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계획공동체 마을의 주민참여의 실태 및 특성
Actual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Participation of Intentional Communit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9 no.5, 2008년, pp.93 - 102  

최정신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소비자주거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a movement for forming intentional communities is gathering people's interests to improve individualistic living environment, and to create a humanistic lifesty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if its management is successful or not, because intentional community is just in the experime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국내에서 개발된 계획공동체 마을인 친환경 마을, 동호인 마을과 종교공동체 마을을 중심으로 실제 설립과정에서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주민참여가 이루어졌는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설립과정에서의 주민참여 방법과 과정, 입주 후 공동활동의 종류와 자치규약, 그리고 공동생활시설과 그 운영 및 관리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앞으로의 국내 계획공동체 마을의 설립과 유지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것이다. 특히 설립과정에서의 주민참여 방법과 과정, 입주 후 공동활동의 종류와 자치규약, 그리고 공동생활시설과 그 운영 및 관리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앞으로의 국내 계획공동체 마을의 설립과 유지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주민참여에 대한 연구는 국내 계획공동체 마을의 설립에 주민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웃과 함께 하는 공동체적인 주거생활을 우리사회에 효과적으로 보급시키는 데 일익을 담당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이들 마을의 특징을 살펴보면 공통적인 필요에 의해 일상적인 생활을 함께 하려는 공동체와 철학적 또는 종교적 인 이념을 바탕으로 강한 의식 공유를 가지고 함께 생활하는 공동체로 그 성격을 나누어볼 수 있었다. 선행연구(Choi, 2008)에서 계획공동체는 넓게 보면 같은 부류에 속하지만 그 설립목적에 따라 계획공동체 간에도 서로 다른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7개마을을 설립목적 또는 성격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전자를 “주생활 공동체 마을”로, 그리고 후자를 “이념 공동체 마을”로 명명하고 주민참여에 있어서 그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동호인 마을인 거북 마을과 친환경 마을인 안솔기 마을, 간디숲속 마을, 청미래 마을의 4개 마을을 주생활 공동체 마을로 분류하였고, 철학적 이념 공동체인 산안마을과 기독교 종교 공동체인 민들레 마을과 두레 마을의 3개 마을은 이념 공동체 마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 각 마을의 공동활동의 참여정도와 그 이유에 대하여 살펴보면 거북 마을의 경우, 적은 세대로 구성되어있고 마을계획 시 주민참여가 높았으며 다른 마을에 비해 오랜시간동안 함께 생활하여 비교적 공동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였다, 안솔기 마을의 경우에도 마을의 설립및 계획 시 주민참여가 가장 많았던 마을로 공동활동에 참가하지 않는 세대가 몇 세대 있기는 하지만 공동활동참여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특히 주민 중에 한의원을 운영하는 분이 계셔서 주민들이 모여서 경옥고를 만드는 공동활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만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간디숲속 마을과 청미래 마을의 경우에는 마을이 조성된 지 얼마 안 되었고 입주한 세대가 절반 정도에 미치지 못하여 아직은 공동활동이 활성화 되어있지않았으나 앞으로의 상황을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지나친 개인주의적 삶을 지향하고 주민간에 더 많은 협동체제를 이루며 생활하는 새로운 주거대안으로써 국내 계획공동체 마을을 대상으로 주민참여에 대한실태와 특성을 파악 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최근에 형성되기 시작한 계획공동체 마을의 사례로 동호인마을, 친환경마을, 이념 또는 종교공동체 마을 등 7개 마을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립목적과 성격에 따라 주생활 공동체 마을과 이념 공동체 마을의 2가지로 분류하여 주민참여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내용 중에서도 계획공동체 마을 내에서의 공동체 의식의 생성과 성공적인 운영과 유지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주민참여의 실태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주민참여방법으로는 1) 마을 설립과정에서의 주민참여 실태와 2) 마을이 조성된 이후에 이루어지는 공동활동에의 주민참여실태의 두 가지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상희(2000), 한국에서의 거주자 참가형 주택 개발의 방향, 교육이론과 실천, 10(2), 303-321 

  2. 김상희(2001), 거주자 참가형 주택개발을 위한 주의식 조사연구, 경상남도 창원시와 마산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학회지 12(2), 13-23 

  3. 곽유미.최정신.곽인숙(2007), 주생활공동체의식에 따른 코하우징 선호도,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8(4), 37-48 

  4. 곽유미, 조정현, 이동숙, 최정신(2008), 국내 계획공동체 마을의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3-128 

  5. 곽유미(2008),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친환경마을의 공동생활시설 계획,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녹색연합(2000), 경남 산청군 신안면 "간디생태마을" 기본계획, 미간행 

  7. 민병호, 염승준, 이지욱, 이종민(2006), 공동주택 외부공간중 커뮤니티 행위장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1), 39-48 

  8. 박정래(1998), 국수리 정자골 거북마을 만들기 자료집, 미간행 

  9. 오영식(2002), 이용자 참여에 의한 마을 만들기-태백시 상 장동 학마을 사례,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야마기시회 홈페이지 http://yamagishism.co.kr 

  11. 전호상(2007), 계획공동체 마을의 공간구성,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12. 조성기(2001), 도시주거학, 동명사 

  13. 주거학 연구회(2000), 더불어 사는 이웃, 세계의 코하우징, 교문사 

  14. 최정신(2006), 덴마크와 스웨덴의 노인용 코하우징 주민의 생활만족도 비교, 한국주거학회지 6(6) 

  15. 최정신(2007a), 해외 계획공동체 마을의 특성-코하우징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6. 최정신(2007b), 한국인 50대의 노인용 코하우징의 공유공간과 공동활동에 대한 선호,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8(1), 131-139 

  17. 한주희.최정신(2004), 주부의 취업유무에 따른 코하우징 요구의 차이, 대한가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115 

  18. 한주희(2005), 맞벌이 가족을 위한 한국형 코하우징 계획안,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홍서정(2005), 한국 농촌형 코하우징의 계획,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황익주(2005), 골목길과 광장 및 공원; 도시에서의 "우리동네" 형성에 관한 인류학적 에세이,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9(1), 69-76 

  21. Choi, Jung Shin (2008),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Intentional Communities in Foreign Countries-In Reference to Differences between Cohousing and Ecovillage-, Presented Paper at ENHR International Conference, July 06-09, Dublin Ireland 

  22. Fromm, Dorit (1991), Collaborative Communities-Cohousing, Central Living and Other New Forms of Housing with Shared Facilities- Van Nostrand Reinhold 

  23. Kwak, Y.M., Cho, J.H., Hong, S.J., and Choi, J.S. (2007), A Case Study of Common Activities by Residents' Participation in Eco-Friendly Village in Korea -In Reference to Ansolgi Village-, Presented Paper at APNHR International Conference, Aug. 30-Sep. 2, Seoul, Korea 

  24. Kwak, Y.M., Cho, J.H., Lee, D.S. and Choi, J.S.(2008), A Case Study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Intentional Community in Korea, -In Reference to Mindle Community-, Presented Paper at ENHR International Conference, July 06-09, Dublin, Ireland 

  25. Williams, Jo (2005), Sun, Surf and Sustainable Housing-Cohousing, the California Experience, International Planning Studies, 10(2), 145-1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