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릅 순 및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Aralia elata Shoot and Leaf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5 = no.109, 2009년, pp.652 - 658  

차재영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안희영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엄경은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박보경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전방실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두릅 순 및 두릅 잎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생리활성물질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능,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를 이용한 thiocyanate법 및 TBA법으로 지질과산화 정도를 측정 하였다. 두릅 순 및 두릅 잎으로 부터 추출된 수율은 수용성 3.08% 및 3.13%, 에탄올 추출물 0.58% 및 0.66%, 메탄올 추출물 0.81% 및 1.73%로 용매 중에서는 메탄올 추출에서 수율이 높았으며, 두릅 순 보다는 두릅 잎에서 추출 수율이 높았다. 두릅순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수용성 4.68%, 에탄올 6.60% 및 메탄올 5.00%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두릅 잎에서는 수용성 10.74%, 에탄올 16.20% 및 메탄올 16.68%로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두릅 순 보다는 두릅 잎에서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이 높았다. 미네랄 함량은 두릅 순 및 두릅 잎에서 Ca이 각각 575.7 및 759.3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다음으로 K가 353.5 및 330.0 mg%, Mg가 31.3 및 31.0 mg%였으며, Zn, Mn, Na, Fe 성분은 소량씩 함유되어 있었다.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능은 두릅 순 수용성 추출물 0.1% 농도에서 28.69%로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두릅 잎 추출물 0.1% 첨가구 에서 수용성 추출물 54.86%, 에탄올 추출물 89.77%, 메탄올 추출물 92.36%로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능 측정에서는 두릅 잎 메탄올 추출물 0.1% 첨가가 시판 합성 항산화제인 BHT 0.05% 처리의 92.29%와 비슷한 수준으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를 이용한 thiocyanate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두릅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TBA법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도 두릅순과 두릅 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항산화 활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능,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를 이용한 thiocyanate법 및 TBA법으로 지질과산화 정도는 두릅 순 추출물보다는 두릅 잎 추출물에서 더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향후 천연 항산화제 소재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mparative activities of aqueous,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from Aralia elata shoot (AES) and leaf (AEL) were tested by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by thiocyanate and thiobarbituric acid (TBA) methods and scavenging activities of free radicals by DPP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두릅나무에 폴리페놀 화합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작용이 기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두릅나무 순과 잎의 추출물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의 소재개발을 위하여 용매 추출물별 생리활성물질과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릅나무의 약효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두릅나무는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s), 인삼(Panax ginseng), 음나무 (Kalopanax pictus var. magnificus) 등과 같이 두릅나무과 (Araliaceae)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주로 약재로 사용되어지고 있는데[29], 그 약효성분은 triterpenoid saponin, oleanolic acid, sitosterol, choline, hederagenin, congmuyanosides A, C, D, echinocystic acid, alkalo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methyl eicosanoate, 3,4-dihydroxybenzoic acid 및 hexacosol 등이 알려져 있다[36,39,40]. 또한 두릅 순에는 ascorbic acid, retinol, β-carotene와 같은 비타민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K, Ca, P, Mg와 같은 무기질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고급 신선채소로 많이 이용되며, 최근에는 무공해 건강식품을 선호하는 식생활 요구에 맞추어 잎 김치와 피클 등의 김치류와 고혈압 환자용 음료개발 등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됨으로서 그 이용가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14,18-20,29].
천연물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각종 질병과 노화는 대사 과정 중에 생성되는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 등의 산화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천연물 유래의 여러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23,24,33,43,44]. 천연물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는 phenolic compounds [6], ascorbic acid [21], tocopherol [32], carotenoids [42], flavonoids [11], zinc [7], glutathione [8] 등이 알려져 있으나 극히 일부의 물질을 제외하고는 실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별로 없기 때문에 효과적인 항산화제 개발을 위해서는 독성이 낮은 천연물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검색과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지금까지 천연 항산화제로 연구 개발된 것을 보면 phenolic compounds, flavonoids, carotenoids 등 식물화합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phenolics 화합물을 많이 함유한 두릅 추출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18,36,40].
두릅나무의 순에는 무엇이 함유되어 있는가? magnificus) 등과 같이 두릅나무과 (Araliaceae)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주로 약재로 사용되어지고 있는데[29], 그 약효성분은 triterpenoid saponin, oleanolic acid, sitosterol, choline, hederagenin, congmuyanosides A, C, D, echinocystic acid, alkalo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methyl eicosanoate, 3,4-dihydroxybenzoic acid 및 hexacosol 등이 알려져 있다[36,39,40]. 또한 두릅 순에는 ascorbic acid, retinol, β-carotene와 같은 비타민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K, Ca, P, Mg와 같은 무기질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고급 신선채소로 많이 이용되며, 최근에는 무공해 건강식품을 선호하는 식생활 요구에 맞추어 잎 김치와 피클 등의 김치류와 고혈압 환자용 음료개발 등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됨으로서 그 이용가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14,18-20,29]. 두릅나무의 약리적인 효과는 주로 혈당저하 효과, 알코올 흡수 저해효과, 위염 및 위궤양 효과가 보고되어져 왔으며, 최근 들어 간독성 보호 효과, 지질저하 효과 및 항산화가 보고되고 있다[15,22,30,46,4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hmed, K. A., M. Sekaran Muniandy, and I. S. Ismail. 2009. $N^\varepsilon$ -(Carboxymethyl)lysine and Coronary Atherosclerosis-Associated Low Density Lipoprotein Abnormalities in Type 2 Diabetes: Current Status. J. Clin. Biochem. Nutr. 44, 14-27 

  2. AOAC. 197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4. Cha, J. Y., H. J. Kim, C. H. Chung, and Y. S. Cho.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5. Cha, J. Y., J. J. Jeong, Y. T. Kim, W. S. Seo, H. J. Yang, J. S. Kim, and Y. S. Lee. 2006.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J. Life Sci. 16, 683-690 

  6. Cha, J. Y. and Y. S. Cho. 1999.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31-1136 

  7. Cha, J. Y., J. S. Heo, B. K. Park, H. Y. Ahn, B. S. Jun, and Y. S. Cho. 2008. Antioxidative activity of zinc-enriched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in in vitro model system. J. Life Sci. 19, 179-184 

  8. Cha, J. Y., S. H. Park, J. S. Heo, and Y. S. Cho. 2008. Suppressive effect of administrated glutathione-enriched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on the oxidative stress in alcoholic fatty liver. J. Life Sci. 18, 1053-1058 

  9. Cha, J. Y. and Y. S. Cho. 1999.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31-1136 

  10. Chang, Y. S., U. Choi, D. H. Shin, and J. I. Shin. 1992. Synergistic of Rhus javanica L. ethanol extract containing several synergis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9-153 

  11. Chen, Y. T., R. L. Zheng, Z. J. Jia, and J. Ju. 1990. Flavonoids as superoxide scavengers and antioxidants. Free Radical Biol. Med. 9, 19-21 

  12. Choi, U. D., H. Shin, Y. S. Chang, and J. I. Shin. 1992.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antioxidant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2-148 

  13. Choi, H. J., W. S. Lee, S. J. Hwang, I. J. Lee, D. H. Shin, H. Y. Kim, and K. U. Kim. 2000.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s of green tea under the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J. Life Sci. 10, 202-209 

  14. Choi, M. S., D. H. Do, and D. J. Choi. 2002. The effect of mixing beverage with Aralica continentalis Kitagawa root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the diabetic and hypertensive elderly. Korean J. Food Nutr. 15, 165-172 

  15. Chung, C. K. and M. E. Jung. 2003. Ethanol fraction of Aralia elata Seemann enhances antioxidant activity and lowers serum lipids in rats when administered with benzo(a)pyrene. Biol. Pharm. Bull 26, 1502-1504 

  16. Chung, S. H., K. D. Moon, J. K. Kim, J. H. Seong, and T. H. Sohon. 1994.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persimmon leaves during growth for processing persimmon leaves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41-146 

  17. Creager, M. A., T. F. Luscher, F. Cosentino, and J. A. Beckman. 2003. Diabetes and vascular disease: pathophysiology, clinical consequences, and medical therapy: Part I. Circulation 108, 1527-1532 

  18. Han, G. J., D. S. Shin, and M. S. Jang. 2008.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ralica continentalis Kitagawa and Aralica continentalis Kitagawa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80-685 

  19. Han, G. J., M. S. Jang, and D. S. Shin. 2007.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ca continentalis Kitagawa pickl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294-301 

  20. Han, G. J. and M. S. Jang.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ca continentalis Kitagawa leaf-kimchi as affected by storage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02-1207 

  21. Helmersson, J., J. Arnlov, A. Larsson, and S. Basu. 2008. Low dietary intake of beta-carotene, alpha-tocopherol and ascorbic acid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inflammatory and oxidative stress status in a Swedish cohort. Br. J. Nutr. 15, 1-8 

  22. Hwang, Y. P., J. H. Choi, and H. G. Jeong. 2009. Protective effect of the Aralia continentalis root extract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Food Chem. Toxicol. 47, 75-81 

  23. Jialal, I. and S. Grundyl. 1992.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lpha-tocopherol on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J. Lipid Res. 33, 899-906 

  24. Johnson, J. E., R. Walford, D. Harma, and J. Miquel. 1986. In `Free radicals, aging and degenerative disease', Alen R. Liss, N.Y. 

  25. Jung, W. S., C. Y. Yu, J. G. Park, M. J. Kim, J. H. Kim, and J. K. Kim. 2006.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in extracts from Oplopanax elatu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630-631 

  26. Kim, E. Y., I. H. Baik, J. H. Kim, S. R. Kim, and M. 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d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7. Kim, H. J., B. S. Jun, S. K. Kim, J. Y. Cha, and Y. S. Cho. 1998.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17-1222 

  28. Kim, J. Y., Y. S. Maeng, and K. Y. Lee. 1995.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 extracts by using various solv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635-637 

  29. Kim, N. H., D. C. Yang, and A. H. Eom. 2004. A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raliaceae based on PCR-RAPD and ITS sequences. Korean J. Plant Res. 17, 82-93 

  30. Kim, Y. H. and J. G. Im. 1999. Effect of sapanin from the shoot of Aralia elata in normal rats and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12-916 

  31. Kim, Y. S., M. R. Huh, and J. C. Park. 2001. Effects of culture media and seawater on growth and mineral concentrations in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Korean J. Hort. Sci. Technol. 19, 342-347 

  32. Koskas, J. P., J. Cillard, and P. Cillard. 1984. Autoxidation of linoleic acid and behavior of its hydroperoxides with and without tocopherols. JAOCS 61, 1467-1472 

  33. Kuhnau, J. 1976. The flavonoids; a class of semiessential food components; their role in human nutrition. World Rev. Nutr. Diet 24, 117-120 

  34. Lee, J. H. and S. R. Lee.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n Korea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35. Lee, S. O., H. J. Lee, M. H. Yu, H. G. Im, and I. S. Lee.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3 

  36. Ma, S. J., B. S. Ko, and K. H. Park. 1995. Isolation of 3,4-dihydroxy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bark of Aralia elata. Korean J. Food Sci. Thechnol. 27, 807-812 

  37. Ohkawa, H., N. Ohishi, and K. Yagi.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38. Shin, K. H. 2006. Effects of Araliaceae on lipid levels of plasma and liv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72-1177 

  39. Song, S. J., N. Nakamura, C. M. Ma, M. Hattori, and S. X. Xu. 2001. Five saponins from the root bark of Aralica elata. Phytochemistry 56, 491-497 

  40. Suh, S. J., U. H. Jin, K. W. Kim, J. K. Son, S. H. Lee, K. H. Son, H. W. Chang, Y. C. 00. Lee, and C. H. Kim. 2007. Triterpenoid saponin, oleanolic acid 3-O- $\beta$ -d-glucopyranosyl(1→3)- $\alpha$ -l-rhamnopyranosyl(1→2)- $\alpha$ -l-arabinopyranoside (OA) from Aralia elata inhibits LPS-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by down-regulated NF-κB in raw 264.7 cells. Arch. Biochem. Biophys. 497, 227-233 

  41. Swain, T., W. E. Hillis, and M. Oritega.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42. Terao, J. 1989. Autoxidation activity of $\beta$ -carotene-related carotenoids in solution. Lipids 24, 657-661 

  43. Vinson, J. A. and B. A. Hontz. 1984. Phenol antioxidative index: Compar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 of red and white wines. J. Agric. Food Chem. 43, 401-403 

  44. Wong, S. F., B. Holliwell, R. Richimond, and W. R. Skowroneck. 1981. The role of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in the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induced by metal ions and by ascorbic acid. J. Inorganic Biochem. 14, 127-134 

  45. Yang, H. K., J. Y. Jin, J. M. Kim, M. S. Ko, H. J. Hong, S. C. Kim, and Y. J. Lee. 2006.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of the extract of Aralia elata in mice. J. Toxical. Pub. Health 22, 439-443 

  46. Yoshikawa, M., T. Murakawa, E. Harada, N. Murakami, J. Yamahara, and H. Matsuda. 1996. Bioactive saponins and glycosides. VII. On the hypoglycemic principles from the root cortex of Aralia elata Seem.: structure related hypoglycemic activity of oleanolic acid oligoglycoside. Chem. Pharm. Bull (Tokyo) 44, 1923-1927 

  47. Yoshikawa, M., H. Matsuda, Harada, N. Murakami, J. Wamahara, and N. Murakami. 1994. Elatoside E, a new hypoglycemic principle from the root cortex of Aralia elata Seem.: structure-related hypoglycemic activity of oleanolic acid glycosides. Chem. Pharm. Bull (Tokyo) 42, 1354-1356 

  48. Yoo, J. H., J. Y. Cha, Y. K. Jeong, K. T. Chung, and Y. S. Cho. 2004. Antioxidative effects of pine (Pinus denstifora) needle extracts. J. Life Sci. 14, 863-8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