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지역에서 관측된 꽃가루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Regional Distribution of Pollen Concentration in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0 no.4, 2008년, pp.167 - 176  

박기준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김헌애 (기상청 생활안전기상과) ,  김규랑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오재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 ,  이선영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최영진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irborne pollen is known as one of the major causal agents to respiratory allergic reactions. Daily number of pollen grains was monitored using Burkard volumetric spore traps at seven locations including Seoul and Jeju during 1997-2007. Pollen grain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year especially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997년~2007년까지 전국 7개 지역에서 관측된 꽃가루 농도의 종별, 월별 분포를 분석하여 꽃가루 달력을 작성하였고, 기상 조건에 따른 꽃가루 농도 분포를 살펴보았으며, 꽃가루 종류에 따른 호흡기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정도의 분포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7개 지역에서 관측된 꽃가루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별, 기상별, 알레르기 발현 성별로 꽃가루 농도 분포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수목류, 잡초류의 꽃가루 농도는 전국적으로 연중 유사한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수목류는 3월~5월, 잡초류는 8월~10월에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꽃가루 알레르기란 무엇인가? 꽃가루 알레르기는 꽃가루가 원인항원으로 작용하여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화려한 꽃이나 열매가 달리지 않고 향기도 없는 아주 평범한 나무(수목), 잔디 그리고 잡초 등이 알레르기의 주된 원인이 된다. 이러한 식물의 꽃가루는 바람에 날리기 쉽도록 작고 가벼워 수백 또는 수천km까지 이동을 하게 된다.
공해지역으로서 서울 강남지역과 농촌지역으로서 경기도 파주지역을 선정하여, 그 지역에서의 돼지풀의 꽃가루를 채집하여 알레르기 독성을 측정한 결과 강남지역이 파주지역에 비해 200배정도로 역가가 높은 것의 이유를 무엇으로 추정하는가? 공해지역으로서 서울 강남지역과 농촌지역으로서 경기도 파주지역을 선정하여 그 지역에서의 돼지풀의 꽃가루를 채집하여 알레르기 독성을 측정한 결과 강남지역이 파주지역에 비해 200배정도로 역가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돼지풀의 생태 특성으로 도시나 공장지대, 폐기물 야적지역 등에 서식을 함에 있어 주로 이산화탄소가 높고 공해가 많은 지역이나 밀집 주거지역 등 오염지역에 많이 번식을 하게 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Singer et al., 2005).
꽃가루 알레르기의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꽃가루 알레르기는 꽃가루가 원인항원으로 작용하여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화려한 꽃이나 열매가 달리지 않고 향기도 없는 아주 평범한 나무(수목), 잔디 그리고 잡초 등이 알레르기의 주된 원인이 된다. 이러한 식물의 꽃가루는 바람에 날리기 쉽도록 작고 가벼워 수백 또는 수천km까지 이동을 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nderson, J. H., 1985: Allergenic airborne pollen and spores in Anchorage, Alaska, Annals of Allergy, 54, 390- 399 

  2. Buck, P., and E. Levetin, 1985: Airborne pollen and mold spores in a subalpine environment, Annals of Allergy, 55, 794-801 

  3. Hiroshi, Y., Y. Yasuo, S. Takaharu, and S. Takao, 1983: Isolation and particle characteristic of the major allergen from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pollen, Journal of Allergy Clinic Immunology, 71, 77-86 

  4. Kaufman, H. S., and K. Ranck, 1988: Antigen recognition in Filipinos, Japanese, Chinese, and Caucasians, Annals of Allergy, 60, 53-56 

  5.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001: Allergy plant in Korea, Sikmulchujang, 95pp. (in Korean) 

  6. Lewis, W., and W. Imber, 1975: Allergy epidemiology in the St. Louis, Missouri Area II, grasses, Annals of Allergy, 35, 42-50 

  7. Oh, J. W., 2002: Pollinosis and ae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llen,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45(12), 247-254. (in Korean) 

  8. Oh, J. W., 2006: The Correlation between increased sensitization rate to weeds in children and the annual increase in weed poll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16(2), 114- 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Oh, J. W., and Lee, H. B., 1997: The study of distribution pollen and mold in Guri, Gyeonggi-do, Korean Journal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7, 57-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Singer, B. D., L. H. Ziska, D. A. Frenz, D. E. Gebhard, and J. G. Straka, 2005: Increasing Amb a 1 content in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pollen as a function of rising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 Function Plant Biology, 32, 667-670 

  11. Stach, A., M. Smith, C. A. skjoth, and J. Brandt, 2007: Examining ambrosia pollen episodes at Poznan (Poland) using back-trajectory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1, 275-286 

  12. Vzquez, L. M., C. Galn, and E. D. Vilches, 2003: Influence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on Olea pollen concentrations in Cordoba (South-Western S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8, 83-90 

  13. WMO, 2001: Climate Change 2001, IPCC, pp. 2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