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습지지속가능성 평가 및 우포늪에 미치는 수문학적 영향 평가
The evaluation of wetland sustainability for constructing a washland and Its hydrologic effect to Upo wetland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8 no.6, 2008년, pp.137 - 148  

김재철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부) ,  김진관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상단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홍수조절, 광산 침출수, 농업 유출수 등의 처리에 습지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장기 모니터링의 어려움으로 인해 습지에 대한 장기간의 자료들이 부족하여 습지의 올바른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장기간의 자료 생성과 생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습지의 수문학적 거동 분석을 목적으로 한 수문분석의 일환으로 장기유출 수문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모형을 이용하여 토평천 유역의 우포, 목포, 사지포, 쪽지벌에 대한 저류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토평천 유역에 천변저류지를 조성하는 가상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유역 출구의 유출량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우포늪의 저류량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역 출구의 유출량은 우기(7-8월)에는 유출량이 감소하였으며 건기(12-2월)에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우포늪의 저류량을 분석한 결과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라 우포늪도 어느 정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파악되었다. 또한 조성된 천변저류지의 습지로서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천변저류지의 유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천변저류지의 유황이 기존 습지보다 적게 모의 되었으며 일부 천변저류지의 유황은 풍수기일 때에도 현저하게 적게 모의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성된 천변저류지가 습지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천변저류지에 대한 수문학적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부하량(TN, TP)변화를 분석한 결과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라 부하량이 감소됨이 파악되었다. 또한 수변구역 조성에 따른 부하량 변화를 분석하여 천변저류지 조성과 수변구역 조성에 따른 부하량 감소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SWAT 모형의 수리학적 모호성을 극복하고자 수변관리 모형인 REMM 모형을 이용해 보았으며 그 결과를 SWAT 모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using wetlands as an alternative in controlling stormwater, treating mining leachate, and agricultural discharge, and so on, recently. The reality is, however, that the wetlands are not properly applicable because of the lack of enough longterm data for wetlands due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자료 생성을 목적으로 장기 유출 수문모의 모형인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토평천 유역을 중심으로 우포늪, 목포, 사지포, 쪽지벌에서의 장기간 습지의 저류량 변동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상 유역에 천변저류지 조성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시나리오 별 모의 결과를 토대로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우포늪의 저류량 변화와 조성된 천변저류지의 거동을 분석하여 조성된 천변저류지의 습지로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모형을 통하여 토평천 유역의 TN과 TP 부하량에 대한 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오염부하량 변동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그리고 대상 유역의 소유역에 수변구역을 조성하는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수변구역 폭 별 오염 부하량의 감소율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REMM 모형을 대상 유역에 적용하여 SWAT 모형의 모의 결과와 비교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의 자료 생성을 목적으로 장기 유출 수문모의 모형인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토평천 유역을 중심으로 우포늪, 목포, 사지포, 쪽지벌에서의 장기간 습지의 저류량 변동을 살펴보고, 대상 유역에 천변저류지 조성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의를 실시한 후, 시나리오 별 모의 결과를 토대로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기존 습지의 저류량 변화와 조성된 천변저류지의 거동을 분석하여 조성된 천변저류지가 장기간 습지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분석된 저류량 및 유량 자료를 바탕으로 수질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천변저류지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모의를 실시한 후, 시나리오 별 모의 결과를 토대로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대상 유역의 수질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통하여 토평천 유역의 습지에 대한 저류량 분석과 시나리오 별 천변저류지를 조성하였을 때의 저류량 변화 분석을 통하여 습지 주변에 조성된 천변저류지가 장기간 습지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TN, TP의 부하량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리고 수변구역을 조성하였을 때의 TN, TP의 부하량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mgt 파일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유역의 46.07%를 차지하고 있는 농업지역에 대한 비료사용량 자료를 입력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작물별 표준시비량 일람표(농촌진흥청, 2007)를 참고하여 유역의 시비량 자료를 작성하였다. 또한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벼의 생육과정을 참고하여 모내기 날을 4월 중순으로 설정하였고, 비료 살포시기를 4월 초순으로 설정하였으며, 비료 시비량은 표 1에서 제시하는 값을 사용하였다.
  • 상기 연구에서는 TANK 모형(Sugawara, 1995)을 이용하여 일 유출량을 모의하였는데, 상류 댐 방류량의 영향 및 각 단위유역별 물 이용량 자료 등이 모형의 구조에 포함되어 낙동강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의 유황을 비교적 우수하게 모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 연구에서 확장된 밀양 A의 일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토평천과 밀양강의 면적비를 고려하여 토평천의 유량 자료를 획득하였으며, 이를 관측자료로 간주하여 SWAT 모형의 매개변수 보정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변구역을 토평천 유역(주매 1지역)에 조성함으로써 TN, TP 부하량의 저감효과를 분석 하고자 한다. 또한 수변구역 조성에 따른 TN, TP 부하량의 저감효과와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TN과 TP 부하량의 감소효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주매1 지역에 수변구역을 5 m, 10 m, 15 m 폭으로 조성하는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주매1 지역의 출구지점에서 TN, TP 부하량을 분석하여 수변구역 조성에 따른 부하량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의 자료 생성을 목적으로 장기 유출 수문모의 모형인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토평천 유역을 중심으로 우포늪, 목포, 사지포, 쪽지벌에서의 장기간 습지의 저류량 변동을 살펴보고, 대상 유역에 천변저류지 조성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의를 실시한 후, 시나리오 별 모의 결과를 토대로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기존 습지의 저류량 변화와 조성된 천변저류지의 거동을 분석하여 조성된 천변저류지가 장기간 습지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분석된 저류량 및 유량 자료를 바탕으로 수질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천변저류지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모의를 실시한 후, 시나리오 별 모의 결과를 토대로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대상 유역의 수질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도 장기모니터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습지에 대한 장기간의 자료들이 부족하여 습지에 대한 연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자료 생성을 목적으로 장기 유출 수문모의 모형인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토평천 유역을 중심으로 우포늪, 목포, 사지포, 쪽지벌에서의 장기간 습지의 저류량 변동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상 유역에 천변저류지 조성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시나리오 별 모의 결과를 토대로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우포늪의 저류량 변화와 조성된 천변저류지의 거동을 분석하여 조성된 천변저류지의 습지로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변구역 조성 시 식생을 혼합림으로 가정하여 모의를 하였다. 하지만 식생에 따라 오염물의 저감 효율이 다르기 때문에 향후 수변구역의 식생 분포에 따른 오염물 저감효율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의 주요 기능은? 습지는 물이 환경 및 그 환경과 연관된 동식물을 통제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지역이다(한국습지학회, 2008). 습지의 주요 기능으로는 풍부한 생물 다양성과 이에 따른 높은 생산성, 오염 정화 기능, 홍수조절 기능, 생태관광자원으로서 기능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습지의 주요기능들 때문에 환경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요즘은 습지가 생태학적으로 보전 필요성이 있으며, 또한 생태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귀중한 자연환경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SWAT 모형을 통하여 토평천 유역의 습지에 대한 저류량 분석과 시나리오 별 천변저류지를 조성하였을 때의 저류량 변화 분석을 통하여 습지 주변에 조성된 천변저류지가 장기간 습지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TN, TP의 부하량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리고 수변구역을 조성하였을 때의 TN, TP의 부하량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1) SWAT 모형의 모의 결과 유량 자료는 관측 자료와 유사하게 모의됨을 알 수 있었다. 년 평균을 기준으로 모의한 결과 R2은 0.99, NSC는 0.80로 계산되었으며, 월 평균을 기준으로 모의한 결과 R2은 0.62, NSC는 0.61로 계산되었다. (2) 또한 모의 결과 중 저류량을 습지 별로 분석해 본 결과 기존 네 개의 습지에서 1980년 후반~1990년대 초반 보다 1990년대 후반~2006년 까지의 저류량이 많은 적은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습지 모의 시 최소 20년 이상의 장기간의 자료를 통한 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 또한 평년 보다 낮은 저류량으로 인하여 수위가 낮아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침수식물 등이 영향을 받아 습지에서 식생분포 변화가 있었음을 추측 할 수 있었다. (4) 토평천 유역 주위에 시나리오 별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유역 출구에서의 유출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우기 시에는 유출량이 감소하였고 건기 시에는 유출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5) 시나리오 별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우포늪의 저류량 변동을 분석한 결과, 주매2 지역과 운곡지역에 천변저류지를 조성하였을 경우 우포늪의 저류량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천변저류지 조성 시 조성된 천변저류지가 기존 습지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6) 각각 조성된 천변저류지에 대한 유황곡선을 작성한 결과 저유량 쪽에서의 유량이 기존의 습지보다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갈수기의 경우 조성된 천변저류지를 습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지유량의 공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7) 천변저류지 조성과 수변구역 조성에 따라 TN과 TP의 부하량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8) REMM 모형을 주매 1지역에 적용해 보았으며 향후 정확한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람사르 협약은 언제 체결됐는가? 국제적으로는 1971년에 체결된 람사르 협약에 의하여 습지의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를 추구하고 있으며, 2008년 4월까지 158개국의 1,739개소의 161,164,217 헥타르의 습지가 등록되어 있다(람사르 사이트,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건설교통부 (2004) 토평천 종합 치수대책 수립보고서. pp. 160- 215 

  2. 경상남도 (2005) 경상남도 낙동강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pp. 4_87-4_92 

  3.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WAMIS) (2007) www.wamis.go.kr (accessed 1/2007) 

  4. 김보경, 김상단, 이은태, 김형수 (2007) SWAT 모형 매개변수의 적정 범위 추정방법개발 : 임하호 유입량 및 부유사량에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6B호, pp. 661-668 

  5. 김재철, 이지호, 유철상, 김상단 (2007) 금호강 유역의 수문환경 에 대한 도시화의 영향: 모형연구. 한국물환경학회논문집, 한국 물환경학회, 제23권, 제4호, pp. 535-542 

  6. 김형수, 경민수, 김상단, 김재근, 김덕길 (2007) 우포늪의 생태치 수기능 개선을 위한 천변저류지 검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4호, pp. 14-19 

  7. 낙동강물환경연구소 (2006) 낙동강 물순환 특성조사 및 모의예측 기법개발, pp. 96-122 

  8. 농업진흥청 (2007) 작물별 표준시비량 

  9. 람사르 총회 (2008) www.ramsar2008.go.kr, (accessed 02/2008) 

  10. 이경미 (2007) 저류형 습지의 비점원오염물질 저감능력 평가, 석사 학위논문, 부경대학교, pp. 27-49 

  11. 전경수 (2007) 천변저류지 홍수조절 효과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4호, pp. 27-32 

  12. 한건연, 김지성, 백진규, 박홍성 (2005) 하천에서 천변저류지의 홍수저감효과 분석.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pp. 223-236 

  13. 한국습지학회 (2008) www.kwetland.or.kr, (accessed 02/2008) 

  14. Arnold, J.R., Kiniry, J.R., Neitsch, S.L. (2001) Williams,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user's manual, pp. 279-294 

  15. Bradu, D. and Mundlak, Y. (1970) Estimation in Lognormal Linear Models. J. Am. Stat. Assoc., Vol. 65, No. 329, pp. 198-211 

  16. Finney, D. J. (1941) On the Distribution of a Variate Whose Logarithm Normally Distributed. J. R. Stat. Soc. Suppl., Vol. 7, pp. 155-161 

  17. Nash, J.E.,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ASCE, Vol. 10, pp. 282-290 

  18. Santhi, C., Arnold, J.G., Williams, J.R., Dugas, W.A., Srinivassn, R., and Hauck, L.M. (2001) Validation of the SWAT model on a large river basin with point and nonpoint sources.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7, No. 5, pp. 1169-1188 

  19. Sugawara, M. (1995) Tank model, in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pp. 164-2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