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재래종 콩의 수집지대별 생태적 특성 및 품질 차이
Variations i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Qualities of Korean Soybean Landrac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3 spec., 2008년, pp.96 - 102  

한원영 (국립식량과학원) ,  박금룡 (국립식량과학원) ,  김현태 (국립식량과학원) ,  고종민 (국립식량과학원) ,  백인열 (국립식량과학원) ,  이충열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생명자원과학대학) ,  정명근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상 등 환경요인에 의한 수집지대를 구분하여 재래종 콩 유전자원에 대한 생태형 및 품질 특성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에 이용코자 실시한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기후지대별 콩 성숙군 분류기준으로 생육 일수의 분포를 보면, 성숙군 3군중에서 기후지대 5군(충남 서해안지역), 6군(남부내륙 지역)에서 수집한 유전자원이 가장 많았다. 조생종인 성숙군 0군과 I군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으나 지대 6에서 많이 수집되었고, 만생종인 성숙군 V군과 VI군은 주로 지대6군(경북내륙 지역), 지대7군(남부내륙 지역) 및 지대 8군(남해안지역)에서 주로 분포하였다. 2. 수집된 재래종의 수가 적은 지대1과 지대4를 제외한 기후지대별 성숙군의 분포를 보면, 성숙군 III군과 II군의 비율이 기후 지대 6과 지대8을 제외한 지역에서 높았으며, 기후 지대6에서는 성숙군 III군의 콩이 없었다. 또한 지대7과 지대8에서는 다양한 성숙군을 가진 콩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극조생과 극만숙종을 제외한 성숙군을 기후지대별 분포에서, 140일에서 155일 사이의 생육일수에 기후 지대6과 지대8지역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124일에서 139일까지는 지대별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3. 경장은 지대1이 65.8 cm로 가장 작았으며, 지대8이 81.3 cm로 가장 컸고, 주경절수는 지대1이 14.8개로 가장 적었고, 지대8이 17.1로 가장 많았으며, 개체당 분지수는 지대5에서 4.4개로 가장 적었고, 지대 1에서 6.2개로 가장 많았다. 4. 개체당 협수는 지대5에서 68.0개로 가장 적었으며, 지대 8에서 91.8개로 가장 많았다. 또한 불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정도는 지대5에서 가장 강하였으나, 지대4에서 가장 약하였다. 5. 기후 지대별 100립중 분포는, 기후지대 지대1, 지대2, 및 지대4에서는 100립중이 25 g이하인 비율이 높았으며, 지대5, 지대6, 지대7 및 지대8에서는 상대적으로 100립중이 20.1-25.0 g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지대3에서는 지대1 유형과 지대5 유형사이의 중간정도의 비율을 보였다. 또한 지대5 유형에서는 지대1 유형에 비해서 100립중이 25.1 g 이상의 높았으며, 지대9는 고르게 립중이 분포하였다. 6. 재래종 콩의 립중별 기후지대 분포비율중 8계통인 극소립종인 8.0 g 이하를 제외하고 100립중이 25 g 이하인 계통은 기후지대와 상관없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으나 100립중이 25 g 이상인 대립종들은 주로 지대5, 지대6 및 지대7순으로 분포하였다. 7. 기후지대별 품질성분들에 있어 조단백 함량은 남부해안 지대인 지대8이 평균 42.8%, 조지방 함량은 중산간지대인 지대2에서 평균 17.2%, 자당 및 올리고당 함량은 고랭지지대인 지대I에서 각각 평균 5.8% 및 8.6%로 가장 높았다. 8. 아이소플라본 함량을 기후지대별 분포는,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 함량은 고랭지 지대인 지대1에서 각각 평균 $567\;{\mu}g/g$$636\;{\mu}g/g$ 보였으며, 글라이시테인 함량은 남부 해안 지대인 지대8에서 평균 $122\;{\mu}g/g$을 보였다. 전체 이소플라본 함량은 중부 서해안지대인 지대4에서 평균 $1,280\;{\mu}g/g$을 보였으며, 고랭지 지대인 지대1, 중산간지역인 지대2, 중 북부 내륙인 지대3 및 동부해안 지역인 지대9 순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seed qualities of 827 Korean soybean landraces according to the collecting areas.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seed qualities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localities by weather characteristics. Days to flowering was the longest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상 등 환경요인에 의한 수집지대를 구분하여 재래종 콩 유전자원에 대한 생태형 및 품질 특성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에 이용코자 실시한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기상 등 환경요인에 의한 수집지대를 구분하여 재래종 콩 유전자원에 대한 생태형 및 품질 등에 대한 특성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에 이용코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 품종의 감응성이나 분포를 지배하고 있는 주요한 특성은 무엇인가? 콩 품종의 감응성이나 분포를 지배하고 있는 주요한 특성에는 숙기의 조만성이며 이와 관련되는 감광성, 감온성 그리고 초형, 내습성, 내병성 및 내충성이 고려된다. 품종의 조만성은 일반적으로 조생, 중생, 만생으로 구분되나 품종의 유전적 고유특성이며 개화기나 성숙기의 조만에 의하여 분류되고 있다.
콩의 유전적인 특성을 개량하는 것의 목표는 무엇인가? 콩 육종의 중요한 목적은 인간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수 있게 유전적인 특성을 개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량이 많고 안정적이며 품질이 우수한 품종을 만드는 것이 그 목표가 된다. 이용하는 용도에 따라 가공적성에 알맞은 외관, 특정성분의 함량 등 다양한 양적・질적 형질에 대하여 연구가 개선되어야 하며, 이용 목적과 지역특성에 따라 개량코자 하는 육종 목표에도 우선순위가 있다.
품종의 조만성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콩 품종의 감응성이나 분포를 지배하고 있는 주요한 특성에는 숙기의 조만성이며 이와 관련되는 감광성, 감온성 그리고 초형, 내습성, 내병성 및 내충성이 고려된다. 품종의 조만성은 일반적으로 조생, 중생, 만생으로 구분되나 품종의 유전적 고유특성이며 개화기나 성숙기의 조만에 의하여 분류되고 있다. 콩의 생태형에서 중요한 것은 일장감응성인데 콩의 생육일수는 대부분의 경우 개화까지의 일수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이다(조, 198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ek, I. Y. and K. R. Park. 2006. Current status and future research planning for soybean breeding in Korea. Korean Soybean Digest 42(1) : 28-39 

  2. Choi, J., T. Kwon, and J. Kim. 1996. Isoflavone contents in some varieties of soybean. Foods and Biotechnology 5(2) : 91-93 

  3. Heo, N. K., K. S. Kim, H. S. Byun, S. U. Park, E. H. Kim, and N. S. Kim. 1995.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Kangwon local soybeans. Korean J. Breed. 27(2) : 124-130 

  4. Hartwig, E. E. 1973. ‘Varietal development.’ in caldwell, B. E. (ed) Soybeans: Improvement, production and uses. Amer. Soc. Agron. 16 : 187-210 

  5. Kim, S. D., E. H. Hong, and Y. H. Kim. 1995. Present status of soybean production and perspectives of varietal improvement in Korea. Korean Soybean Digest 12(1) : 3-37 

  6. Kwon, S. H., H. S. Song, H. W. Kim, and K. H. Lee. 1974. Interrelationships among agronomic traits within maturity group of Korean native soybean. Korean J. Breed. 6(2) : 107-112 

  7. Lee, Y. H., Y. H. Moon, Y. H. Hwang, and E. H. Hong. 1988. Effects of day lengths and temperatures on the flowering of soybeans. Res. Rept. RDA(U&I) 30(3) : 14-18 

  8. Park, H. K., Y. J. Oh, H. S. Kim, K. H. Kim, S. K. Suh, and D. Y. Suh. 2001. Future prospects for increase production of soybean. in Development strategy for self-production of soybean [(G. max (L.) Merill.]. HARI pp. 79-121 

  9. Park, K. R., Y. H. Lee, S. D. Kim, and E. H. Hong. 2000. Review & future planning for soybean breeding in Korea. Korean Soybean Digest 17(1) : 13-26 

  10. Paul, G. and J. Hancock. 2006. The future of plant breeding. Crop Science 46 : 1630-1634 

  11. Song, H. S., Y. I. Lee, and S. H. Kwon. 1991. Studies on the agronomic traits of Korean native soybean (G. max). Korean Soybean Digest 8(1) : 1-16 

  12. Wilcox, J. R. 1987. Soybeans: Improvement, production and uses. ASA. pp. 142-143 

  13. Yoon, M. S., H. J. Baek, J. R. Lee, H. H. Kim, Y. H. Cho, J. W. Ahn, and C. Y. Kim. 2002. The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s of soybean landraces. Korean J. Intl. Agri. 15(4) : 294-303 

  14. 農村振興廳. 1995. 農事試驗硏究調査基準. pp. 527-535 

  15. 장권열. 1963. 대두품종에 관한 연구. 제1보. 생태형과 성숙군 분류. 한작지 1 : 1-25 

  16. 趙載英. 1982. 田作. 鄕文社. pp. 235-2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