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차세대 자기부상열차 개발을 위한 선진기술분석 및 국내연구현황
Status of Advanced Tecnhologies and Domestic Researches for Development of Korean Next Generation Maglev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57 no.10, 2008년, pp.1767 - 1776  

조한욱 (한국기계연구원) ,  방제성 (한국기계연구원) ,  한형석 (한국기계연구원) ,  성호경 (한국기계연구원) ,  김동성 (한국기계연구원) ,  김병현 (한국기계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status of advanced technologies and domestic researches for development of Korean next generation maglev. Generally, two specific configurations such as the EMS (Electromagnetic Suspension) with LSM (Linear Synchronous Motor) and EDS (Electrodynamic Suspension) with LSM can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전도 흡인식, 초전도 반발식/Null-Flux 방식, 영구자석 반발식 등의 기술에 대하여 소개하였고, 구체적 형상을 고려한 각 방식에 대한 해석과 그 결과를 일부 소개하였다. 더불어,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진행중에 있는 차세대 자기부상열차의 개발을 위한 부상 추진관련 연구 현황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500 km/h 이상의 속도를 갖는 자기부상열차는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 기술개발 또는 상용화 준비 단계에 있는 만큼 성능과 경제성 측면에서의 타당성 확보가 절실히 요구된다.
  • 앞서 2장과 3장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자기부상열차 선진기술 보유국인 독일, 일본과 미국 등의 부상 추진 방식 기술을 정성적,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고, 핵심 데이터 도출, 상세설계 및 비공개 기술을 습득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더불어,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핵심요소기술 개발연구의 최종목표인 한국형 차세대 자기부상 열차의 부상 추진 방식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중이며, 기본사양의 결정과 개념설계의 기초를 구축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16].
  • 중저속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의 경우, 성능, 설계안, 차량의 외형 등의 기본사항들이 마련되어 기술적 보완 및 절충을 통한 차량의 설계/제작이 이루어지는 상용화 단계에 있으며,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연구개발의 경우, 해외 고속 자기부상열차 기술현황조사 및 기술의 장단점 검토, 시뮬레이션/실험을 수행하고 한국형 초고속 자기부상열차의 기본사양 결정과 개념설계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자기부상열차 연구의 보다 상세한 현황과 현재까지 진행 중에 있는 한국형 차세대 자기부상열차의 개발을 위한 세계 자기부상열차 선진국의 연구 현황 및 기술 분석 자료의 소개를 통해 국내 차세대 자기부상열차 연구를 위한 학술적 공감대 형성 및 다양한 연구 분야로의 확대와 관심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 큰 연구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미래 교통시스템으로써 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적인 면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차세대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및 추진 시스템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전도 흡인식, 초전도 반발식/Null-Flux 방식, 영구자석 반발식 등의 기술에 대하여 소개하였고, 구체적 형상을 고려한 각 방식에 대한 해석과 그 결과를 일부 소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자기부상열차의 다양하게 분류되는 핵심기술들 중, 부상 및 추진 시스템에 관하여 논하기로 한다. 자기부상열차는 부상방식에 따라 크게 EMS (Electro-Magn -etic Suspension) 방식 과 EDS (Electro-Dynamic Suspen -sion)방식으로 나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yung-Woo Lee, Ki-Chan Kim, and Ju-Lee, 'Review of maglev train technologies,' IEEE Trans. Magn., vol.42, no.7, pp.1917-July 2007 

  2. A.Cassat and M. Jufer, 'Maglev projects technology aspects and choices,' IEEE Trans. App. Supercon., vol.12, no.1, pp.915-925, Mar. 2002 

  3. H.Suwa, H. Turuga, T.Iida, S.Tujimoto, Y.Kobayashi, Y.Itabashi, 'Feature of ground coils for yamanashi maglev test line,' Maglev 1998, 12th-15th April, 1998, pp.292-296 

  4. J.Meins, L.Miller, W.J.Mayer, 'The high speed maglev transportation system transrapid,' IEEE Trans. Magn., vol.24, no.2 Mar. 1988 

  5. L.Wanming, Y.Jinbin, Z.Baofeng, 'Study of optimal design speed of high-speed maglev project,' Maglev 2006, 13th-15th September, pp.39-43 

  6. D.W.Doll, R.Kratz, M.J.Newman, A.B.Plunkett, R.D.Blevins, 'Linear synchronous motor control for an urban maglev,' Maglev 2004, 26th-28th October, 2006, pp.275-285 

  7. R.D.Thornton, 'Linear synchronous motor design,' 200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 Machines and Drives, 15-18 May 2005, pp.1555-1560 

  8. R.D.Thornton, 'The future of maglev,' Proceed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 2007 (ICEMS 2007), 8-11 Oct., Seoul, Korea, pp.1950-1954 

  9. H.Nakashima, A.Seki, 'The status of the technical development for the Yamanashi maglev test line,' Maglev 1995, 26th-29th Nov., 1995, pp.31-35 

  10. T.Murai, T.Fujimoto, S.Fusiwara, 'Test run of combined propulsion, levitation and guidance system in EDS maglev,' Maglev 1995, 26th-29th Nov., pp.289-294 

  11. T.Kimizuka, E.masada, J.Baba, J.Fujie, 'Dynamic behavior of the maglev vehicle with combined propulsion, lift and guidance scheme,' Maglev 2000, 7th-10th June, 2000, pp.251-256 

  12. K.Junichi, Y.Suguru, K.Haruo, K.Shigeo, M.Toshiaki, T.Yoshihiro, 'PWM converter and inverter system for yamanashi maglev test line,' Maglev 1995, 26th-29th Nov., 1995, Hotel Maritim Bremen, Germany. pp.230-243 

  13. R.F.Post, D.D.Ryutov, 'The Inductrack : a simpler approach to magnetic levitation,'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10, no.1, pp.901-904, Mar. 2000 

  14. K.Kehrer, V.McKenna, R.Kratz, 'Design considerations for the hunting and braking performance of maglev vehicle utilizing permanent magnet EDS levitation system,' Maglev 2006, 13th-15th September, pp.363-370 

  15. S.Gurol, B.Baldi, R.Post, 'General Atomics urban maglev program status,' Maglev 2006, 13th-15th September, 2006, pp.65-68 

  16. 신병천 외,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부상 추진 핵심요소 기술개발,' 2006 한국기계연구원 전문화연구랩 1차년도 보고서, 산업기술연구회, 2006 

  17. Han-Week Cho, Ho-Kyung Sung, So-Young Sung, Dae-Joon You, Seok-Myeong Jang, 'Desig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n the short stator linear synchronous motor for high-speed maglev propulsion,' IEEE Trans. Magn., 2008 (will be pulblished) 

  18. Hung-Je Cho, Duck-Kweon Bae, Byung-Chun Shin, 'HTSC Levitation Experiment with AC Current Modeling after EDS Maglev,'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17, no.2, pp.2095-2098, Jan 2007 

  19. Hung-Je Cho, Duck-Kweon Bae, Ho-Kyung Sung, Jong-Min Lee, 'Experimental study on the electrodynamic suspension system with HTSC and PM Halbach array magnets,'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18, no.2, pp.2099-2102 , June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