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정책 방향 모색을 위한 전문가 조사 연구 : 통합적 가정정책 관점을 중심으로
A Delphi Survey for Seeking Progress in Family Policy : Focusing on Integrated Family Policy Perspective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6 no.6 = no.96, 2008년, pp.167 - 179  

김경신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정민자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박정윤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integrated family policy. For this purpose,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among 15 professionals regarding the general contents of family policy, the goals and outcomes of president Roh's administration, the direction and plan of action for future family polic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영역으로서의 가정정책에 대한 지금까지의 여러 전문가들의 지적은 개별 의견 개진의 수준 혹은 제한된 학자들의 평가나 제언들이 주를 이루어 총합적인 의견 제시가 부족했다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보다 포괄적인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가정정책 관련분야의 의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정부의 가정정책 평가와 더불어 앞으로의 가정정책의 방향성에 대해서 논하고 이를 기초로 통합적 가정정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련 분야 학자 및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가정정책 일반에 대한 의견, 참여정부의 가정정책 평가, 가정정책의 틀과 방향성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하며, 그 결과를 통합적 가정정책 중심의 향후 가정정책 방향 모색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차후 ‘정책적 정의’ 상의 용어에 대한 재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리라 본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가정정책의 용어가 건강가정기본법 등 제도적 틀을 성립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보다 폭넓게 논의되었다고 보고, 추후 재논의의 여지는 있으나 우선적으로 가정정책 용어를 선택, 서술하고자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영역으로서의 가정정책에 대한 지금까지의 여러 전문가들의 지적은 개별 의견 개진의 수준 혹은 제한된 학자들의 평가나 제언들이 주를 이루어 총합적인 의견 제시가 부족했다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보다 포괄적인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가정정책 관련분야의 의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정부의 가정정책 평가와 더불어 앞으로의 가정정책의 방향성에 대해서 논하고 이를 기초로 통합적 가정정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련 분야 학자 및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가정정책 일반에 대한 의견, 참여정부의 가정정책 평가, 가정정책의 틀과 방향성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하며, 그 결과를 통합적 가정정책 중심의 향후 가정정책 방향 모색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정정책에 대한 개념조차 합의가 되어 있지 않은 우리나라 현실에서, 가정정책 일반 및 지금까지의 가정정책 평가와 아울러, 특히 건강가정기본법을 매개로 한 통합적 가정 정책의 의미 이해와 사업 제안 등을 통하여 새 정부 이후 앞으로 가정정책의 대안을 살펴보고 그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학계, 연구소 및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방법인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평가를 통해 궁극적으로 통합적 가정정책을 중심으로 한 가정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가정(복지)학, 사회복지학, 여성학 등 관련된 분야의 교수, 연구원, 강사, 현장 근무자 등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2회의 델파이조사와 토론회를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첫 번째 부분은 가정정책 일반에 대한 내용으로, 가정정책의 명칭과 용어, 범주, 우선순위, 전달체계의 틀과 명칭, 가족영향분석과 평가의 필요성 및 발전방안, 그리고 건강가정기본법에 대한 평가 및 발전방안 등이다.
  • 현 정부의 가정정책 관련 선행연구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특성 역시 ‘통합성’으로, 황정미(2008)의 연구에서는 통합적 가족정책에 대하여, “보편적 가족정책의 확대, 즉 잔여적·단편적 가족정책, 일부 취약집단에 국한된 가족정책에서 탈피하여 모든 사회구성원의 가족 돌봄을 지원하고 돌봄의 최소 기준을 보장하는 정책의 포괄성”, “공급자 중심으로 대상·분야별로 각각 시행되고 있는 지원정책을 통합하기 위한 전달체계의 필요성”, “대상을 중심으로 분절적으로 운영되는 서비스 체계의 통합”, “수요자의 입장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의 구축을 통합”, “보편적 서비스와 맞춤형 지원을 동시적으로 확산해 나가는 차원” 등 다양한 의미를 갖는 용어로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 정부의 가정정책이 이러한 통합적 관점을 반영하여 한국 사회에 맞는 돌봄 파트너십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현 정부의 가정정책 기조를 정리할 때, 예방과 통합, 능동적 복지, 수요자 지향성 등이 부각되는 것으로 보이며(송혜림, 2008a), 이는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바 통합적 가정정책이 현 정부의 가정정책 방향성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둘째, 가정정책의 주무 부처의 확고한 정책 의지와 이해가 선행된 이후 정책 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무부처가 보건복지가족부로 이관되면서 기존의 여성가족부에서 확고하게 정립되지 못한 가정정책의 패러다임이 더욱 혼란된 상황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버넌스적인 정부를 지향하는 시점에서 복지재정에 대한 부담은 어떤 이유로 큰 차이가 있는가? 한편으로는 거버넌스적인 정부를 지향하는 시점에서 시민 단체, 가정들, 기업 등이 정부와 어떻게 파트너가 되느냐에 따라 복지재정에 대한 부담은 매우 큰 차이가 있게 된다. 따라서 가정과 정부, 사회, 기업이 어떻게 win-win 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며, 시민사회-정보사회에서 새로운 가족정책의 패러다임 설정 및 그에 따른 정책 기획방향과 과제 제시는 매우 필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가정정책이 여성과 가족 문제의 범위를 넘어선 사회정책의 중요 영역이 되어온 이유는 무엇인가? 미래 한국사회에 있어서 인적 자본으로서 가정과 가족의 가치인식은 매우 중요하며, 국가경쟁력을 위해서도 가정과 가족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과 정책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도 가정정책1)은 국가의 인구조절과 국가경쟁력의 기초 정책단위로서 매우 중요한 요인 내지 단위로 인식되어 여성과 가족문제의 범위를 넘어선 사회정책의 중요 영역이 되어 왔다. 특히 지속가능한 발전은 가정의 건강성과 인재 개발의 기초가 되는 가정의 안녕(wellbeing), 가정의 평화를 통해 가능하므로, 이혼율의 저하, 자녀출산의 증대, 가정을 통한 부양과 보호, 가정을 통한 자녀양육 가치 등이 일정부분 지속되도록 하는 “가정과 지역사회기반 지원활동의 제도화”가 정책적으로 필수적인 내용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가정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평가를 통해 궁극적으로 통합적 가정정책을 중심으로 한 가정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한 델파이 조사 결과는? 먼저, 최근 가정정책의 가장 큰 성과는 여성가족부 출범과 함께 통합적 가정정책의 계기가 된 건강가정기본법의 시행이라는 점으로 회귀될 수 있다. 건강가정기본법은 우리나라 최초의 통합적 가정정책으로, 가정을 한 단위로 접근하면서 가정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지원을 천명했다는 점 등에서 법 제정과 시행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참여 정부 가정정책의 가장 큰 취약점은 장기적 차원에서 가정정책의 비전을 명확하게 정립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실제적인 차원에서 사업실적, 예산, 전달체계 등에서의 불안정과 취약성이 지속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정정책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의 한계도 작용을 하는데 무엇보다 ‘여성’을 부각시키고 여성 중심의 관점에서 가정정책을 기획, 수립, 추진하면서 생활중심의 가정정책을 실시하지 못하고 관계 중심, 선언적 성격의 가족정책을 시행했다는 한계를 들 수 있다. 둘째, 가정정책의 용어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에서 가족정책과 가정정책이 우세하게 나타났는데, 여기에는 정책 대상자인 국민의 정서,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 용어가 갖는 포괄성의 범주, 다른 정책영역과의 중복과 혼란, 영문명(family policy)과의 비교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었으며, 가정정책의 범주는 가족의 전 생애주기를 포괄하면서, 내용 면에서는 다양한 가정생활체계의 하위체계와 요소를 포함하고, 아동/청소년/성인/노인 등 모든 가족원의 삶과 관련된 요인들을 포착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가정정책은 위기가족과 예방 중심의 보편적 접근을 함께 추진해야 하며, 현재 대상별로 분산되어 있는 정책을 가정정책을 중심으로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절대적이었다. 셋째, 향후 가정정책의 지향점은 ‘행복’, ‘건강’, ‘평등’이었으며, 그 외 ‘공존’, ‘조화’, ‘성장’, ‘나눔’, ‘다양성’, ‘자율성’, 그리고 ‘지속가능한 사회’였다. 또한 통합적 가정정책은 종적으로는 가족의 전생애주기를 포괄하면서 횡적으로는 일상적 가정생활의 다양한 내용과 요소들(의·식·주생활, 가족관계, 경제, 소비생활, 자원관리, 자녀양육과 부모역할 등)을 포함하고 동시에 이에 대한 접근방식과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합한다는, 상당히 복합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가정학실천특위(2008). 보건복지가족부 하의 가족정책 재정립 방안. 미간행 문건 

  2. 고선주. 조영미. 김유나. 김혜영. 류연규. 조영태. 진미정. 이완정. 이세인(2006). 서울시 가족정책기본계획 수립. 서울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3. 김경신. 정민자. 라휘문. 진미정. 박정윤(2007). 통합적 가족정책을 위한 과제 및 가족지표 개발.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정책기획과제 연구보고서 

  4. 김선미(2005). 돈 버는 여자, 애 못 보는 남자 : 양육지원정책. 한국가정관리학회 37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5. 김승권(2008). 신정부의 국정철학에 따른 가족정책 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정부 국정철학을 반영한 가족정책 방향 모색 심포지엄' 자료집 

  6. 김승권(2004), 건강가정기본법 제정의 기대효과, 대한가정학회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7. 김주훈. 이미경(2003). 과학과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8. 김형수(1996). 과학기술예측조사의 방법론과 활용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소, 6-12 

  9. 김혜선. 박희성(2001). 델파이조사를 이용한 결혼준비진단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7), 125-143 

  10. 변화순(2004). 가족정책 방향 정립 및 통합적 시행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1. 보건복지가족부 홈페이지(2008년 9월 현재) 

  12. 송혜림 외(2007). 참여정부의 가정정책 평가와 차기정부의 가정정책 발전방안. 대한가정학회 정책대토론회 자료집 

  13. 송혜림(2008). 통합적 가정정책 : 선언과 실천. 한국가정관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4. 송혜림(2008a). 통합적 가족정책을 위한 패러다임. 보건복지가족부 주최 통합적 가족정책을 위한 패러다임 토론회 자료집 

  15. 송혜림(2008b). 신정부의 통합적/예방적 가족정책을 위한 법과 제도의 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정부 국정철학을 반영한 가족정책 방향모색 심포지엄' 자료집 

  16. 유영주. 김순옥. 김경신(2007). 가족관계학. 교문사 

  17. 이기영 외(2004). 가정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정책개발 연구.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탁연구 자료집 

  18. 정민자(2004). 가정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실천방안 : 저출산. 고령화시대의 가정정책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제 57차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저출 산. 고령화시대의 가정정책과 실천방안' 자료집 

  19. 정민자(2007). 통합적인 가정정책을 위한 패러다임과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가정. 생활. 정책' 자료집 

  20. 정영금(2007). 가족자원경영학적 관점에서의 일-가정 균형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제 12차 학술대회 '일-가정 균형' 정책과 우리의 일상 자료집 

  21. 정현숙(2006). 혼인율 특성, 변화요인 분석과 가족정책.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6), 177-193 

  22. 조흥식. 김인숙. 김혜란. 김혜련. 신은주(2006). 가족복지학. 학지사 

  23. 조희금. 송혜림. 공인숙. 이승미. 이완정. 박혜인. 조재순. 김선미. 최연실. 진미정(2008). (개정판)가정생활복지론. 신정출판사 

  24. 조희금. 김경신. 정민자. 송혜림. 이승미. 성미애. 이현아(2008). 건강가정론. 신정출판사 

  25. 최병모. 김정호. 이준혁(2005). 학교 경제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경제교육연구, 12(1), 53-83 

  26. 최성일. 유계숙(2006). 일-가족 조화를 위한 가족친화적 기업정책의 발달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51-73 

  27. 황정미(2008). 통합적 가족정책의 전망과 돌봄 파트너십. 보건복지가족부 주최 통합적 가족정책을 위한 패러다임 토론회 자료집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