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약복합제 GCSB-5의 품질 표준화를 위한 오가피 및 우슬의 함량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Acanthopanacis Cortex and Achyranthis Radix for Standardization of GCSB-5 Preparation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39 no.4 = no.155, 2008년, pp.316 - 323  

이은희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차배천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제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HPLC analysis method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tandard compounds for quality standardization of a medicinal crude drug GCSB-5, a herbal formulation consisting of 6 medicinal plants (Acanthopanacis Cortex, Achyranthis Radix, Ledebouriellae Radix, Cibotii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정량 분석법의 검증을 위해서는 ICH 가이드라인에5) 따라 특이성(specificity), 직선성(linearity), 정확도(accuracy), 정밀도(precision) 등을 고려한 validation을 수행하였다. 동시에 확립된 정량 분석법을 이용하여 생약복합제 GCSB-5의 원료와 제품에 있어서 각각의 지표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생약복합제GCSB-5의 품질 표준화를 확립하였음으로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통 억제 및 항염증 효능의 천연물 신약으로 개발 중인 생약복합제 GCSB-5의 품질 규격화에 따른 유효성과 안전성 확립을 위한 기준 및 시험방법 연구로서, 규격연구와 함께 각각 생약의 약효 성분이나 특이성분을 지표 물질로 한 정량 분석법 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약복합제 GCSB-5에 대하여 건조 감량, 회분, 산불용성 회분, 묽은 에탄올 엑스 함량 등의 이화학적 규격 연구와 함께 6종 생약 중 기준 및 시험방법 기준에 준한 최소 2종 이상의 생약 규격 설정을 위해 기존의 연구 논문을 통하여 지표 성분이 밝혀진 4종 생약 중 오가피는 acanthoside D,3) 우슬은 20-hydroxyecdysone4)에 대해 설정된 지표 성분의 HPLC 조건을 검토하여 정량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이들 단일 생약과는 달리, 관절염, 소염, 항경련 및 골세포 퇴행 감소 치료제로 개발되어 지고 있는 생약복합제 GCSB-5는 오가피, 우슬, 방풍, 구척, 흑두 및 두충의 6종의 생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제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약복합제 GCSB-5의 품질 규격화를 위한 연구의 하나로, 이화학적 분석과 함께 6가지 생약 중에서 오가피와 우슬의 지표성분의 HPLC 분석법 연구와 함께 원료 및 제품에 있어서의 함량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가피는 오갈피과(Araliaceae)에 속하는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 줄기 및 가지의 껍질로서 관상 또는 반관상으로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절염이란 무엇인가? 관절염이란 부종과 동통, 발적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발병 기전이 아직 불분명하므로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이 치료의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관절염에 있어 항염증 및 통증 억제 효능을 가진 천연물질 탐색 연구가 수행되어있으며, 산복사,11) 사상자,12) 금은화,13) 조각자,14) 신이,15) 당귀, 방풍, 은행엽, 죽엽 등이 관절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
관절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은? 관절염이란 부종과 동통, 발적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발병 기전이 아직 불분명하므로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이 치료의 주된 목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관절염에 있어 항염증 및 통증 억제 효능을 가진 천연물질 탐색 연구가 수행되어있으며, 산복사,11) 사상자,12) 금은화,13) 조각자,14) 신이,15) 당귀, 방풍, 은행엽, 죽엽 등이 관절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16)
오가피의 함량 및 우슬의 함량 기준을 어떻게 설정했는가? 최종적으로 확립된 분석법을 사용하여 원생약과 생약복합제 GCSB-5의 원료 및 제품에 있어서 오가피의 함량 및 우슬의 함량 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원생약 오가피는 acanthosdie D의 함량 기준을 0.852 mg/g 이상으로 설정하였고, GCSB-5 원료에서는 0.519 mg/g 이상, 제품인 GCSB-5에서는 0.156 mg/capsule 이상으로 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우슬의 20-hydroxyecdysone에 대해서도 원생약은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C. H., Kim, S. H., Lee, J. S., Cho, K. H., Kim, J. S., Cho, S. H. and Lee, S. M. (2005) Evaluation of the antinociceptive properties of GCSB-5, a herbal formulation. Kor. J. Pharmacogn. 36: 299-304 

  2. 오미현, 조응, 장승엽, 박주영, 이종필, 성락선, 강인호, 김종환, 김준혁, 김현욱, 육창 수, 박종희 (2004) 생약규격제.개정사업(III).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8: 165-175 

  3. Hong, S. S., Hwang, J. S., Lee, S. A., Hwang, B. Y., Ha, K. W., Ze, K. R., Seung, R. K., Ro, J. S. and Lee, K. S. (2001)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acanthoside D from Acanthopanacis Cortex. Kor. J. Pharmacogn. 32: 316-321 

  4. Son, K. H., Hwang, J. H., Lee, S. H., Park, J. H., Kang, S. J., Chang, S. Y. and Lee, K. S. (1999)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20-hydroxyecdysone from Achyranthis Radix. Kor. J. Pharmacogn. 30: 335-339 

  5. 의약품평가부 (2004) 의약품 등 분석법의 밸리데이션에 대한 가이드라인. 식품의약 품안전청, 5-12 

  6. 식품의약품안전청 (2002) 대한약전 제8개정. 약업신문, 1654-1656 

  7. Lee, K. J., Kang, J. H. and Row, K. H. (2001)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acanthoside-D from Acanthopanax chilsanens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 71-75 

  8. Lee, S. H., Kang, S. S., Cho, S. H., Ryu, S. N. and Lee, B. J. (2005)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 B and E in various parts of Acanthopanax species. Kor. J. Pharmacogn. 36: 70-74 

  9. Kim, H. K., Lee, H. W., Hwang, S. W. and Ko, B. S. (2002) Quantitative analysis of 20-hydroxyecdysone in Melandrii herba. Kor. J. Pharmacogn. 33: 96-99 

  10. Shi, Q., Yan, S., Liang, M., Yang, Y., Wang, Y. and Zhang, W. (2007)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eight components in Radix Tinospora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diode array detector and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J. Pharm. Biomed. Anal. 43: 994-999 

  11. Choi, J. S., Young, H. S., Lee, T. W., Woo, S. W. and Lee, E. B. (1992) Chemistr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runus davidiana Stems. Yakhak Hoeji 36: 115-119 

  12. Lee, E. B., Kim, S. M. and Kim, T. H. (1998)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orilis japonica Fruit. Kor. J. Pharmacogn. 29: 384-390 

  13. Lee, S. J., Son, K. H., Chang, H. W., Kang, S. S., Park, P. U., Kawk, W. J., Han, C. K. and Kim. H. P. : Development of plant anti-inflammatory agents (1994)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onicera japonica. Kor. J. Pharmacogn. 25: 363-367 

  14. Park, E. H. and Shin, M. J. (1993)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queous extract from Gleditsiae spina. Yakhak Hoeji 37: 124-128 

  15. Lim, J. P. and Park, Y. S. (2005)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Magnoliae Flos on PAR2-mediated Edem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245-249 

  16. Yoo, T. M., Yi, S. Y., Chung, S. Y., Seung, S. A., Rheu, H. M., Lee, E. B. and Yang, S. A. (1998) Studies on th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atural products. J. Appl. Pharmacol. 6: 269-275 

  17.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7) 약초의 성분과 이용, 413-414. 일월서각, 서울 

  18.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1998) 한의학대사전, 1040-1041. 도서출판 정담, 서울 

  19. Miyakoshi, M., Ida, Y., Isoda, S. and Shoji, J. (1993) 3- $\alpha$ -Hydroxyoleanane-type triterpene glycosyl esters from leaves of Acnathopanax spinosus. Phytochemistry 34: 1599-1602 

  20. Sawada, H., Miyakoshi, M., Ida, Y., Isoda, S., Ida, Y. and Shoji, J. (1993) Saponins from leaves of Acnathopanax sieboldianus. Phytochemistry 34: 1117-1121 

  21. Ahn, J. K., Lee, W. Y., Oh, S. J., Park, Y. H., Hur, S. D. and Choi, M. S. (2000) The comparison of chlorogenic acid and Eleutheroside E in Eleutherococcus senticoccus(Rupr. et Maxim.) Harms. J. Korean For. Soc. 89: 211-222 

  22. 안덕균 (1998) 원색 한국본초도감, 294. (주)교학사, 서울 

  23. Ida, Y., Satoch, Y., Katsumata, M., Nagasao, M., Hirai, Y., Kajimoto, T., Katada, N., Yasuda, M. and Yamamoto, T. (1998) Two novel oleanolic acid saponins having a sialyl Lewis X mimetic structure from Achyranthes fauriei roots. Bioorg. Med. Chem. Lett. 8: 2555-2558 

  24. Han, D. R. and Lee, M. H. (199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Achyranthis radix() oleanolic acid bisdesmoside from the root. Yakhak Heoji 35: 457-460 

  25. Ida, Y., Katsumata, M., Satoch, Y. and Shoji, J. (1994) Glucuronide saponins of oleanolic acid from Achyranthes fauriei roots. Planta Med. 50: 286-287 

  26. Takemoto, T., Ogawa, S. and Nishimoto, N. (1967)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Achyranthis radix . Isolation of the inspect-moulting hormones. Yakhak Heoji 87: 1469-1473 

  27. Takemoto, T., Ogawa, S., Nishimoto, N. Hirayama, H. and Taniguchi, S. (1968)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Achyranthis radix . The inspect-moulting substance in Achyranthes and Cyathula genera "supplement". Yakhak Heoji 88: 1293-12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