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거복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I - 객관적 측면의 주거복지 지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Objective Indicators of Housing Welfare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9 no.5, 2008년, pp.77 - 84  

홍형옥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 ,  채혜원 (한국주거문화연구소) ,  최은희 (대한주택공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housing welfare indicators for evaluating housing welfare policies conduc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as a phrase of setting up the development of housing welfare indicators, the scope of housing welfare and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주거복지정책 실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주거복지지표(housing welfare indicators)를 개발하는 것이다. 지표 개발은 우리나라의 주거복지 정책이 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 것이다. 지표 개발은 우리나라의 주거복지 정책이 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따라서 정량적 지표로 구성된 주거복지 지표와 정책수요자의 주거복지 체감 지표를 포함한 주거복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며, 본 연구는 1차 연구로서 정량적 지표 개발에 한정하고자 한다.
  • 지표 개발은 우리나라의 주거복지 정책이 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따라서 정량적 지표로 구성된 주거복지 지표와 정책수요자의 주거복지 체감 지표를 포함한 주거복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며, 본 연구는 1차 연구로서 정량적 지표 개발에 한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주거복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과 전문가그룹 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 또한 주택종합계획(2003~2012)에서는 국민들의 주거상황을 종합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주거복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지표의 목적은 국민주거 실태 및 주택시장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중장기 주택정책의 수립 준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종합계획(2003〜2012)이 주택정책의 근간이 된다고 보고 주택종합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거복지 정책의 목표에 근거하여 지표체계를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주거복지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하고보다 쉽게 주택상황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개발된 주거복지지표는 주택지표, 주거환경지표, 정책환경지표로 구분되며, 주택부분 지표는 주거 향상 부문으로 7개 지표, 주거안정지속 부문으로 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거환경지표는 주거수준 향상 부문 3개 지표, 주거안정지속 부문 1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 각 지표들은 주거생활에 최소한 기본적으로 충족해야 할 조건에서부터 안락하고 쾌적한 주거생활을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지표는 정책수행의 결과를 수치화함으로써 우리나라 주거복지 정책의 현주소가 어떠한지를 보여줄 것이다. 두 번째, 주거복지지표의 시계 열적인 분석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특정시기의 주거복지정책의 결과를 비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창현(2006), 지역주거복지 전달체계의 통합, 조정, 네트워크, 한국행정논집, 18(2), 561-584 

  2. 건설교통부(2003), 주택종합계획(2003-2012) 

  3. 건설교통부(2004), 2004년 주거복지평가 

  4. 건설교통부(2005), 지방자치단체의 주거복지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를 위한 연구 

  5. 김성연(2004), 최저주거기준을 활용한 주거복지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주택도시 82호, 대한주택공사, 47-58 

  6. 김영태(2006), 주거복지에 대한 이론적 개관 및 향후 정책 과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7(1), 127-134 

  7. 김혜승 외(2004), 주거복지 지원 및 전달체계 구축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8. 남원석(2007), 주거복지 개념정립을 위한 시론, 도시와 빈곤, 84, 93-108 

  9. 박남희 외(2006), 주거학 전공자를 위한 주거복지 교육프로그램 모델 개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지, 17(4), 89-98 

  10. 윤주현 외(2005), 지역간.계층간 주거서비스 격차 완화방안연구(1): 주거서비스 지표의 개발 및 측면, 국토연구원 

  11. 윤주현(1999), 주거복지지표의 개발, 국토연구원 

  12. 윤주현(2001), 복지중심의 주택정책 전환과 국민주택기금의 역할,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집 

  13. 장세훈(1999), 제3세계 발전주의 국가에서의 민주화와 주 거복지, 도시연구, 5, 81-151 

  14. 주거학연구회(2005), 넓게 보는 주거학, 교문사 

  15. 하성규 외(2000), 주택.도시.공공성, 박영사 

  16. 하성규(2003), 신자유주의시대 주거복지에 관한 이론적 논의,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5(4), 71-96 

  17. 한국주거학회(2007), 주거복지론, 교문사 

  18. 홍인옥(2006), 사회복지와 주거문제, 한국주거학회 제1회 주거복지사 자격연수 자료집 

  19. Housing Corporation (2007), Housing Corporation Annual report and accounts (2006-2007), The National Affordable Homes Agency 

  20. Merrill, J.L. (2005), Introduction to Housing, Pearson Education: New Jersey 

  21. U.K.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06), A Decent Home: Definition and guidance for implementation. June 2006-update 

  22. 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2007), Office of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Research to Development a Community Needs Index, June 2007 

  23. 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2006), Performance and Accountability Report 

  24. U.N. Habitat (2003), Monitoring Housing Rights, Discussion Paper Geneva 26-28 Nov. 2003 

  25. 國土交通省(2007), 住宅の長期計劃の在り方 

  26. 國土交通省(2006), 住生活基本計劃 

  27. http://www.moct.go.kr 

  28. http://www.index.go.kr/gams/default.jsp 

  29. http://www.mlit.go.jr 

  30. http://www.communities.gov.uk 

  31. http://www.hud.gov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