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밀(Fagopyrum esculentum) 꽃, 잎 추출건조물의 α-Amylase 효소활성 저해
[ α ]-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Flower and Leaf Extracts from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 2008년, pp.42 - 47  

이명헌 (한림성심대학 식품영양과) ,  이정선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소재개발센터) ,  양희철 (애드팜영농조합법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분 가수분해효소인 ${\alpha}$-amylase의 효소활성 저해를 통해 식후 혈당조절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메밀의 꽃, 잎, 줄기 및 곡립을 부위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시료를 물, 40%, 70%, 100% 에탄올로 추출하고 건조한 추출건조물과 메밀건조 분말시료를 이용하여 in vitro에서 ${\alpha}$-amylase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메밀부위별 물추출건조물(10%, w/w, starch basis)의 ${\alpha}$-amylase 활성 저해율은 꽃 66%, 잎 65%, 곡립 28%, 줄기 12%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출 용매를 40%, 70%, 100% 에탄올로 하였을 때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단지 잎추출건조물의 경우 70% 에탄올추출건조물의 효소활성 저해율이 100%와 40% 에탄올추출건조물보다 낮게 나타났다. 메밀 꽃과 잎 추출건조물을 기질의 0.1%, 0.5%, 1%, 2.5%, 5%, 10% 농도로 각각 첨가했을 때 에탄올로 추출한 꽃추출건조물의 경우 $0.5%{\sim}10%$ 농도에서 ${\alpha}$-amylase 활성을 약 90% 저해하였으며 이는 ${\alpha}$-amylase inhibitor인 acarbose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잎의 경우 100% 에탄올추출건조물에서 꽃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40% 에탄올추출건조물에서는 꽃추출건조물보다 저해율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물추출건조물과 건조분말의 경우 에탄올추출물보다 꽃과 잎의 효소활성 저해율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메밀 꽃과 잎 추출건조물은 메밀 줄기 및 곡립 추출 건조물과 비교해서 효소활성 저해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물 추출이나 건조분말보다 100%, 40% 에탄올을 이용했을 때 추출건조물의 효소 저해율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나 이들 추출건조물은 식후 혈당조절제로 이용 가능성이 기대되는 소재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ention of postprandial hyperglycemia is important, as it is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macro-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diabetes. An inhibitor of ${\alpha}$-amylase which acts in the first step of carbohydrate digestion, is expected to be a suppressor of 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분 가수분해효소인 α-amylase의 효소활성 저해를 통해 식후 혈당조절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메밀의 꽃, 잎, 줄기 및 곡립을 부위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시료를 물, 40%, 70%, 100% 에탄올로 추출하고 건조한 추출건조 물과 메밀건조 분말시료를 이용하여 in vitro에서 α-amylase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항당뇨기능이 있는 소재를 찾고자 실시한 실험에서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품 42종 중 α-amylase 저해활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난 메밀을 부위별로 분류하고 용매별로 추출하여 in vitro에서 α-amylase 저해활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된 환자는 처음 무엇을 처방받는가?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율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와 사망률의 증가는 사회・경제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통계적으로 볼 때 당뇨환자 중 인슐린비의존형인 제2형 당뇨병의 발생빈도가 제1형당뇨병 발병률보다 높으며, 일반적으로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된 환자는 처음 식이요법과 운동을 처방 받는다. 그 후환자들의 혈당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면 혈당강하제가 처방되며, 이중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크게 인슐린 분비 증강제, 간의 당생성 감소제, 포도당 흡수 지연제, 인슐린의 감수성 증가제가 있다(1).
당뇨약인 acarbose와 voglibose의 기능은 무엇인가? 식후 소장에서 포도당 흡수를 지연시킴으로 급격한 혈당상승을 막아주는 당뇨약으로는 acarbose와 voglibose가 있다. 이들은 탄수 화물 소화효소 억제제로서 acarbose는 췌장과 타액선의 α-amylase 및 장관의 α-glucosidase를 억제하며, voglibose는 α-glucosidase만을 억제한다. α-Glucosidase는 소장 점막의 brush border에 존재하며 전분, dextrin, maltose, sucrose를단당류로 분해하는 효소로 이 효소들의 작용을 억제하면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가 지연되기 때문에 식후 고혈당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혈당상승을 막아주는 당뇨약으로 무엇이 있는가? 그러므로 당뇨환 자의 식후 고혈당을 예방하는 것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당뇨환자의 관리에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식후 소장에서 포도당 흡수를 지연시킴으로 급격한 혈당상승을 막아주는 당뇨약으로는 acarbose와 voglibose가 있다. 이들은 탄수 화물 소화효소 억제제로서 acarbose는 췌장과 타액선의 α-amylase 및 장관의 α-glucosidase를 억제하며, voglibose는 α-glucosidase만을 억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erfetti R, Barnett PS, Mathur R, Eqan JM. 1998. Novel therapeutic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Diabetes Metab Rev 14: 207-225 

  2. Donahue RP, Abbott RD, Reed DM, Yano K. 1987. Postchallenge glucose concentra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of Japanese ancestry. Honolulu Heart Program. Diabetes 36: 689-692 

  3. Mooradian AD, Thurman J. 1999. Drug therapy of post prandial hyperglycaemia. Drug 57: 19-29 

  4. 박강서. 1993. 경구혈당강하제의 병합요법. 대한당뇨병학회 연수강좌 자료집. p55-66 

  5. Chun SH, Ryu IH, Park ST, Lee KS. 2001. Purification of $\alpha$ -amylase inhibitor from white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17-121 

  6. Moon JS, Shin CS, Choi JS, Park SK, Shim KH. 1995. Purification of $\alpha$ -amylase inhibitors from naked barley in Korea. J Korean Soc Food Nutr 24: 556-562 

  7. Moon JS, Bae YI, Shim KH. 1998.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α-amylase inhibitors from black bean and naked barley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67-375 

  8. Lee KS, Yang CB. 1988. Screening of oriental drugs for α-amylase inhibitor. Korean J Food Sci Techol 20: 644-649 

  9. Kim SH, Kwon CS, Lee JS, Son KH, Lim JK, Kim JS. 2002. Inhibition of carbohydrate-digesting enzymes and amelioration of glucose tolerance by Korean medicinal herbs. J Food Sci Nutr 7: 62-66 

  10. Kim SG, An GH, Yoon SW, Lee YC, Ha SD. 2003. A study on dietary supplement to reduce obesity by the mechanism of decreasing lipid and carbohydrate absorp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19-526 

  11. Hwang JY, Han JS. 2007.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s on carbohydrate digestive enzymes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89-994 

  12. Kohli KR, Giri S, Kolhapure SA. 2004. Evaluation of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diabecon in NIDDM. The Antiseptic 101: 487-494 

  13. Yamamoto H, Nakagawa K. 2006. Carbohydrate digesting enzyme inhibitor. Japanese Patent JP2006-151838A 

  14. Tormo MA, Gil-Exojo I, Romero de Tejada A, Campillo JE. 2004. Hypoglycaemic and anorexigenic activities of an α-amylase inhibitor from white kidney beans (Phaseolus vulgaris) in Wistar rats. Br J Nutr 92: 785-790 

  15. Tormo MA, Gil-Exojo I, Romero de Tejada A, Campillo JE. 2006. White beans amylase inhibitor administered orally reduces glycemia in type 2 diabetic rats. Br J Nutr 96: 539-544 

  16. Lee JS, Lee MH, Chang YK, Ju JS, Son HS. 1995. Effects of buckwheat diet on serum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NIDDM. Korean J Nutrition 28: 809-816 

  17. Lee JS, Park SJ, Sung KS, Han CK, Lee MH, Jung CW, Kwon TB. 2000. Effects of germinated buckwheat on blood pressure,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s o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06-211 

  18. Lee MH. 1999. A study on anti-obesity metabolic effects of the dehulled germinated-buckwheat grain.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9. Oomah BD, Mazza G. 1996. Flavonoi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uckwheat. J Agric Food Chem 44: 1746-1750 

  20. Dunaif G, Schneeman BO. 1981. The effect of dietary fiber on human pancreatic enzyme activity in vitro. Am J Clin Nutr 34: 1034-1035 

  21. Pesce AJ, Kaplan LA. 1987. Methods in Clinical Chemistry. Mosby Co., Toronto. p820 

  22. Wilcox ER, Whitaker JR. 1984. Some aspects of the mechanism of complexation of red kidney bean $\alpha$ -amylase inhibitor and $\alpha$ -amylase. Biochemistry 23: 1783-1791 

  23. Al Kazaz M, Desseaux V, Marchis-Mouren G, Prodanov E, Santimone M. 1998. The mechanism of porcine pancreatic $\alpha$ -amylase: Inhibition of maltopentaose hydrolysis by acarbose, maltose and maltotriose. Eur J Biochem 252: 100-107 

  24. Park BJ, Park JI, Chang KJ, Park CH. 2005. Comparison in rutin content of tartary buckwheat. Korea J Plant Res 18: 246-250 

  25. Park BJ, Kwon SM, Park JI, Chang KJ, Park CH. 2005. Phenolic compounds in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Korean J Crop Sci 50: 175-180 

  26.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 α- amyl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03-108 

  27. Chrzaszcz T, Janicki J. 1933. 'Sisto-amylase', a natural inhibitor of amylase. Chem Abstr 27: 3491-3505 

  28. Abu Soud RS, Hamdan II, Afifi FU. 2004. Alpha 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some plant extracts with hypoglycemic activity. Sci Pharm 72: 25-53 

  29. Birte S, Kenji F, Peter KN, Birgit CB. 2004. Proteinaceous α-amylase inhibitors.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696: 145-156 

  30. Jorge J, Octavio LF, Marcio S, Christiane TS, Carlos BJ, Daniel JR, Maria FGS. 2000. Purification,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partial primary structure of a new $\alpha$ -amylase inhibitor from Secale cereale (rye). The Int J Biochimica & Cell Biology 32: 1195-1204 

  31. Thompson LU, Yoon JH. 1984. Starch digestibility as affected by polyphenols and phytic acid. J Food Sci 49: 1228-1229 

  32. Thomson LU, Yoon JH, Jenkins DJ, Wolever TM, Jenkins AL. 1984. Relationship between polyphenol intake and blood glucose response of normal and diabetic individuals. Am J Clin Nutr 39: 745-7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