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정도의 차이와 인터넷 중독성에 따른 가족 의사소통의 차이, 인터넷 중독 정도가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기 가족의 가족 내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의 인터넷 중독은 50.71%로 여학생의 30.31%보다 높게 나타났고, 가족 의사소통 중 개방형 의사소통은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문제형 의사소통은 중간값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가 집을 비우는 날의 빈도가 많은 집단이, 생활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았고, 부모가 인터넷의 바람직한 사용을 위해 지도를 해 주는 경우, 인터넷 이용 동기가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함인 경우, 인터넷을 메일이나 자료검색용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인터넷 중독 수준이 낮았고, 한번 접속하면 오랫동안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에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았다. 셋째, 인터넷 비중독군은 중독군보다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인터넷 중독군의 경우 비중독군보다 문제형 의사소통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이용에 대해 부모가 관심을 갖는 경우, 인터넷 중독 정도가 낮을수록, 인터넷 1회 이용시간이 짧을수록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형 의사소통은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 많이 하며,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정도의 차이와 인터넷 중독성에 따른 가족 의사소통의 차이, 인터넷 중독 정도가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기 가족의 가족 내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의 인터넷 중독은 50.71%로 여학생의 30.31%보다 높게 나타났고, 가족 의사소통 중 개방형 의사소통은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문제형 의사소통은 중간값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가 집을 비우는 날의 빈도가 많은 집단이, 생활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았고, 부모가 인터넷의 바람직한 사용을 위해 지도를 해 주는 경우, 인터넷 이용 동기가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함인 경우, 인터넷을 메일이나 자료검색용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인터넷 중독 수준이 낮았고, 한번 접속하면 오랫동안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에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았다. 셋째, 인터넷 비중독군은 중독군보다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인터넷 중독군의 경우 비중독군보다 문제형 의사소통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이용에 대해 부모가 관심을 갖는 경우, 인터넷 중독 정도가 낮을수록, 인터넷 1회 이용시간이 짧을수록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형 의사소통은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 많이 하며,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nternet addiction and family communication in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the 394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Gwangju.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d, Cronbach's $\alpha$, T-test, one way ANOVA, Duncan's Test, Pearson's Corr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nternet addiction and family communication in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the 394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Gwangju.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d, Cronbach's $\alpha$, T-test, one way ANOVA, Duncan'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PC WIN 14.0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choolboys internet addiction were higher than schoolgirls. Open communication was higher than median but problem communication was slightly lower than median. 2. 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parent's absence frequency, the level of living, parent's attitude about internet, the motive, the purpose, and the times required for internet. 3. Family communic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ternet addiction level. 4. Open communication was influenced by the level of living, parent's attitude about internet, the times required for internet and the level of internet-addiction and was explained about 19% by these variables. Problem communication was influenced by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the level of living and was explained about 14% by these variable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nternet addiction and family communication in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the 394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Gwangju.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d, Cronbach's $\alpha$, T-test, one way ANOVA, Duncan'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PC WIN 14.0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choolboys internet addiction were higher than schoolgirls. Open communication was higher than median but problem communication was slightly lower than median. 2. 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parent's absence frequency, the level of living, parent's attitude about internet, the motive, the purpose, and the times required for internet. 3. Family communic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ternet addiction level. 4. Open communication was influenced by the level of living, parent's attitude about internet, the times required for internet and the level of internet-addiction and was explained about 19% by these variables. Problem communication was influenced by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the level of living and was explained about 14% by these variabl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인터넷 과다 사용이 가족 간의 대화를 단절시키고 가정 내 공부에 지장을 주며 부모- 자녀 관계가 소원해지도록 하여 인터넷 중독 수준에 따라 가족 의사소통에 차이를 보인다는 이명숙(2005)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족 의사소통이 인터넷 중독의 유발 요인이 아닌 인터넷 중독에 의해 영향을 받는 요인이라는 입장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인터넷 중독의 관련 요인으로 밝혀진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인터넷 중독성의 차이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올바른 인터넷 사용에 대한 대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발달적 특성상 갈등이 증가하지만 동시에 인격 형성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게 되는 부모와 청소년의 의사소통에 인터넷 중독 정도 및 관련 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가족 의사소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인터넷 중독의 관련 요인으로 밝혀진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인터넷 중독성의 차이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올바른 인터넷 사용에 대한 대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발달적 특성상 갈등이 증가하지만 동시에 인격 형성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게 되는 부모와 청소년의 의사소통에 인터넷 중독 정도 및 관련 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가족 의사소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인터넷 사용 관련 변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성의 차이와 인터넷 중독 정도에 따른 가족 의사소통의 차이, 인터넷 중독 정도가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올바른 인터넷 이용 교육과 지도 및 청소년기 가족의 바람직한 의사소통 향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안 방법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부직업, 모직업, 생활수준, 부모님이 집에 안 계시는 날의 빈도로 구성하였다. 모두 단일문항으로 연령은 13세, 14세, 15세, 16세로 구분하였고 부모의 직업은 회사원, 공무원, 자영업, 전문직, 무직, 생산/기술직, 기타로 나누어 조사하여 일반적인 특성만 파악하였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부직업, 모직업, 생활수준, 부모님이 집에 안 계시는 날의 빈도로 구성하였다. 모두 단일문항으로 연령은 13세, 14세, 15세, 16세로 구분하였고 부모의 직업은 회사원, 공무원, 자영업, 전문직, 무직, 생산/기술직, 기타로 나누어 조사하여 일반적인 특성만 파악하였다. 또한 생활수준은 상, 중상, 중, 중하, 하로 구분하여 조사한 후 분석에서는 상, 중, 하로 분류하였으며 부모님이 집에 안 계시는 날의 빈도는 거의 없다, 일주일에 1~3일, 일주일에 4~6일, 거의 매일로 구분하였다.
모두 단일문항으로 연령은 13세, 14세, 15세, 16세로 구분하였고 부모의 직업은 회사원, 공무원, 자영업, 전문직, 무직, 생산/기술직, 기타로 나누어 조사하여 일반적인 특성만 파악하였다. 또한 생활수준은 상, 중상, 중, 중하, 하로 구분하여 조사한 후 분석에서는 상, 중, 하로 분류하였으며 부모님이 집에 안 계시는 날의 빈도는 거의 없다, 일주일에 1~3일, 일주일에 4~6일, 거의 매일로 구분하였다.
2)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은 인터넷 이용에 대한 부/모의 태도, 인터넷 1회 이용시간, 인터넷 이용 동기, 인터넷 용도로 구성하였다. 모두 단일문항으로 인터넷에 대한 부/모의 태도는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약간의 걱정과 잔소리를 한다, 엄격하게 제한한다, 바람직한 사용을 위해 지도 한다로 나누었고 인터넷 1회 이용시간은 1시간 미만부터 1시간 단위로 구분하여 3시간 이상까지 4단계로 분류하였다.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은 인터넷 이용에 대한 부/모의 태도, 인터넷 1회 이용시간, 인터넷 이용 동기, 인터넷 용도로 구성하였다. 모두 단일문항으로 인터넷에 대한 부/모의 태도는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약간의 걱정과 잔소리를 한다, 엄격하게 제한한다, 바람직한 사용을 위해 지도 한다로 나누었고 인터넷 1회 이용시간은 1시간 미만부터 1시간 단위로 구분하여 3시간 이상까지 4단계로 분류하였다. 인터넷 이용 동기는 재미있어서,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서,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 친구들과 대화가 통하기 위해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로 나누었으며 인터넷의 용도는 게임, 채팅, 메일, 사이버쇼핑, 동영상감상, 자료검색, 음란물, 기타로 나누어 조사한 후 분석에서는 게임, 채팅, 메일/자료검색, 기타(사이버쇼핑, 동영상감상, 음란물, 기타)로 분류하였다.
모두 단일문항으로 인터넷에 대한 부/모의 태도는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약간의 걱정과 잔소리를 한다, 엄격하게 제한한다, 바람직한 사용을 위해 지도 한다로 나누었고 인터넷 1회 이용시간은 1시간 미만부터 1시간 단위로 구분하여 3시간 이상까지 4단계로 분류하였다. 인터넷 이용 동기는 재미있어서,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서,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 친구들과 대화가 통하기 위해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로 나누었으며 인터넷의 용도는 게임, 채팅, 메일, 사이버쇼핑, 동영상감상, 자료검색, 음란물, 기타로 나누어 조사한 후 분석에서는 게임, 채팅, 메일/자료검색, 기타(사이버쇼핑, 동영상감상, 음란물, 기타)로 분류하였다.
인터넷 중독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Young(1999)의 척도를 수정ㆍ보완하여 인터넷 의존성, 내성, 심리적ㆍ신체적 금단증상을 측정하는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점수 범위는 20~100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며 신뢰도 계수는 .
중독 정도를 분류하는 기준은 같은 척도를 사용한 연구들 간에도 매우 다양한데 본 연구에서는 Young(1999)의 분류에 따라 척도의 응답값이 20~49점까지인 응답자는 인터넷 사용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정상적인 인터넷 사용자로, 50~79점까지는 인터넷으로 인해 문제를 경험하는 인터넷 초기 중독자로, 80~100점까지는 인터넷 사용이 생활에 커다란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인터넷 중독 집단으로 분류하여, 20~49점까지의 정상적인 인터넷 사용자를 인터넷 비중독군으로, 50~79점까지의 초기중독자와 80~100점까지의 심각한 인터넷 중독자는 인터넷 중독군으로 구분하였다.
가족 의사소통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변인들간의 상관분석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변인들을 중심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표 7>. 회귀가정의 만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VIF(Variance Inflation Factor)계수와 DW(Durbin Watson)계수를 조사하였다. VIF는 1점 대에 머물러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고, DW계수도 각각 1.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남녀 중학교 3개교의 1, 2, 3학년 학생 42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본 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2006년 6월 9일 W중학교 50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고, 본 조사는 담임교사의 지도하에 2006년 6월 12일부터 6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남녀 중학교 3개교의 1, 2, 3학년 학생 42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본 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2006년 6월 9일 W중학교 50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고, 본 조사는 담임교사의 지도하에 2006년 6월 12일부터 6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20부를 배부하여 이 중 부실기재 된 설문지를 제외한 394부가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본 조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2006년 6월 9일 W중학교 50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고, 본 조사는 담임교사의 지도하에 2006년 6월 12일부터 6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20부를 배부하여 이 중 부실기재 된 설문지를 제외한 394부가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데이터처리
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우선 청소년의 일반적인 특성과 인터넷 중독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부모- 청소년 자녀간 의사소통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성의 차이, 인터넷 중독에 따른 가족 의사소통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다중 회귀분석
가족 의사소통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변인들간의 상관분석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변인들을 중심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표 7>. 회귀가정의 만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VIF(Variance Inflation Factor)계수와 DW(Durbin Watson)계수를 조사하였다.
이론/모형
Barnes와 Olson(1982)이 개발한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 척도(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가운데 청소년용 문항(Adolescent Form)을 사용하였다. 개방형 의사소통과 문제형 의사소통에 관한 10문항씩 총 20문항으로, 5점 Likert척도를 이용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개방형 의사소통과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는 것을 나타내며 개방형 의사소통 점수가 높고 문제형 의사소통 점수가 낮을수록 가족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성능/효과
28%를 나타냈다. 방과 후나 주말에 부모님이 집에 안 계시는 날의 빈도는 거의 없다가 가장 많은 51.53%를 차지하였고 일주일에 1~3일이 16.07%, 일주일에 4~6일이 16.07%, 거의 매일이 16.33%이었다.
인터넷 중독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Young(1999)의 척도를 수정ㆍ보완하여 인터넷 의존성, 내성, 심리적ㆍ신체적 금단증상을 측정하는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점수 범위는 20~100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며 신뢰도 계수는 .89로 나타났다.
가족 의사소통의 전반적인 경향은 <표 3>과 같다. 가족의 사소통 중 개방형 의사소통은 중간값(3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문제형 의사소통은 중간값보다 다소 낮게 나타나 비교적 가족 간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성은 와 같이 성별, 부모가 집을 비우는 날의 빈도, 생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성은 <표 4>와 같이 성별, 부모가 집을 비우는 날의 빈도, 생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인터넷 중독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가 집을 비우는 날의 빈도가 많은 경우에 인터넷 중독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기제어능력이 부족하고, 게임의 유혹에 쉽게 빠지는 경향이 있으며, 부모의 생활지도 결여나 방치로 인한 자녀의 일탈이 인터넷이라는 매체와 결부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보여진다.
인터넷 중독 정도에 따른 가족 의사소통은 <표 6>과 같이 인터넷 중독군과 비중독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비중독군이 부모님과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더많이 하고 문제형 의사소통은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 중독 여부가 부모와의 효과적인 의사 소통에도 연관이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부모자녀간의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늘리기 위해서는 자녀의 인터넷 이용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01)의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문제형 의사소통을 14% 설명해주고 있다. 즉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며,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문제형 의사소통을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가족 의사소통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남학생의 인터넷 중독은 50.71%로 여학생의 30.31%보다 높게 나타나 이미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었다. 또한 가족 의사소통 중 개방형 의사소통은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문제형 의사소통은 중간값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31%보다 높게 나타나 이미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었다. 또한 가족 의사소통 중 개방형 의사소통은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문제형 의사소통은 중간값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가 집을 비우는 날의 빈도가 많은 집단, 생활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인터넷 중독성을 나타냈다.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성은 부모가 인터넷 이용에 대해 엄격하게 제한하는 대신에 바람직한 사용을 위해 지도하는 경우, 인터넷 이용 동기가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함인 경우, 인터넷을 메일이나 자료검색용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인터넷 중독 수준이 낮았고, 인터넷을 한번 접속하면 오랫동안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에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아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정도는 인터넷 사용 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셋째, 인터넷 비중독군은 중독군보다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인터넷 중독군의 경우 비중독군보다 문제형 의사소통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 중독은 가족 내 의사소통과 연관됨을 보여준다.
넷째, 가족의 개방형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활수준, 인터넷 이용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태도, 인터넷 1회 이용시간, 인터넷 중독 정도로,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성이 낮을수록, 인터넷 1회 이용시간이 적을수록 개방형 의사소통을 더 많이 하고, 인터넷 사용에 대해 아버지와 어머니가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경우 개방형 의사소통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형 의사소통에는 인터넷 중독 정도와 생활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문제형 의사소통을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의 개방형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활수준, 인터넷 이용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태도, 인터넷 1회 이용시간, 인터넷 중독 정도로,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성이 낮을수록, 인터넷 1회 이용시간이 적을수록 개방형 의사소통을 더 많이 하고, 인터넷 사용에 대해 아버지와 어머니가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경우 개방형 의사소통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형 의사소통에는 인터넷 중독 정도와 생활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문제형 의사소통을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부모가 집을 비우는 빈도가 높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집에 혼자 방치되는 시간이 많은 청소년들의 생활지도와 시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고, 정서적 고립감에서 탈출하는 통로로 인터넷에 빠져 들며, 심하면 중독에까지 이를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기의 특징인 기성세대에 대한 반발 심리로 인하여 부모가 억압적으로 인터넷을 제한할 경우 오히려 더 몰두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인터넷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청소년들이 인터넷에 더 많이 중독되는 것으로 나타난 류진아(2004)의 연구와 부모의 통제가 심할수록 인터넷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남영옥(2005)의 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목적이나 동기가 불분명하고 단순히 흥미를 위해 무의식적으로 인터넷을 하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성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인터넷은 그 활용에 있어서 무한대이며 또한 양면성을 지닌다.
둘째, 앞서 인터넷 중독성에서는 부모가 잔소리를 하거나 엄격하게 제한하는 경우 자녀의 인터넷 중독성향이 더 높아졌으나 가족 의사소통에는 이와 상반되게 부모가 어떠한 방식으로든 자녀의 인터넷 이용에 관심을 가져주는 것이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관심보다 아버지의 관심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족간 관계 촉진을 위해 아버지의 역할이 중요함을 드러내는 것이라 하겠다.
셋째, 인터넷 중독은 가족 간에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에 지나치게 몰입할 경우 이로 인해 가족 간 의사소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보여준다. 인터넷 중독 정도가 가족간 개방형 의사소통과 문제형 의사소통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문제형 의사소통에는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인터넷 상에서 획득한 의사소통 기술이 실제 의사소통시에 문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셋째, 인터넷 중독은 가족 간에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에 지나치게 몰입할 경우 이로 인해 가족 간 의사소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보여준다. 인터넷 중독 정도가 가족간 개방형 의사소통과 문제형 의사소통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문제형 의사소통에는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인터넷 상에서 획득한 의사소통 기술이 실제 의사소통시에 문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성의 차이는 와 같이 인터넷 이용에 대한 아버지의 태도, 인터넷 이용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인터넷 1회 이용시간, 인터넷을 하는 동기, 인터넷 용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후속연구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부모로부터 적절한 관심과 지원을 받지 못한 청소년이 가정 내 부모와의 갈등적인 관계에 대한 보상심리로 인터넷에 몰입할 수도 있지만, 청소년이 인터넷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부모와의 대화에 있어서도 개방형 의사소통 대신 문제형 의사소통을 더 많이 사용하여 결과적으로 의사소통에 장애가 생기며, 가족간의 관계가 악화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청소년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 학교 현장에서도 인터넷 중독에 대한 심각성을 깨달아 유익한 정보 활용을 위한 건전한 인터넷 사용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올바른 인터넷 사용법과 문화, 예절 등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많은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오락이나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한다는 것을 인식하여 사회적으로 청소년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여가환경을 조성하고 동시에 청소년의 욕구를 반영한 다양한 복지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리라 본다.
가족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가족생활을 이끄는 기반이 되므로 인터넷의 적절한 사용으로 가족과의 대화시간을 늘리려는 노력과 자녀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부모-자녀간 이해와 관심을 통해 바람직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많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부모 자녀를 대상으로 올바른 인터넷 사용 방법과 실천에 관한 다양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대상을 광주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일부 학생만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는 신중을 기해야 하며, 후속 연구에서는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를 함께 연구대상으로 하여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와의 일치도, 지각의 차이점을 통해 세대간의 특징을 비교해 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모델과 측정도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대상과 지역을 선정하여 지속적인 경험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대상을 광주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일부 학생만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는 신중을 기해야 하며, 후속 연구에서는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를 함께 연구대상으로 하여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와의 일치도, 지각의 차이점을 통해 세대간의 특징을 비교해 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모델과 측정도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대상과 지역을 선정하여 지속적인 경험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녀의 인터넷 이용 시간에 대한 부모의 적절한 지도와 규칙이 필요하리라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성의 차이는 <표 5>와 같이 인터넷 이용에 대한 아버지의 태도, 인터넷 이용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인터넷 1회 이용시간, 인터넷을 하는 동기, 인터넷 용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아버지 및 어머니가 인터넷 이용에 대해 바람직한 지도를 하는 경우 인터넷 중독 정도가 낮았고, 전혀 신경 쓰지 않는 경우보다 엄격하게 제한하는 경우에 오히려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김종원(2002), 이정연ㆍ최영선(2002), 조춘범(2001) 등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부모님의 엄격한 지도에 대해 자녀가 긍정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부모의 엄격함에 대한 반항심에 오히려 인터넷에 몰두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한편으로는 이미 중독 수준이 높아져서 이에 대해 부모가 엄격한 제한을 하게 되는 결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인터넷 1회 이용 시간에 따라서는 이용시간이 1시간미만으로 적은 경우에 인터넷 중독정도가 낮게 나타나 인터넷의 특성상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인터넷에 몰입하게 되고 이러한 몰입이 중독과 연관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자녀의 인터넷 이용 시간에 대한 부모의 적절한 지도와 규칙이 필요하리라 본다.
인터넷의 사용이 계층을 막론하여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터넷의 사용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다른 문화와의 관계를 형성하게 하며, 대인관계를 확장할 수 있는 도구이면서 재미를 주기 때문에 계층을 막론하여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약 1,600만 가구의 대다수인 89%의 가정에 인터넷이 보급되었으며, 보급률의 측면에서도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보급률을 기록하고 있다(eMarketer, 2007.
현대 사회는 가치관이나 삶의 기준에 있어 무엇을 특징으로 하는가?
현대 사회는 가치관이나 삶의 기준에 있어 급격한 변화와 다양화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청소년들에게 내면적 혼란과 갈등을 가중시키고 비행이나 기타 다양한 문제행동의 출현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