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n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6 = no.202, 2008년, pp.680 - 685  

한귀정 (농촌진흥청 한식세계화연구단) ,  신동선 (농촌진흥청 한식세계화연구단) ,  장명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식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땅두릅이 적정 출하시기가 끝나면 기온상승으로 인하여 생식용으로 부적합한 제품이 다량 발생하고, 땅두릅 잎 또한 가축의 사료로 쓰이거나 그대로 버려지고 있어 가공적성에 맞는 상품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이용가치를 높이는 방안으로 땅두릅과 땅두릅잎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 비타민 모두에서 비교적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일반성분에 있어서 땅두릅은 수분이 94.50%로 나타났으며 탄수화물이 2.20%, 조섬유가 0.90%로 나타났고 조단백질은 1.60%, 조지방은 0.20%, 회분은 0.70% 이었다. 또한 땅두릅잎은 수분이 85.70%, 탄수화물이 7.00%이었고 조섬유가 1.50%, 조단백질이 4.30%, 조지방이 0.30%, 회분이 1.20%로 나타났다. 특히 무기성분은 K가 땅두릅에 264.00 mg%과 땅두릅잎에 172.00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음으로 Ca, P, Na, Mg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은 베타카로틴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비타민 C의 함유량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포닌 함량은 땅두릅이 63.7 mg/g, 땅두릅잎은 63.5 mg/g으로 비교적 많은 조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었다. 항산화활성능은 페놀성 화합물이 각각 58.25, $79.32{\mu}g/mg$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11.25, $15.36{\mu}g/mg$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32.23, $28.06{\mu}g/mg$으로 우수한 소거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이섬유 함유량은 땅두릅의 경우 총 식이섬유 함량이 2.13%, 땅두릅잎은 총 식이섬유가 5.98%로 비교적 높은 식이섬유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총 클로로필 함량도 땅두릅이 92.58 mg%와 땅두릅잎이 147.25 mg%로 높게 함유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cK) an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 (AcK-leaf), including crude saponin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nutritive elements, dietary fiber, and chlorophyll content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of nu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가공적성에 맞는 상품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일반성분, 무기성분, 조사포닌(crude saponin), 항산화활성능, 식이섬유, 클로로필 등의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식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땅두릅이 적정 출하시기가 끝나면 기온상승으로 인하여 생식용으로 부적합한 제품이 다량 발생하고, 땅두릅 잎 또한 가축의 사료로 쓰이거나 그대로 버려지고 있어 가공적성에 맞는 상품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이용가치를 높이는 방안으로 땅두릅과 땅두릅잎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SD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땅두릅은 무엇인가? 땅두릅(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cK)은 인삼, 오갈피나무, 두릅나무 등과 함께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 해살이 풀로서 땃두릅, 풀두릅, 토당귀(土當歸), 대활(大), 인가목(人伽木), 주마근(走馬根), 뫼두릅, 멧두릅, 강청, 호강사자, 구안독활, 독골(獨骨)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생약명은 독활(獨活)이다(1). 현재 우리나라에서 식용은 물론 약용으로 유익하게 쓰이는 산나물 겸 약초로 이용되고 있는 땅두릅은 바람에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독활이라고 부른다.
땅두릅의 주요성분은 무엇인가? 땅두릅의 이름은 산행을 하다 보면 잎과 줄기에서 두릅냄새가 나는데서 유래하였는데, 줄기가 곧게 위로 하나씩 뻗어 자란다 하여 독활, 또는 바람이 없을 때에는 홀로 움직인다 하여 독요초(獨搖草)라고 하며 새순을 먹을 수 있어 땅에서의 두릅이라 하여 ‘땅두릅’이라고 하였다는 말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2,3). 땅두릅은 주요성분으로서 단백질, 무기질, 아스파라긴산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가가 풍부하며 땅두릅 뿌리에는 스테롤,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정유, 알칼로이드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4-6).
본 연구에서 실시한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분석 중에서 일반성분의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분석은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비타민 함량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Table 1-3에 나타내었다.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땅두릅은 수분이 94.50%로 나타났으며 탄수화물이 2.20%, 조섬유가 0.90%로 나타났다. 조단백질은 1.60%, 조지방은 0.20%, 회분은 0.70%이었다. 또한 땅두릅잎은 수분이 85.70%, 탄수화물이 7.00%이었고 조섬유가 1.50%, 조단백질이 4.30%, 조지방이 0.30%, 회분이 1.20%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식품성분표(16)의 일반성분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JM, Lee SH, Kim HM. Use of oriental herbs as medicinal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5: 50-56 (2000) 

  2. Perry LM. Medicinal Plants of East and Southeast Asia. Attributed Properties and Uses. The MIT Press. London. pp. 41 (1980) 

  3. Han BH, Han YN, Han KA, Park MH, Lee EO.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ralia continentalis. (I) Characterization of continentalic acid and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Arch. Pharm. Res. 6: 17-23 (1983) 

  4. Kwon TR, Kim SK, Min GG, Jo JH, Lee SP, Choi BS. Seed germination of Aralia cordata Thunb and effect of mulching mrthods on yield blanching. J. Korean Soc. Hort. Sic. 36: 620-627 (1995) 

  5. Kosela S, Rasad A, Achmad SA, Wicaksonon W, Baik SK, Han YN, Han BH. Effects of diterpene acids on malondialdehyde generation during thrombin induced aggregation of rat platelets. Arch. Pharm. Res. 9: 189-191 (1986) 

  6. Yun-Choi HS, Kim JH, Lee JR. Screening of potential inhibitors of platelet aggregation from plant sources (II). Korean J. Pharmacogn. 17: 19-22 (1986) 

  7. Kim HY, Lee YJ, Hong KH, Kwon YK, Lee JY, Kim SH.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eservatives from natural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667-1678 (1999) 

  8. An BJ, Lee JT. An application and the natural stabilizer in the food indust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7-61 (2000) 

  9. Ha TY.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 for healthy life. Korean J. Crop. Sci. 51: 26-39 (2006) 

  10. Kim YK, Kim YI. Feeding value of leaves and stems from Aralia cordata thunberg in Korean native goats. J. Anim. Sci. Technol. 42: 897-904 (2000) 

  11.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Food Standards Codex.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2005) 

  12. Shibata S, Tanaka T, Ando T, Sado M, Tsushima S, Ohsawa T. Chemical studies on oriental plant drugs (XIV) Protopanaxadiol, a genuine sapogenin of ginseng saponins. Chem. Pharm. Bull. 14: 595-600 (1966) 

  13. Amerinem MA, Ough CS. Method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 Wiley & Sons. New York, USA. pp. 176-180 (1958) 

  14.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15.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 $17^{th}$ ed. 991.4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Gaithersbrug, MA, USA. pp. 7-10 (2000) 

  16. RDA. Korea Food Composition Table.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Seoul, Korea (2006) 

  17. Cho SH. Saponin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Part III) Saponins of ginseng by the cultivating locations, sampling seasons, plant parts, growing stages and the processings. J. Korean Agr. Chem. Soc. 20: 188-203 (1977) 

  18. Segiet KE. Densitometric determination of oleanolic acid glucosides in some araliaceae species. Herba Pol. 28: 133-136 (1982) 

  19. Kim YH, Lee MK, Lee MJ. 1990. Studies on the saponins in the shoot of Aralia elata (I), Identification of the saponins. Korean J. Diet. Culture 5: 243-251 

  20. Jung WS, Yu CY, Park JG, Kim MJ, Kim JH, Kim JK.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in extracts from Oplopanax elatu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630-631 (2006) 

  21.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3 (2005) 

  22. Kim JS, Kang SS, Choi JS, Lee MW, Lee TS. Antioxidant components from Aralia continentalis. Korean J. Pharmacogn. 29: 13-17 (1998) 

  23. Hwang JK.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s. J. Korean Soc. Food Nutr. 25: 715-719 (1996) 

  24. Hwang SH, Kim JI, Sung CJ. Analysis of dietary fiber content of some vegetables, mushrooms, fruits and seaweeds. J. Korean Soc. Food Nutr. 29: 89-96 (1996) 

  25. Lee MH, Han JS, Kozukue N.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in spinach by growth periods and storage. Korean J. Food Cook. Sci. 21: 339-345 (2005) 

  26. Park ML, Lee YJ, Kozukue N, Han JS, Choi SH, Huh SM, Han GP, Choi SK. Changes of vitamin C and chlorophyll contents in oikimchi with storage time. Korean J. Diet. Culture 19: 566-572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