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약복합제 GCSB-5의 품질 표준화를 위한 방풍의 지표성분 탐색 및 HPLC 분석
HPLC Analysis and Screening of Standard Compound on Saposhnikoviae Radix for Standardization of GCSB-5 Preparation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0 no.2 = no.157, 2009년, pp.103 - 108  

차배천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이은희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제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CSB-5 preparation is a purified extract from a mixture of 6 medicinal plants(Acanthopanacis Cortex, Achyranthis Radix, Saposhnikoviae Radix, Cibotii Rhizoma, Glycine Semen Nigra, Eucommiae Cortex) that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bone disord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11) 그러나 GCSB5에 대해 보다 완전한 품질 관리를 위해서는 6 종의 생약 중 지표 성분이 보고되어져 있지 않은 2 종의 생약인 방풍과 구척에 대해서도 지표 성분의 설정과 함께 지표 성분의 HPLC 분석법과 원료 및 제품에 있어서의 함량 분석도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 성분이 보고되어져 있지 않은 방풍과 구척의 2 종 생약 중 먼저 방풍에 대하여 GCSB-5의 품질 표준화를 위한 기준 및 시험방법 연구의 하나로 방풍으로부터 지표 성분의 선정과 함께 지표 성분의 HPLC 분석법 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방풍으로부터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방풍 특이의 성분 또는 주성분인 지표 성분을 분리한 후 기기 분석 등에 의한 구조 결정 연구를 실시하여 방풍의 지표 성분을 선정하였다.
  • 1) 이와 같이 다수의 생약으로 구성되어진 생약복합제들에 있어서는 약효의 유효성과 제품의 안전성 확립을 위해 함유되어진 생약들에 대한 품질 규격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들 GCSB-5에 함유된 6 종의 생약 중 지표 성분이 보고되어진 오가피,2,3) 우슬,4,5) 흑두6,7) 및 두충8,9)에 대해서는 생약의 품질 표준화를 위해 이들 지표 성분에 대하여GCSB-5원료 및 GCSB-5에 있어서 HPLC 분석법 및 함량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10,11) 그러나 GCSB5에 대해 보다 완전한 품질 관리를 위해서는 6 종의 생약 중 지표 성분이 보고되어져 있지 않은 2 종의 생약인 방풍과 구척에 대해서도 지표 성분의 설정과 함께 지표 성분의 HPLC 분석법과 원료 및 제품에 있어서의 함량 분석도 이루어져야 한다.
  • 추나약물을 바탕으로 하여 관절염, 소염, 항경련 및 골세포 퇴행감소 치료제로 개발되어지고 있는 GCSB-5는 오가피, 우슬, 방풍, 구척, 흑두 및 두충의 6 종 생약으로 구성된 생약복합제로 본 연구에서는 GCSB-5의 품질 규격화를 위한 연구의 하나로 6 가지 생약 중 지표 성분이 알려져 있지 않은 방풍에 대하여 지표 성분의 분리와 구조 결정 및 지표 성분의 HPLC 분석법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 관절염, 디스크 등의 각종 골질환 치료제로 널리 사요오디어 오고 있는 약물은? 예로부터 골다공증, 관절염, 디스크 등의 각종 골질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추나약물(양근탕, 청파전 등 자생한방병원 고유 처방)을 바탕으로 한 GCSB-5는 오가피(Acanthopanacis Cortex, Acanthopanax sessiliflorumSeeman), 우슬(Achyranthis Radix, Achyranthes bidentataBlume), 방풍(Saposhnikoviae Radix, Saposhnikovia divaricataSchiskin), 구척(Cibotii Rhizoma, Cibotium barometz J.Smith), 흑두(Glycine Semen Nigra, Glycine max Merrill) 및 두충(Eucommiae Cortex, Eucommia ulmoides Oliver)으로 구성된 생약복합제로서 현재 관절염, 소염, 항경련 및 골세포 퇴행감소 치료를 위한 천연물 신약으로 개발 중이다.
GCSB-5에 함유된 6 종의 생약 중 지표 성분이 보고되어진 약물은 무엇인가? 1)이와 같이 다수의 생약으로 구성되어진 생약복합제들에 있어서는 약효의 유효성과 제품의 안전성 확립을 위해 함유되어진 생약들에 대한 품질 규격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들 GCSB-5에 함유된 6 종의 생약 중 지표 성분이 보고되어진 오가피,2,3) 우슬,4,5) 흑두6,7) 및 두충8,9)에 대해서는 생약의 품질 표준화를 위해 이들 지표 성분에 대하여GCSB-5원료 및 GCSB-5에 있어서 HPLC 분석법 및 함량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10,11) 그러나 GCSB5에 대해 보다 완전한 품질 관리를 위해서는 6 종의 생약 중 지표 성분이 보고되어져 있지 않은 2 종의 생약인 방풍과 구척에 대해서도 지표 성분의 설정과 함께 지표 성분의 HPLC 분석법과 원료 및 제품에 있어서의 함량 분석도 이루어져야 한다.
Specificity은 어떤 능력인가? 특이성(Specificity) − HPLC 분석법이 어느 정도의 신뢰도와 재현성을 갖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ICH(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가이드라인12)에 의한 분석법 validation을 수행하였다. 그 중 특이성은 불순물, 분해 산물,기질 물질과 같이 예상할 수 없는 구성 성분의 존재 하에서 분석 물질을 확실하게 분석하는 능력으로, 다른 물질과의 간섭 없이 성분이 분리되는 것에 의해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C. H., Kim, S. H., Lee, J. S., Cho, K. H., Kim, J. S., Cho, S. H. and Lee, S. M. (2005) Evaluation of the antinociceptive properties of GCSB-5, a herbal formulation. Kor. J. Pharmacogn. 36: 299-304 

  2. Lee, S. H., Kang, S. S., Cho, S. H., Ryu, S. N. and Lee, B. J. (2005)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 B and E in various parts of Acanthopanax species. Kor. J. Pharmacogn. 36: 70-74 

  3. Hong, S. S., Hwang, J. S., Lee, S. A., Hwang, B. Y., Ha, K. W., Ze, K. R., Seung, R. K., Ro, J. S. and Lee, K. S. (2001)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acanthoside D from Acanthopanacis Cortex. Kor. J. Pharmacogn. 32: 316-321 

  4. Shi, Q., Yan, S., Liang, M., Yang, Y., Wang, Y. and Zhang, W. (2007)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eight components in Radix Tinospora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diode array detector and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J. Pharm. Biomed. Anal. 43: 994-999 

  5. Son, K. H., Hwang, J. H., Lee, S. H., Park, J. H., Kang, S. J., Chang, S. Y. and Lee, K. S. (1999)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20-hydroxyecdysone from Achyranthis Radix. Kor. J. Pharmacogn. 30: 335-339 

  6. Kim, K. S., Kim, M. J., Park, J. S., Sohn, H. S. and Kwon, D. Y. (2003) Composition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s. Food Sci. Biotechnol. 12: 157-160 

  7. Fukutake, M., Takahashi, M., Ishida, K., Kawamura, H., Sugimura, T. and Wakabayashi, K. (1996) Quantification of genistein and genistin in soybeans and soybean products. Food Chem. Toxicol. 34: 457-461 

  8. Ran, X., Liang, Q., Luo, G., Liu, Q., Pan, Y., Wang, B. and Pang, C. (2006)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geniposide, baicalin, cholic acid and hyodeoxycholic acid in rat serum for the pharmacokinetic investigation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B. 842: 22-27 

  9. Son, K. H., Lee, J. M., Chang, S. Y. and Lee, K. S. (2001)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geniposide from Eucommia ulmoides Oliver. Kor. J. Pharmacogn. 32: 89-92 

  10. Lee, E. H. and Cha, B. C. (2009) Quantitative analysis of Glycine Semen Nigra and Eucommiae Cortex for standardization of GCSB-5 preparation. Kor. J. Pharmacogn. 40: 18-24 

  11. Lee, E. H. and Cha, B. C. (2008) Quantitative analysis of Acanthopanacis Cortex and Achyranthis Radix for standardization of GCSB-5 preparation. Kor. J. Pharmacogn. 39: 316-323 

  12. 의약품평가부 (2004) 의약품 등 분석법의 밸리데이션에 대한 가이드라인. 식품의약 품안전청, 5-12 

  13. Renmin, L., Aifeng, L. and Ailing, S. (2004) Preparatuve isolation purfication of coumarins from Angelica dahurica(Fish. ex Hoffm) Benth, et Hook. f(Chinese traditional medical herb) by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1052: 223-227 

  14. 김창민, 권용수 (2000) 생약 . 한약재의 품질표준화 연구과제 보고서(식품의약품안전 청보고서); 해방풍(Glehnia littoralis)의 품질표준화에 관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59-69 

  15. Kim, S. J., Chin, Y. W., Yoon, K. D., Ryu, M. Y., Yang, M. H., Lee, J. H. and Kim, J. W. (2008) Chemical Constituents of Saposhnikovia divaricata. Kor. J. Pharmacogn. 39: 357-364 

  16. 지형준, 이상인 (1988) 한약규격집 주해서, 237. 한국메디칼인텍스사, 서울 

  17. Kim, M. K., Kim, M. J., Kim, E. Y., Lyoo, K. Y., Lee, E. M., Jang, W. H. and Hwang, S. H. (1998)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Bang Pung. Hoysung Yakhak Hoeji 4: 63-70 

  18. Whang, W. K., Lee, S. J., Kim, H. H., Cho, H. K., Lee, K. S., Kang, I. H. and Ham, I. H. (2001) Standarzation of Peucedani Radix. Kor. J. Pharmacogn. 32: 292-296 

  19. Shin, K. H., Kang, S. S. and Chi, H. J. (1992) Analysis of coumarin constituents in Peucedani Radix. Kor. J. Pharmacogn. 23: 20-23 

  20. Kim, C. W. (1975)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Research Bull. 16: 571-578 

  21. Kim, S. M., Shin, D. I., Song, H. S., Kim, S. K. and T. Y. (2005)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in south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171-177 

  22. Seo, Y. K. (1977) Study on the constituents in the root of Glehnia littoralis. Bill. KH Pharma. Sci. 5: 77-82 

  23. Seo, Y. K. and Ryu, K. S. (1977) Study on the components of Glehniae Radix. Kor. J. Pharmacogn. 7: 233-235 

  24. 안덕균 (1998) 원색 한국본초도감, 26. (주)교학사, 서울 

  25. Zheng, M. S., Jin, W. Y., Son, K. H., Chang, H. W., Kim, H. P., Bae, K. W. and Kang, S. S. (2005) The comstituents isolated from Peucedanum japonicum Thunb. and their cyclooxygenase (cox) inhibitory activit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75-79 

  26. Okuyama, E. Hasegawa, T., Matsushta, T., Fujimoto, H., Ishimashi, M. and Yamazaki, M. (2001) Analgesic components of Saposhnikovia root (Saposhnikovia divaricata). Chem. Pharm. Bull. 49: 154-160 

  27. Kwon, Y. S., In, K. K. and Kim, C. M. (2000) Chemical comstituents from the roots of Ostericum koreanum. Kor. J. Pharmacogn. 31: 284-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