  26. Pittet D. Improving adherence to hand hygiene practic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001;7(2):234-240. 

  27. Ha HJ, Park JH, Kim MH. Knowledge and performance level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o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central venous catheter and ventilator among intensive car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6):113-120. https://doi.org/10.5762/KAIS.2016.17.6.113 

  28. Shah M, Wahab F, Ullah F, Gul U, Aziz A, Ullah Z. Infection control in the use of urethral catheter: Knowledge and practises of nurses. American Journal of Advanced Drug Delivery. 2017;5(1):1-8. https://doi.org/10.21767/2321-547X.1000006 

  29. Oh HS. National survey on nurses'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in general hospitals and analysis of variables to impact on their knowledge. Korean Journal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5;10(2):78-86. 

  30. Saint S. Clinical and economic consequences of nosocomial catheter-related bacteriuria.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00;28(1):68-75. https://doi.org/10.1016/S0196-6553(00)9001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