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량강 추출물의 암세포증식 저해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 of the Rhizome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on Cultured Human Tumor Cell Line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39 no.4 = no.155, 2008년, pp.347 - 351  

이호성 (한국화학연구원) ,  차미란 (한국화학연구원) ,  최춘환 (한국화학연구원) ,  최상운 (한국화학연구원) ,  김영섭 (한국화학연구원) ,  김영균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  김영호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  연규환 (한국화학연구원) ,  유시용 (한국화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ethanol (MeOH) extract of the rhizome of Alpinia officinarum Hance (Zingiberaceae) demonstrated a potent inhibition on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human tumor cell lines such as MES-SA (human uterine carcinoma cell line), MESSA/DX5 (multidrug resistant subline of MES-SA), HCT-15 (human col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고량강(高良姜, Alpinia officinarum Hance)의 MeOH 추출물 및 MeOH추출물의 MC분획은 MES-SA, HCT-15 에 대하여 각각 농도 의존적으로 양호한 세포증식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고량강의 MeOH 추출물을 활성유도분획법(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에 따라 활성물질을 추적하여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각 화합물들은 각각 1H-NMR, 13CNMR 소견을 종합한 결과 2종의 flavonid 화합물 galangin (1), kaempferide (6)와 5종의 diarylheptanoid 화합물 7-(4"-hydroxy-3"-methoxyphenyl)-1-phenylhept-4-en-3-one (2), 1,7-diphenyl-5-hydroxy-3-heptanone (3), trans, trans-1-(3'-methoxy-4'-hydroxyphenyl)-7-phenyl-5-ol-4,6-dien-3-heptanone (4), 5-methoxy-7-(4"-hydroxy-3"-methoxyphenyl)-1-phenyl-3-heptanone (5), 5-hydroxy-7-(4"-hydroxy-3"-methoxyphenyl)-1-phenyl-3-heptanone (7)로 각각 동정되었다.
  • 기기 및 시약 − 본 실험에 사용된 시약은 모두 특급(GR) 및 1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NMR spectra는 Brucker의 AM-300과 AMX 5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발색 시약으로는 10% H2SO4을 사용하였으며, UV는 254 nm, 365 nm에서 확인하였다. 세포독성 실험은 sulforhodamine B (SRB) bioassay 방법을 응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암세포주들은 MES-SA (human uterine carcinoma cell line), MES-SA/ DX5 (multidrug resistant subline of MES-SA), HCT-15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 line), HCT15/CL02 (multidrug resistant subline of HCT15)이며, 미국 국립암연구소(NCI)로부터 분양 받아 한국화학연구원에서 계대배양 중인 것을 사용하였다.
  • 추출 및 분리 − 잘 건조된 고량강 (12 kg)을 methanol (MeOH)에 7일간 냉침 시킨 후 감압 농축하여 MeOH extract (980 g)을 얻었다. 이를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methylene chloride (MC), ethylacetate (EtOAc) 및 n-butanol (BuOH)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용매 분획하여 MC 분획물 (576 g), EtOAc 분획물 (62 g) 및 BuOH 분획물 (116 g)을 각각 얻었다.
  • 화합물의 분리 − MC 분획물 500 g을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n-hexane (hx):EtOAc = 8:1, 6:1, 4:1, 2:1, 1:1)를 실시하여 7개의 분획(Fr.1~Fr.7)으로 나누고, 이 중 Fr.3을 재결정하여 형광을 보이는 황록색 분말 화합물 1 (26 g)을 획득하였다.

대상 데이터

  • 5 mm, Merck)을 사용하였다. 발색 시약으로는 10% H2SO4을 사용하였으며, UV는 254 nm, 365 nm에서 확인하였다. 세포독성 실험은 sulforhodamine B (SRB) bioassay 방법을 응용하여 수행하였다.
  • 세포독성 실험은 sulforhodamine B (SRB) bioassay 방법을 응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암세포주들은 MES-SA (human uterine carcinoma cell line), MES-SA/ DX5 (multidrug resistant subline of MES-SA), HCT-15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 line), HCT15/CL02 (multidrug resistant subline of HCT15)이며, 미국 국립암연구소(NCI)로부터 분양 받아 한국화학연구원에서 계대배양 중인 것을 사용하였다.
  • 실험재료 − 본 실험에 사용된 고량강(Alpinia officinarum)은 2005년 3월, 대전광역시 소재의 한약재 시장에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voucher specimen은 한국화학연구원에 보관되어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량강은 무엇인가? 고량강 (高良姜, Alpinia officinarum Hance)는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뿌리줄기로서 양강(良薑), 신강(身薑), 소신강(小身薑), 고신강(膏身薑)이라고도 일컬어진다. 고량강은 예로부터 복통, 구토, 설사 등에 효과가 있으며, 신장 기능 허약과 냉증으로 인한 정력 감퇴, 이질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생약재이다.
400여 종의 생약재 추출물을 대상으로 4종의 인체유래 암세포주의 증식을 저해하는 효과를 검색하여 본 결과, 고량강의 MeOH 추출물이 가지는 효과는? 한편, 저자 등은 400 여종의 생약재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여 HCT-15 (human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 line) 등 4종의 인체유래 암세포주의 증식을 저해하는 효과를 검색하여본 결과 고량강의 MeOH 추출물이 비교적 양호한 세포증식 저해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저자 등은 고량강의 추출물에 함유된 세포증식 저해성분을 분리 정제하고자 HCT-15 등 4종의 인체유래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저해 효과를 지표로 하여 고량강 MeOH 추출물을 활성유도분획법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에 따라 정제한 결과 galangin (1)을 비롯한 총 7종의 활성성분을 분리하 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한의과대학 본초학 편찬위원회 (2004) 본초학, 388-389. 영림사 

  2. 소학관련 (1985) 중약대사전 제 2권, 782. 상해과학기술출판사 

  3. Kim, H. J., Yoo, M. Y., Kim, H. K., Lee, B. H., Oh, K. S., Seo, H. W., Yon, G. H., Gendaram, O., Kwon, D. Y., Kim, Y. S. and Ryu, S. Y. (2006) Vasorelaxation Effect of the Flavonoids from the Rhizome Extract of Alpinia officinarum on Isolated Rat Thoracic Aorta. Kor. J. Pharmacogn. 37: 56-59 

  4. Kim, J. H., Lee, S. E., Hwang, H. J., Ha, J. S. and Jeong, H. S. (2003) Screening of medicinal plant extra for antioxidant activity. Life Science 73: 167-179 

  5. Lee, S. C., Shin, K. S. and Heo, M. Y. (2002) Protection of ROS -induced cytotoxicity and DNA damage by the extract of Alpinia officnarum. J. Food Hyg. Safety. 17: 106-116 

  6. Kang, S. C., Kim, J. S., Son, K. H., Kim, H. P. and Chang, H. W. (2000) Isolation of COX-2 inhibitors from Alpinia officinarum. Kor. J. Pharmacogn. 31: 57-62 

  7. No, M. S., Ha, J. S., Lee, C. H., Lee, Y. Y., Lee, S. H. and Lee, J. J. (1998) Inhibitory activities of natural products on lipopolysaccaride induced prostaglandin production in mouse macrophages. Yakhak Hoeji. 42: 558-566 

  8. Park, H. J., Lee, J. H., Kim, S. Y., Shim, B. S., Ku, H. J., Kang, J, M., Choe, J. D., Kim, N. J., Lee, J. S. and Lim, S. (2005)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piniae officinari rhizoma extract. Kor. J. Herbology. 20: 43-53 

  9. Kuroyanagi, M., Nero, T., Fukushima, S., Aiyama, R., Itokawa, H. and Morita, M. (1983) Stut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seeds of Alpinia katsumadal Hayata. Chem. Pharm. bull. 31: 1544-1550 

  10. Kiuchi, F., Shibuya, M. and Sankawa, U. (1982) Inhibitors of prostaglandin biosynthesis from Alpinia officinarum. Chem. Pharm. Bull. 30: 2279-2282 

  11. Itokawa, H., Morita, M. and Mihashi, S. (1981) Two New Diarylheptanoids from Alpinia officinarum Hance. Chem. Pharm. Bull. 29: 2383-2385 

  12. Itokawa, H., Morita, H., Midorikawa, I., Aiyama, R. and Morita, M. (1985) Diarylheptanoide from the Rihizome of alpinia officinarum Hance. Chem. Pharm. bull. 33: 4889-4893 

  13. An, N., Xu, L.-Z., Zou, Z.-M. and Yang, S.-L. (2006) Diarylheptanoids from Alpinia officinarum. J. Asian Nat. Prod Res. 8: 637-641 

  14. Kiuchi, F., Iwakami, S., Shibuya, M., Hanaoka, F. and Sankawa, U. (1992) Inhibition of prostaglandin and leukotriene biosynthesis by gingerols and diarylheptanoids. Chem. Pharm. Bull. 40: 387-391 

  15. Bleier, W. and Chirkikdjian, J.J. (1972) Uber die Flavonoide von Rhizoma Galange (Alpinia officinarum Hance). Planta Med. 22: 145-151 

  16. Curir, P., Dolci, M., Lazotti, V. and Taglialatela-Scafati, O. (2001) Kaempferide triglycoside: a possible factor of resistance of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to Fusarium oxysporum f. sp. dianthoi. Phytochemistry. 56: 717-721 

  17. Shin, J. E., Han, M. J., Song, M. C., Baek, N. I. and Kim, D. H. (2004) 5-Hydroxy-7(4-'hydroxy-3'-methoxyphenyl)-1-phenyl-3-heptanone: A Pancreatic Lipase Inhibitor Isolated from Alpinia officinarum. Biol. Pharm. Bull. 27: 138-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